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헌고찰
[병태생리/원인]
[위험요인]
[임상증상]
[진단적 평가]
[관리]
2.간호과정 적용
1)간호사정
2)간호진단
3)간호목표
4)간호중재
5)간호평가
3. 사례요약
4. 실습소감
5. 케이스표지
6. 약물소개
7. 관상동맥 해부생리 그림파일첨부및 설명
[병태생리/원인]
[위험요인]
[임상증상]
[진단적 평가]
[관리]
2.간호과정 적용
1)간호사정
2)간호진단
3)간호목표
4)간호중재
5)간호평가
3. 사례요약
4. 실습소감
5. 케이스표지
6. 약물소개
7. 관상동맥 해부생리 그림파일첨부및 설명
본문내용
을 자극하여 catecholamine의 분비를 증가시키기 때 문에 말초혈관을 수축하여 말초혈관의 저항력과 심박수가 증가하고 박동량과 심박출량이 증가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니코틴은 또한 말초 혈관을 수축시켜 말초혈관의 혈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허 혈상태를 유발한다. 또한 혈중 CO2의 증가를 일으켜 헤모글로빈의 산소 결합을 방해하고, 조직세포의 산소확산을 느리게하여 심근의 허혈상태를 초래한다.
⑹ 그 외의 유발요인
운동부족(좌식 생활습관), 당뇨병, 통풍(gout), 경구 피임약 사용, 스트레스, 관 상동맥 경련, 선천성 결함, 혈전 및 색전증 등
[임상증상]
A.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
신체적 활동 또는 정서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흉통 ; 심근의 산소요구량이 증가되지만 현저한 관상동맥의 병변에 의한 폐색으로 심근에 혈액을 운반하는 관 상동맥에 장애가 일어난다(혈관의 75%가 협소해짐). 안정과 nitroglycerin으로 통증이 경감된다.
⑴ 특성 - 흉골 하부 흉통, 압박감 또는 불편감. 기타 증상은 쥐어짜고, 쑤시고, 작열감, 질식할 것 같은 느낌, 경련성 통증을 포함한다
① 통증은 경하거나 심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불편감이 증가하여 점차로 사라 진다
② 팔, 손목 또는 손에 감각이상 또는 허약이 나타날 수 있다
⑵ 위치 - 흉골 중간 또는 상부 1/3 후방 ; 환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통증의 부위를 지적하기 보다는 주먹으로 통증부위를 움켜 잡는다(양성 levine sign ; 확산된 심부내장통).
⑶ 방사 - 대개 목, 턱, 어깨, 팔, 손과 후방 견갑내 부위로 방사된다. 우측보다 좌측에 더 흔하게 발생한다.
⑷ 기간 - 활동을 중단한 후 1~5분간 지속된다 ; nitroglycerin은 1분 이내에 통증을 경감한다.
⑸ 기타 유발요소 - 열 또는 냉에 노출, 과량의 식이 섭취, 성교는 심장의 작업 부담을 증가 시켜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킨다.
B. 불안정형(경색전) 협심증(Unstable angina pectoris)
흉통이 안정시에도 나타남 ; 심근의 산소요구량의 증가는 없지만 커진 플라크 또는 합병된 병변의 궤양/출혈에 의해 진전된 관상동맥 경련으로 인해 근육으로 혈류의 공급이 갑작스럽게 부족된다.
⑴ 안정형 협심증 증상의 빈도, 기간과 강도의 변화는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진행 된 을 나타낸다.
⑵ 불안정형 협심통은 10분 이상 지속되며 휴식 또는 설하 nitroglycerin에 의 해 경감되지 않으며 절박형 심근경색증의 증상/징후와 비슷하다.
C. 이형협심증
관상동맥이 경련처럼 수축하여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야간 수면중이나 새 벽에 흉통이 발생하고 낮에 활동중에는 괜찮은 경우가 많다. 심근경색증, 돌연 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협심증 발작의 3대 요인은 3E, 즉 운동(Effort), 흥분(Emotion), 과식 (Eating) 이고 임상적 증후군으로서는 SAVENS라고 표현한다.
S → Sudden onset (돌연히 일어난다)
A → Anterior chest pain (전흉부통증)
V → Vague discomfort (막연한 불쾌감)
E → Effort(Emotion) precipitate (운동, 흥분으로 유발)
N → Nitrate effective (nitro제가 유효)
S → Short duration (수분내 소실)
[진단적 평가]
⑴ 흉통의 특성과 임상과거력
⑵ Nitroglycerin test - nitroglycerin에 의해 경감되는 통증
⑶ 심전도 검사- 안정시 기록하는 일반 심전도, 24시간의 심전도를 기록하는 홀터 모니터링, 운동시의 심전도 변화를 보는 운동부하 심전도 등을 시행한 다.
