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neurysm & SAH(Subarachnoid hemorrhage)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본문내용
개하고 뇌 를 노출시킴.
- 수술의 마지막 과정에서 bone flap을 제자리에 고정.
* 수술 전 간호
1) 신경학적, 생리학적 상태의 기초자료를 기록한다.
- 활력증상, 의식수준, 동공의 크기와 빛에 대한 반응양상, 외안근의 움직임, 하지 운동 상 태, 피부색깔, 마비 또는 부전마비, 수분과 전해질 균형, 폐 울혈 증상, 신장 기능, 기타 다른 비정상적 상태(탈수, 경련, 실어증, 시각/청각 장애)등을 사정하고, 수술 후와 비교 할 수 있도록 한다.
- 두 개강내압이 상승된 환자는 두 개강내압 감시 장치를 통하여 이를 감시한다.
- 환기기능에 장애가 있을 경우, 혈액가스분석을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인공호흡기를 이 용하여 PaO2 80mmHg, PaCO2 25-30mmHg가 유지되도록 한다.
- PaCO2 상승 시, 두 개강내압이 상승하며, 20mmHg 이하 시에는 뇌대사 장애를 초래.
2) 환자와 환자의 가족이 표현하는 두려움에 대해 이해하고 격려한다.
- 불안함과 공포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의문사항을 물을 수 있는 시간을 준다.
3) 환자가 알아들을 수 있게 치료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한다.
- 설령 환자가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모든 치료와 절차는 자세히 설명되어야 한다.
4) 수술 전 두피 준비
- 수술 전날 밤과 수술을 시행하는 날 아침에, 소독 샴푸로 머리를 감긴다.
- 대부분의 경우 머리 삭발이 필요하며, 이럴 경우 수술실에서 시행하도록 한다.
(임상에서는 ICU침상에서 행하여지기도 한다.)
5) 삭발 후에 보호자가 원할 경우 깎여진 머리를 모아 줄 수도 있다.
6) 가족들은 수술 후 대상자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수술시간은 어느 정도 소요되는지, 수술동안 보호자는 어디에서 기다리는지, 수술 후 환 자가 어디로 가는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 수술 후 두부드레싱과 상처 배액 또는 여러 기계들이 부착되어 있음을 알려 준다.
- 안면부종과 반상출혈이 있을 수 있고, 전신상태가 저하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수술 후 간호
1)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
- 운동능력, 지남력이나 명료성 수준, 동공검사를 포함한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한다.
: Glascow Coma Sclale이용
- 수술 후 신경학적 사정은 자주 그리고 철저하게 해야 한다.
- 언어상태는 2시간 동안 매 15분마다, 다음 2시간동안은 30분마다, 그리고 안정될때까지 매시간 사정해야한다
- 혈압과 수분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동맥압과 중심정맥압을 측정한다.
2) 절개부 간호
- 두부 드레싱에서 나오는 배액의 양과 형태를 규칙적으로 살피고, 배액되는 양을 정확히 기록한다.
- 노란색의 배액은 CSF누출을 의미하므로, 즉시 보고한다.
- 드레싱이 편안한지 사정해야 하며 머리나 귀 또는 눈 위가 조여서는 안 된다.
3) 두개내압의 하강을 증진
- 수술 후 두 개내압의 급격한 변화는 대개 출혈이나 심한 부종으로 인하여 초래되며, 상 승된 압력을 조절하지 못하면 비가역적인 손상이나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다.
- 간호활동 사이에 환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둔다.
- 기침과 구토를 피하도록 한다.
- 필요시에만 흡인하고, 되도록 부드럽게 한다.
- 침대 머리를 낮게 하지 않는다.
4) 안전
- 환자를 진정시킬 다른 방법이 없거나, 환자보호를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억제대를 사용하지 않는다.
-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드러운 억제대를 사용한다.
- 항상 침상난간을 올린다.
5) 전해질 균형
- 소변 비중측정과 함께 I/O를 시간마다 정확히 측정하고, 혈당을 자주 검사한다.
- sodium, potassium, 삼투질농도, Hematocrit을 측정한다.
- 의식이 있고, 장음이 들리면, 구토반사, 연하반사, 기침반사가 돌아오는 즉시 구강섭취를 시작하도록 한다.
- 섭취량이 하루 2000~2500ml가 될 때까지 경구섭취를 보충하기 위해 정맥수액을 주입 한다.
6) 안위증진
-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약물(Codeine sulfate, non-narcotic analgesic)이 투여될 수 있다.
- 두통 완화를 위해 ice bag을 적용할 수 있다.
- 조용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2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 하지의 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예방을 위해 탄력스타킹을 착용하도록 한다.
