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호흡기계 내분비계 신경계 변화에 따른 징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호흡기계 내분비계 신경계 변화에 따른 징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호흡기계

2. 내분기계

3. 신경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용어정리

본문내용

인한 신체의 변화로 불안해하고 걱정하는 심현경님을 위해 임신에 따른 변화에 대해 더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껴 호흡기계, 내분기계, 신경계 변화에 따른 징후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먼저 호흡기계의 변화에 따른 징후를 보면 임신 시 1회 호흡량이 700㎖로 약 30∼40% 증가하게 되는데 들숨 량 증가, 날숨 량 저하로 임신성 과호흡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분비계 변화에 따른 징후를 보면 뇌하수체와 태반호르몬이 임신을 유지하게 도와주는데 이 중 혈관을 확장시켜 유방과 자궁을 증대시켜 주는 에스트로겐은 염산과 펩신분비를 감소시켜 오심을 유발시킨다. 또 자궁수축을 억제시키는 프로게스테론은 호흡기계를 자극하고 체온을 0.5℃ 정도 상승시킨다. 뇌하수체 후엽에서 생성되는 옥시토신은 영아가 산부의 유방을 빨 때 유즙사출반사 자극해준다.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은 태반생성을 돕는데 면역적 성질을 지니며 알레르기반응으로 입덧을 유발할 수 있다. 또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기초대사율을 증가시켜주며 부갑상선에서는 태아 골격 성장 요구량이 높을때 칼슘과 마그내슘 대사를 조절해준다. 췌장에서는 태아 성장의 필요한 포도당 요구량을 공급하기위한 보호기전이 작용한다.
마지막으로 신경계 변화에 따른 징후에서는 요추만곡증이 요통을 유발시키고 구부정한 자세로 인해 손이 저리고 쑤시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임신 3기에 말초신경을 침범한 부종으로 인해 팔목터널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저혈당증은 근육경련같은 신경근육장애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임신으로 인한 변화로 불안해하는 심현경님에게 호흡기계, 내분기계, 신경계 변화에 따른 징후를 설명해준다.
Ⅳ. 참고 문헌
1. 김혜원 외.(2011) 여성건강 간호학 Ⅱ 서울: 정담미디어 pp.441~443
2. 김연희 외.(2011) 여성건강 간호학 서울: 예당북 pp.165~166
3. 이경혜 외.(1999) 여성건강 간호학서울: 현문사 pp.222~225
4. 하영수 외.(2006) 모성·여성건강 간호학Ⅰ서울: 신광출판사 pp.201~217
5. 신경림 외. (2011). 모성간호학,서울: 대한간호협회, pp. 144~150
Ⅴ. 용어정리
1. 호흡성 알칼리증(respiratory alkalosis) : 과호흡 때문에 혈액의 이산화탄소(CO2)와 탄산의 농도가 내려가 알칼리성으로 기우는 상태
2. 유즙 사출 반사(milk ejection reflex) : 아기가 젖을 빨면 그 자극이 뇌로 가서 옥시토신 분비를 자극하고 이것이 혈류를 따라 유방에 와서 유관의 수축을 일으켜 유방에서 모유가 나오는 것.
3. 임신 오조증 : 임신 초기에 나타나는 심한 입덧.
4. 팔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 팔목터널이란 손목 앞쪽 부분의 피부조직 밑 에 손목을 이루는 뼈와 인대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작은 통로인데, 여러 개의 힘줄과 손바닥으로 지나가는 신경이 있는 곳이다. 팔목터널증후군은 이 통로가 어떠한 원인으로 좁아지면서 신경이 압박되어 손바닥에 이상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2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