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호흡기계
2. 내분비계
3. 신경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호흡기계
2. 내분비계
3. 신경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합성을 감소시킴
인슐린에 대한 길항체로 작용함
릴락신
임신기 동안 황체, 태반에서 분비됨
임신을 유지시키기 위해 프로게스테론과 함께 협동적 효과를 냄
출산 동안 골반확장을 위해 치골결합의 유연성을 증대시킴
태아가 질을 통과하기 쉽도록 자중경관을 확장시킴
프로게스테론
자궁내막을 유지해줌→ “임신 호르몬”
임신 초 황체에서 분비되고 그 후 분만까지 태반에서 분비됨
초기에 수정란의 착상에 관여하여 자궁내막을 두껍게 만듦
자궁수축을 억제하고 수유를 위한 유방의 발달에 도움을 줌
에스트로겐
생식기, 자궁, 유방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혈관확장에 따라 혈관증가함
골반의 인대와 관절을 이완시킴
수유를 위한 모유분비관을 발달시킴
3. 신경계
- 임신 중 신경계의 기능변화는 임신으로 인해 뒤따르는 신경 또는 신경 근육 증상이
특수한 생리적 변화로 올 수 있음
커진 자궁에 의해 골반에 있는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되는 것은 다리 감각변화를 일으킴
요추만곡증은 신경을 누르고 잡아당기기 때문에 통증이 일어날 수 있음
말초신경을 침범한 부종은 임신 3기에 수근관 증후를 일으킬 수 있음(손목의 수근인대 아래에 있는 정중신경을 압박 → 손의 통증과 팔꿈치 주위 이상 감각증 생김)
손이 저리고 쑤시는 증상은 허리와 어깨가 구부정한 자세인 임부에게서 발생 → 상완총(brachial plexus)이 잡아 당겨진 상태임
긴장성 두통은 임신으로 인한 불안이나 불확실성으로 발병됨(시력에 문제 있을 때 포함)
가벼운 두통, 어지러움, 졸도는 임신 초기에 흔하며 혈관 운동신경의 불안정과 자세에 의한 저혈압, 저혈당증이 원인이 될 수 있음
저혈당증은 근육의 경련과 같은 신경 근육 장애로 발생함
부적절한 식습관에 의한 저칼슘혈증이 일어나면 근육 경련이나 강직 발생함
Ⅲ. 결론
-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하여 호흡기계-내분비계-신경계에 따른 징후에 대해 알아보았다. 심현경님은 현재 임신 7개월로 양수량이 많아지고 자궁이 커짐에 따라 발저림을 호소하고 있다. 이 때 우리는 대상자에게 발저림은 임신 동안 서혜부의 인대나 골반벽에 위치한 신경이 압박을 받아 생기는 것임을 알려주고 분만 후에 사라진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발저림이 심하다면 평소에 좌측위로 돌아눕는 등의 체위를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혜원 외(2011), 여성건강간호학Ⅰ, 정담미디어
이명숙 외(2001),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김연희 외(2011), 여성건강간호학, 예당북스
인슐린에 대한 길항체로 작용함
릴락신
임신기 동안 황체, 태반에서 분비됨
임신을 유지시키기 위해 프로게스테론과 함께 협동적 효과를 냄
출산 동안 골반확장을 위해 치골결합의 유연성을 증대시킴
태아가 질을 통과하기 쉽도록 자중경관을 확장시킴
프로게스테론
자궁내막을 유지해줌→ “임신 호르몬”
임신 초 황체에서 분비되고 그 후 분만까지 태반에서 분비됨
초기에 수정란의 착상에 관여하여 자궁내막을 두껍게 만듦
자궁수축을 억제하고 수유를 위한 유방의 발달에 도움을 줌
에스트로겐
생식기, 자궁, 유방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혈관확장에 따라 혈관증가함
골반의 인대와 관절을 이완시킴
수유를 위한 모유분비관을 발달시킴
3. 신경계
- 임신 중 신경계의 기능변화는 임신으로 인해 뒤따르는 신경 또는 신경 근육 증상이
특수한 생리적 변화로 올 수 있음
커진 자궁에 의해 골반에 있는 신경이나 혈관이 압박되는 것은 다리 감각변화를 일으킴
요추만곡증은 신경을 누르고 잡아당기기 때문에 통증이 일어날 수 있음
말초신경을 침범한 부종은 임신 3기에 수근관 증후를 일으킬 수 있음(손목의 수근인대 아래에 있는 정중신경을 압박 → 손의 통증과 팔꿈치 주위 이상 감각증 생김)
손이 저리고 쑤시는 증상은 허리와 어깨가 구부정한 자세인 임부에게서 발생 → 상완총(brachial plexus)이 잡아 당겨진 상태임
긴장성 두통은 임신으로 인한 불안이나 불확실성으로 발병됨(시력에 문제 있을 때 포함)
가벼운 두통, 어지러움, 졸도는 임신 초기에 흔하며 혈관 운동신경의 불안정과 자세에 의한 저혈압, 저혈당증이 원인이 될 수 있음
저혈당증은 근육의 경련과 같은 신경 근육 장애로 발생함
부적절한 식습관에 의한 저칼슘혈증이 일어나면 근육 경련이나 강직 발생함
Ⅲ. 결론
-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하여 호흡기계-내분비계-신경계에 따른 징후에 대해 알아보았다. 심현경님은 현재 임신 7개월로 양수량이 많아지고 자궁이 커짐에 따라 발저림을 호소하고 있다. 이 때 우리는 대상자에게 발저림은 임신 동안 서혜부의 인대나 골반벽에 위치한 신경이 압박을 받아 생기는 것임을 알려주고 분만 후에 사라진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또한 발저림이 심하다면 평소에 좌측위로 돌아눕는 등의 체위를 알려줄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혜원 외(2011), 여성건강간호학Ⅰ, 정담미디어
이명숙 외(2001), 여성건강간호학Ⅰ, 현문사
김연희 외(2011), 여성건강간호학, 예당북스
키워드
추천자료
기계적 인공호흡 Mechanical ventilation
성인간호학(내과-호흡기) 저널 해석본
생리학 실험 보고서 [폐용적과 호흡기의 기계역학]
성인간호학 호흡기 장애 대상자 간호
기계적 인공호흡에 대해서(인공호흡의 적응, 원리, 작동법, 양압환기기술)
아동간호학실습 : TTN(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폐 물리요법과 호흡요법
[간호학][인공호흡기][PEEP][IPPB][간헐적양압호흡][호기말양압]
[고위험모아 간호학 3학년 공통] 중환아 간호단위, 중환아실 간호사 역할, 정서충족 간호중재...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성인간호학] 산염기 불균형 레포트 - 호흡성 산증 / 호흡성 알칼리증 / 대사성 산증 / 대사...
아동간호학 TTN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케이스 간호과정
아동간호학)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TNB, Transient tarchypnea of newborn)
[간호학] 순환기계 & 비뇨기계 변화에 따른 징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