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신체부위별 골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신체부위별 골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체부위별 골절의 치료와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함.
(3) 결과관리
① 내과적 관리
비수술적 요법 : 골격견인, 8자 붕대 등
- 견인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8~12주) 부동으로 인한 부정적 효과 감소시켜야함.
- 욕창 예방과 발뒤꿈치, 견갑골, 척추 등의 뼈가 돌출한 부위를 주의 깊게 사정함.
- 혈전 및 색전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다리운동 교육함.
② 외과적 관리
수술 전 간호
- 광범위한 출혈의 경우 괴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속하게 수술함.
- 수술 전 내과적 상태 안정 : 심부전, 영양불량 등을 사전에 조절해야함.
- 고관절 주변의 통증성 근육경련 감소를 위한 피부 견인 적용함.
- 수술전 사정을 수행함. (손상을 받기 전의 기능상태 포함)
수술 후 사정
- 환부의 말초맥박을 손상 받지 않은 부위와 비교하여 사정함.
- 신경혈관장애와 관련된 비정상적인 자료를 신속히 감지하여 조기중재를 제공함.
- 재활치료 시 대상자의 활동 정도와 자기관리욕구를 사정함.
12) 대퇴 골절
대퇴상부 골절 시 골절편이 변위되어 보행이 불가능함.
증상: 환부 통증, 길이가 짧아지고 내전 및 외회전 상태가 됨.
치료
- 수술적 고정 전 일시적으로 견인장치로 환부를 고정함.
- 내부적 고정: 대퇴골두의 전자와 대퇴경부를 통해 핀/못을 삽입하거나 나사판 고정
대퇴두부와 경부를 대치할 수 있는 보철기 이식 후 침상안정함.
13) 슬개골 골절
낙상이나 직접적 구타에 의해 발생하며, 다리를 펴는 기능에 손상을 입을 수 있음.
⇒ 만성 파열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가 필요함.
14) 경골과 비골 골절
경골과 비골 골절은 서로 관련되어 일어남.
신경 기능 손상 시 심한 통증, 감각 이상, 수동운동 시 통증이 있음.
치료: 폐쇄정복, 견인, 석고붕대와 수술 고정
15) 족부 골절
관절의 불안정성 때문에 발생함.
골절 부위의 직접 접촉을 줄이고 심할 경우 석고붕대를 적용함.
Ⅲ. 결론
우리는 대퇴부 골절을 포함해 각 신체부위 별 골절의 종류와 그에 따른 치료, 간호를 알아보고자 이 과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골절은 크게 상지골절, 늑골골절, 척추골절, 하지골절로 나뉜다.
상지골절은 다시 상박, 쇄골, 어깨관절, 상완, 팔꿈치, 요골 및 척골, 손, 손목 골절 등으로 나뉘는데 상박골절 시에는 현수수상석고, U자형 부목, 수상석고붕대, 골격견인, 개방성 정복술 등을 통해 치료한다. 상박골은 요골신경과 골 조직이 직접 접촉되므로 마비가 호발하므로 예방적 간호가 시행되어야 한다. 쇄골골절은 쇄골의 중앙부, 안쪽 2/3선에 주로 호발하며 쇄골띠, 8자형 붕대, 어깨부위 석고붕대를 적용하거나 수술로 치료한다. 어깨관절 탈구 시에는 도수정복을 하며 상완골절, 팔꿈치골절 시에는 ORIF로 치료한다. 요골, 척골이 골절되었을 경우 초기에는 부목을 적용해 개방골절이나 변위골절인 경우 수술적 요법을 고려한다. 손과 손목 골절 시 도수정복 후 석고붕대를 적용한다.
늑골골절은 대체로 기능장애나 합병증 없이 치유되지만 폐렴, 무기폐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기침, 심호흡을 지지한다.
척추골절은 주로 무거운 물건이 몸에 떨어지거나 골다공증과 전이성 척추병변의 결과로 일어날 수 있는데 청추병변 시 발생할 경우에는 경추 칼라를 착용하거나 halo조끼를 사용하며 골다공증으로 인할 시에는 척추성형술 등을 시행한다.
하지골절은 골반, 고관절, 대퇴, 슬개골, 경골, 비골, 족부 골절 등이 있다. 골반 골절 시 체중부하 골절인 경우 수술에 의해 외부 및 내부 고정을 하고 수술 후 12주까지 견인장치를 하며 비체중부하 골절인 경우에는 침상안정 및 완하제를 투여한다. 고관절 골절, 대퇴골절 시 골격견인, 8자 붕대 등의 내과적 처치와 수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으며 경골, 비골 골절 시 폐쇄정복, 견인, 석고붕대와 수술 고정 등을 적용한다. 또한 족부골절 시 골절부위의 접촉을 줄이고 심할 경우 석고붕대를 적용한다.
우리 몸의 신체부위 별 골절의 종류와 각 부위별 치료방법은 생각했던 것 보다 훨씬 더 다양각색했다. 이번 과제를 토대로 다음 정형외과 실습 시 미리 사전학습을 하고 실제로 이러한 치료 방법들과 간호가 적용되어있는지 확인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Ⅳ. 참고 문헌
1.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경기, pp.1114~1117
2. 조경숙 외(2011).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서울, pp.383~393
3.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2, 정담미디어: 서울, pp.572~585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