*ECG stress testing - 속도의 점진적 증가와 treadmill 위를 걸으면 심장 의 작업부담을 증가시킨다. 심근 허혈이 있을시 ST와 T파가 변화한다.
⑷ 방사핵 영상 - 방사성 동위원소, thallium 201을 운동하는 동안 주사하고 카메라에 의해 영상화된다. 심근에 의한 동위원소의 저흡수부위는 운동에 의 해 유도된 허혈부위를 나타 낸다. 휴식기간 촬영한 영상은 환부의 허혈의 역 전을 나타낸다.
⑸ 방사핵 심실조영술 -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시하는 적혈구를 운동기간과 휴 식시 카메라로 영상화한다. 심장의 벽 운동의 비정상 상태가 감별된다.
⑹ 심도자법 - 관상동맥 병변의 현존, 위치와 범위를 결정하는 동안 관상동맥 조영술이 행해진다.
[관리]
A. 약물치료
항협심증약(nitrates, beta-blockers, calcium channel blockers)이 산소 공급과 요구량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심장작업 부담의 감소 는 산소요구량과 소모량을 감소시킨다. 관상동맥의 이완시에 심근에 혈액공급 이 증가되어 산소 공급을 증가시킨다.
⑴ Nitrates - 신체 전체의 혈관 이완을 초래한다.
⑵ Beta-blckers - 심근과 심장내 전도계에 위치하는 수용기의 교감신경 자극 을 억제한다
⑶ Calcium channel blockers - 심근과 관상혈관내 칼슘의 이동을 억제한다 ; 혈관이완을 향상시키고 관상동맥 경련을 예방/조절한다.
⑷ 항지질약 - 콜레스테롤과 triglyceride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투여된다.
B. 경피적 관동맥확장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⑴ 플라크에 의해 협소해진 관상동맥 혈관내에 balloon-tipped catheter를 삽 입한다.
⑵ 혈관벽을 확장시키고 병변을 납작하게 하기 위해 풍선을 팽창시켰다가 수축 시킨다.
⑶ 혈액은 자유롭게 막히지 않은 혈관을 통해 심장내로 흐른다.
C. 관상동맥내 죽종제거술(Intracoronary athrectomy)
⑴ 납작한 끝을 가진 도자를 관상동맥을 따라 폐쇄된 부위까지 삽입한다.
⑵ 도자 끝의 종류에 따라 죽종이 잘리고 밀어내지고 분쇄되어 제거된다.
⑶ 보다 큰 혈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도자 진입 부위가 큰 것이 필요하다.
D.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⑴ 한쪽 끝은 대동맥에 이식하고 다른
니코틴은 또한 말초 혈관을 수축시켜 말초혈관의 혈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허 혈상태를 유발한다. 또한 혈중 CO2의 증가를 일으켜 헤모글로빈의 산소 결합을 방해하고, 조직세포의 산소확산을 느리게하여 심근의 허혈상태를 초래한다.
⑹ 그 외의 유발요인
운동부족(좌식 생활습관), 당뇨병, 통풍(gout), 경구 피임약 사용, 스트레스, 관 상동맥 경련, 선천성 결함, 혈전 및 색전증 등
[임상증상]
A.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pectoris)
신체적 활동 또는 정서적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흉통 ; 심근의 산소요구량이 증가되지만 현저한 관상동맥의 병변에 의한 폐색으로 심근에 혈액을 운반하는 관 상동맥에 장애가 일어난다(혈관의 75%가 협소해짐). 안정과 nitroglycerin으로 통증이 경감된다.
⑴ 특성 - 흉골 하부 흉통, 압박감 또는 불편감. 기타 증상은 쥐어짜고, 쑤시고, 작열감, 질식할 것 같은 느낌, 경련성 통증을 포함한다
① 통증은 경하거나 심할 수 있으며 전형적으로 불편감이 증가하여 점차로 사라 진다
② 팔, 손목 또는 손에 감각이상 또는 허약이 나타날 수 있다
⑵ 위치 - 흉골 중간 또는 상부 1/3 후방 ; 환자는 손가락을 사용하여 통증의 부위를 지적하기 보다는 주먹으로 통증부위를 움켜 잡는다(양성 levine sign ; 확산된 심부내장통).
⑶ 방사 - 대개 목, 턱, 어깨, 팔, 손과 후방 견갑내 부위로 방사된다. 우측보다 좌측에 더 흔하게 발생한다.
⑷ 기간 - 활동을 중단한 후 1~5분간 지속된다 ; nitroglycerin은 1분 이내에 통증을 경감한다.
⑸ 기타 유발요소 - 열 또는 냉에 노출, 과량의 식이 섭취, 성교는 심장의 작업 부담을 증가 시켜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킨다.
B. 불안정형(경색전) 협심증(Unstable angina pectoris)
흉통이 안정시에도 나타남 ; 심근의 산소요구량의 증가는 없지만 커진 플라크 또는 합병된 병변의 궤양/출혈에 의해 진전된 관상동맥 경련으로 인해 근육으로 혈류의 공급이 갑작스럽게 부족된다.