* 두 개내 수술 대상자에게 시행하지 말아야 할 간호*
- 의사의 지시 없이 코를 통해 흡인하거나 머리를 낮게 해서는 안 된다.
- 불안한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경우 외에는 억제대를 하지 않는다.
- 수액을 공급하거나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할 경우 너무 빠르게 하지 말아야 한다.
- 체온은 구강으로 측정하지 않는다.
- 대상자를 너무 깊이 진정시키지 않는다.
- 의사의 지시를 정확히 확인하지 않고 마취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 분변매복을 제거하려고 시도하거나 완화제의 사용 또는 관장을 해서는 안 된다.
(2) Angiography 환자간호
* 검사 전 간호
- 카테터 삽입부위 면도 (→ 감염예방)
- 족배맥박을 확인. 잉크나 매직으로 표시해둠. (→ 검사 후 말초순환을 사정하기 위함.)
- 검사 전 6~8시간 NPO
- 정맥주입으로 만들어 수액을 주입
(→ 검사 전, 중, 후 응급상황이 발생 시 응급처치, 응급 수술 등에 대처하기 위함.)
- 환자에게 배뇨하도록 교육
(→ 검사도중 방광팽창을 예방하고 검사 후 침상 안정 기간 동안 배뇨를 용이하게 함.)
* 검사 후 간호
- 검사한 쪽 다리를 똑바로 펴도록 하며 천자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리고 8시간 동안 절 대 안정시킨다.
- 족배동맥과 요골동맥을 측정하여 맥박에 차이가 있는지 사정한다.
- V/T 측정은 15분마다 4회, 안정될 때까지 1시간마다, 그 이후는 6시간마다 측정한다.
- 말단부위의 색, 온도변화와 천자부위의 출혈, 혈종이 있는지 자주 관찰한다.
- 음식섭취의 제한은 없다.
-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한다.
- 수술의 마지막 과정에서 bone flap을 제자리에 고정.
* 수술 전 간호
1) 신경학적, 생리학적 상태의 기초자료를 기록한다.
- 활력증상, 의식수준, 동공의 크기와 빛에 대한 반응양상, 외안근의 움직임, 하지 운동 상 태, 피부색깔, 마비 또는 부전마비, 수분과 전해질 균형, 폐 울혈 증상, 신장 기능, 기타 다른 비정상적 상태(탈수, 경련, 실어증, 시각/청각 장애)등을 사정하고, 수술 후와 비교 할 수 있도록 한다.
- 두 개강내압이 상승된 환자는 두 개강내압 감시 장치를 통하여 이를 감시한다.
- 환기기능에 장애가 있을 경우, 혈액가스분석을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인공호흡기를 이 용하여 PaO2 80mmHg, PaCO2 25-30mmHg가 유지되도록 한다.
- PaCO2 상승 시, 두 개강내압이 상승하며, 20mmHg 이하 시에는 뇌대사 장애를 초래.
2) 환자와 환자의 가족이 표현하는 두려움에 대해 이해하고 격려한다.
- 불안함과 공포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충분히 의문사항을 물을 수 있는 시간을 준다.
3) 환자가 알아들을 수 있게 치료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한다.
- 설령 환자가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모든 치료와 절차는 자세히 설명되어야 한다.
4) 수술 전 두피 준비
- 수술 전날 밤과 수술을 시행하는 날 아침에, 소독 샴푸로 머리를 감긴다.
- 대부분의 경우 머리 삭발이 필요하며, 이럴 경우 수술실에서 시행하도록 한다.
(임상에서는 ICU침상에서 행하여지기도 한다.)
5) 삭발 후에 보호자가 원할 경우 깎여진 머리를 모아 줄 수도 있다.
6) 가족들은 수술 후 대상자를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수술시간은 어느 정도 소요되는지, 수술동안 보호자는 어디에서 기다리는지, 수술 후 환 자가 어디로 가는지 보호자에게 설명한다.
- 수술 후 두부드레싱과 상처 배액 또는 여러 기계들이 부착되어 있음을 알려 준다.
- 안면부종과 반상출혈이 있을 수 있고, 전신상태가 저하될 수 있음을 설명한다.
*수술 후 간호
1)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
- 운동능력, 지남력이나 명료성 수준, 동공검사를 포함한 신경학적 상태를 사정한다.
: Glascow Coma Sclale이용
- 수술 후 신경학적 사정은 자주 그리고 철저하게 해야 한다.
- 언어상태는 2시간 동안 매 15분마다, 다음 2시간동안은 30분마다, 그리고 안정될때까지 매시간 사정해야한다
- 혈압과 수분상태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동맥압과 중심정맥압을 측정한다.
