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과민증 (hyper-sensitivit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과민증 (hyper-sensitivit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일반적 원인
3. 알레르기원의 종류
4. 알레르기 반응
5. 과민반응의 유형
6. 과민반응의 사정
7. 관리

Ⅲ. 결론

Ⅳ. 용어 정리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정도 둔감하지만 안전하여 소아나 민감한 환자
 들에게 실시 할 수 있음
- 팽진이 5mm 이상 또는 발적이 15mm 이상이면 양성
ⓑ 패치검사
- 정의: 피내반응의 하나
- 목적: 접촉성 피부염 진단시 이용
ⓒ 피내반응검사
- 정의: 소량의 항원을 피내에 직접 주사하는 것으로 실제 알레르기 반응 초래될 수도 있으나 가   장 정확한 방법
- 즉각 반응 : 주사 후 10~20분에 나타나는 것
- 양성반응 : 홍진과 구진이 나타남. 이미 그 항원에 노츨된 적이 있었다는 것 의미
- 음성반응 : 항원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항원을 너무 깊게 피하로 주사한 경우, 환 자가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았거나 면역억제 질환이 있는 경우 나타남, 다른 방법의 검사 필요
- 검사 후 증상 및 간호
① 소양증에서부터 아나필락시스까지 다양
② 냉찜질과 국소적 스테로이드 치료로 완화
③ 주사부위에 궤양이 형성되면 부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
④ 아나필락시스 반응시 : 즉시 산소를 공급, 에피네프린을 피하주사, amino-phylline, 항히스타 민제를 정맥 내로 주입
- 음식물 알레르기 : 피부검사나 challenge 검사로 확인
반응의 증상 : 홍반, 소양증, 발진, 구토, 설사 등
- 금기 : 아나필락틱 쇼크 경험이 있는 환자
(4) 알레르기원 제거검사
① 정의: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음식물에 하나하나 식단에서 제거해 보는 것
② 목적: 알레르기가 음식물 자체에 의한 것인지 음식물에 부가적으로 나타나는 것인지 아는 것
7. 관리
1) 환경조절
- 목적: 알레르기원을 피하기 위해, 알레르기원을 피하는 것이 가장 쉽고 경제적이며 안전한 방법
- 공기 중의 알레르기원을 제거하기 위한 환경 조절
- 공기여과를 통해 공기중의 작은 분자들 까지 제거
2) 약물요법
- 목적: 알레르기 증상을 경감시키거나 조절하기 위해
- 종류
: ⓐ 항히스타민제 : 증상을 경감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
→재채기, 콧물, 소양증 등 알레르기성 비염과 관련된 증상들 경감
부작용 : 졸리움이 나타나므로 집중을 해야 하는 업무 수행 어려움
ⓑ 충혈제거제 : 항히스타민제와 겸용하여 많은 증상들을 완화
다량으로 사용하면 반동충혈과 2차적인 비충혈이 나타날 수 있음
ⓒ 함염제, 면역억제제: 증상치료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음
- 국소적 스테로이드는 피부염이나 다른 피부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됨
ⓓ Bechomethasone dipropionate : 알레르기성 비염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스테로이드 분무제
장점 : dexamethasone보다 부작용도 적고 흡입을 통해서 천식 치료에 이용할 수 있음
ⓔ Cromolyn sodium : 알레르기성 비염과 천식 치료에 사용, 국소약 또는 분무제가 있음
비만세포로부터 나오는 히스타민과 류코트리엔 같은 화학 매개체들의 유리를 막음
3) 면역요법
-정확한 양의 알레르기원을 일정기간 규칙적으로 주사
- 횟수를 거듭할수록 알레르기원의 용량이 증가됨
-부작용: 피부검사 시 반응과 비슷
- 제 1유형 IgE-중개형 과민반응의 치료에 이용됨
- 면역요법은 IgG 항체 수치 증가, 억제 T세포기능 증가시킴
- 알레르기원과 결합하는 IgE 감소, 더 빨리 IgG와 결합하게 됨
-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
- 면역치료를 하면 주사 20분후에 즉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음
- 환자 스스로 집에서 저감작요법을 실시하도록 교육하는 경우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에게 정확한 주사방법과 투약에 대한 반응을 알려주어야 함
*저감작요법시 주의할 점
주사용 항원병은 냉장고에 바로 세워서 보관
항원 주사시 아나필락틱 쇼크에 대비하여 응급처치 준비를 해야 함
주사하기 직전에 항원의 양과 보관 날짜, 항원의 이름과 환자를 확인해야 함
전회의 주사시 부작용이 없었는지 확인함, 발적이나 부종 등의 부작용은 항원의 다량 주입되었음을 의미하므로 곧 보고함
환자가 정규 주사계획을 안 지킨 경우에는 전문의에게 알려서 다시 항원의 양을 희석하고 재계획을 짜도록 함
상박에 주사함, 이때 아나필락틱 쇼크에 대비하여 매 주사시마다 부위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함
항원의 용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하여 1cc 주사기를 사용, 주사 후 20분간 환자를 관찰하여 머리 부분의 소양감, 손바닥의 가려움증, 전신소양김, 둔감, 인후부종, 쇼크 등의 유무를 확인하고 이런 증상들이 발생되면 곧 응급처치가 요구됨
Ⅲ. 결론
Nursing 13-212-2 PBL Package Part3에서 김민준님이 WBC, RBC, Hb, Hct,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1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