⑴ 안정형 협심증 증상의 빈도, 기간과 강도의 변화는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진행 된 을 나타낸다.
⑵ 불안정형 협심통은 10분 이상 지속되며 휴식 또는 설하 nitroglycerin에 의 해 경감되지 않으며 절박형 심근경색증의 증상/징후와 비슷하다.
C. 이형협심증
관상동맥이 경련처럼 수축하여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야간 수면중이나 새 벽에 흉통이 발생하고 낮에 활동중에는 괜찮은 경우가 많다. 심근경색증, 돌연 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협심증 발작의 3대 요인은 3E, 즉 운동(Effort), 흥분(Emotion), 과식 (Eating) 이고 임상적 증후군으로서는 SAVENS라고 표현한다.
S → Sudden onset (돌연히 일어난다)
A → Anterior chest pain (전흉부통증)
V → Vague discomfort (막연한 불쾌감)
E → Effort(Emotion) precipitate (운동, 흥분으로 유발)
N → Nitrate effective (nitro제가 유효)
S → Short duration (수분내 소실)
[진단적 평가]
⑴ 흉통의 특성과 임상과거력
⑵ Nitroglycerin test - nitroglycerin에 의해 경감되는 통증
⑶ 심전도 검사- 안정시 기록하는 일반 심전도, 24시간의 심전도를 기록하는 홀터 모니터링, 운동시의 심전도 변화를 보는 운동부하 심전도 등을 시행한 다.
*ECG stress testing - 속도의 점진적 증가와 treadmill 위를 걸으면 심장 의 작업부담을 증가시킨다. 심근 허혈이 있을시 ST와 T파가 변화한다.
⑷ 방사핵 영상 - 방사성 동위원소, thallium 201을 운동하는 동안 주사하고 카메라에 의해 영상화된다. 심근에 의한 동위원소의 저흡수부위는 운동에 의 해 유도된 허혈부위를 나타 낸다. 휴식기간 촬영한 영상은 환부의 허혈의 역 전을 나타낸다.
⑸ 방사핵 심실조영술 -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시하는 적혈구를 운동기간과 휴 식시 카메라로 영상화한다. 심장의 벽 운동의 비정상 상태가 감별된다.
⑹ 심도자법 - 관상동맥 병변의 현존, 위치와 범위를 결정하는 동안 관상동맥 조영술이 행해진다.
[관리]
A. 약물치료
항협심증약(nitrates, beta-blockers, calcium channel blockers)이 산소 공급과 요구량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심장작업 부담의 감소 는 산소요구량과 소모량을 감소시킨다. 관상동맥의 이완시에 심근에 혈액공급 이 증가되어 산소 공급을 증가시킨다.
⑴ Nitrates - 신체 전체의 혈관 이완을 초래한다.
⑵ Beta-blckers - 심근과 심장내 전도계에 위치하는 수용기의 교감신경 자극 을 억제한다
⑶ Calcium channel blockers - 심근과 관상혈관내 칼슘의 이동을 억제한다 ; 혈관이완을 향상시키고 관상동맥 경련을 예방/조절한다.
⑷ 항지질약 - 콜레스테롤과 triglyceride 수치가 높은 환자에게 투여된다.
B. 경피적 관동맥확장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⑴ 플라크에 의해 협소해진 관상동맥 혈관내에 balloon-tipped catheter를 삽 입한다.
⑵ 혈관벽을 확장시키고 병변을 납작하게 하기 위해 풍선을 팽창시켰다가 수축 시킨다.
⑶ 혈액은 자유롭게 막히지 않은 혈관을 통해 심장내로 흐른다.
C. 관상동맥내 죽종제거술(Intracoronary athrectomy)
⑴ 납작한 끝을 가진 도자를 관상동맥을 따라 폐쇄된 부위까지 삽입한다.
⑵ 도자 끝의 종류에 따라 죽종이 잘리고 밀어내지고 분쇄되어 제거된다.
⑶ 보다 큰 혈관까지 진입할 수 있도록 도자 진입 부위가 큰 것이 필요하다.
D.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⑴ 한쪽 끝은 대동맥에 이식하고 다른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골다공증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대퇴골두무혈성괴사][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지주막하출혈][SAH]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subarachnoid hemarrge)
[성인간호학] 췌장암 케이스 02 (pancreatic cancer)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간경변증 (Liver Cirrhosis, LC)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만성 신질환(신부전), 신우신염
[성인간호학] 기흉 케이스 Pneumothorax CASE STUDY
[성인간호학] 뇌출혈(ICH) case study
심장이식 성인간호학 의학
[성인간호학]호흡기내과 실습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뇌내출혈
[성인간호학실습] 폐렴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담관염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신경외과 병동 - Subarachnoid hemorrhage(SAH) 지주막하 출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