2) 절개부 간호
- 두부 드레싱에서 나오는 배액의 양과 형태를 규칙적으로 살피고, 배액되는 양을 정확히 기록한다.
- 노란색의 배액은 CSF누출을 의미하므로, 즉시 보고한다.
- 드레싱이 편안한지 사정해야 하며 머리나 귀 또는 눈 위가 조여서는 안 된다.
3) 두개내압의 하강을 증진
- 수술 후 두 개내압의 급격한 변화는 대개 출혈이나 심한 부종으로 인하여 초래되며, 상 승된 압력을 조절하지 못하면 비가역적인 손상이나 죽음을 초래할 수도 있다.
- 간호활동 사이에 환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간격을 둔다.
- 기침과 구토를 피하도록 한다.
- 필요시에만 흡인하고, 되도록 부드럽게 한다.
- 침대 머리를 낮게 하지 않는다.
4) 안전
- 환자를 진정시킬 다른 방법이 없거나, 환자보호를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억제대를 사용하지 않는다.
-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드러운 억제대를 사용한다.
- 항상 침상난간을 올린다.
5) 전해질 균형
- 소변 비중측정과 함께 I/O를 시간마다 정확히 측정하고, 혈당을 자주 검사한다.
- sodium, potassium, 삼투질농도, Hematocrit을 측정한다.
- 의식이 있고, 장음이 들리면, 구토반사, 연하반사, 기침반사가 돌아오는 즉시 구강섭취를 시작하도록 한다.
- 섭취량이 하루 2000~2500ml가 될 때까지 경구섭취를 보충하기 위해 정맥수액을 주입 한다.
6) 안위증진
-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약물(Codeine sulfate, non-narcotic analgesic)이 투여될 수 있다.
- 두통 완화를 위해 ice bag을 적용할 수 있다.
- 조용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 2시간마다 체위변경 및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 하지의 혈전정맥염(thrombophlebitis)예방을 위해 탄력스타킹을 착용하도록 한다.
* 두 개내 수술 대상자에게 시행하지 말아야 할 간호*
- 의사의 지시 없이 코를 통해 흡인하거나 머리를 낮게 해서는 안 된다.
- 불안한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한 불가피한 경우 외에는 억제대를 하지 않는다.
- 수액을 공급하거나 정맥으로 수액을 주입할 경우 너무 빠르게 하지 말아야 한다.
- 체온은 구강으로 측정하지 않는다.
- 대상자를 너무 깊이 진정시키지 않는다.
- 의사의 지시를 정확히 확인하지 않고 마취성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 분변매복을 제거하려고 시도하거나 완화제의 사용 또는 관장을 해서는 안 된다.
(2) Angiography 환자간호
* 검사 전 간호
- 카테터 삽입부위 면도 (→ 감염예방)
- 족배맥박을 확인. 잉크나 매직으로 표시해둠. (→ 검사 후 말초순환을 사정하기 위함.)
- 검사 전 6~8시간 NPO
- 정맥주입으로 만들어 수액을 주입
(→ 검사 전, 중, 후 응급상황이 발생 시 응급처치, 응급 수술 등에 대처하기 위함.)
- 환자에게 배뇨하도록 교육
(→ 검사도중 방광팽창을 예방하고 검사 후 침상 안정 기간 동안 배뇨를 용이하게 함.)
* 검사 후 간호
- 검사한 쪽 다리를 똑바로 펴도록 하며 천자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리고 8시간 동안 절 대 안정시킨다.
- 족배동맥과 요골동맥을 측정하여 맥박에 차이가 있는지 사정한다.
- V/T 측정은 15분마다 4회, 안정될 때까지 1시간마다, 그 이후는 6시간마다 측정한다.
- 말단부위의 색, 온도변화와 천자부위의 출혈, 혈종이 있는지 자주 관찰한다.
- 음식섭취의 제한은 없다.
-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신장 기능을 평가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case보고서/성인간호학/협심증 대상자에 대한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case (대동맥판협착증)
성인간호학 당뇨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췌장암(pancreatic cancer)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심부정맥혈전증 DVT (Deep venous thrombosis)
성인간호학 케이스, 담관암 케이스, 5가지 간호진단
성인간호학, NICU CASE STUDY 경막하출혈
[성인간호학] 뇌출혈(ICH) case study
성인간호학케이스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 통증, 피부손상위험성, 낙상위험성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골절(흉추,천추)
성인간호학 협심증(angina pectoris) 케이스 스터디 A+++++
성인간호학 간경화(Liver cirrosis) case study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