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G
성분명: warfarin 2mg
분류: 혈액응고저지제
단위 : tablet
적응증(용량): 정맥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 색전증에 따른 심방성 세동의 치료, 폐동맥 색전증 예방 치료, 관상동맥 폐색에 사용: 1일 1회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
초회량(2일간): 성인-1일 10mg(출혈경향이 강한 경우 이보다 낮은 용량이 추천됨)
약리작용
1. coumarin계 indirect-acting anticoagulants: vit k와 유사한 구조
2. depresses factors ll(prothrombin),vll,lx,x, and anticoagulant protein C and its cofactor protein S
부작용
1. 치료 초기의 이물감, 경미한 결막 출혈, 안구 불쾌감, 홍채 색소의 증가, 원인 불명의 피부발적
2. 염증, 혈관신생, 폐쇄각 또는 선천성 녹내장 환자, 천식환자는 주의하여 투여
주의사항
1. 알코올 중독, 감정 불안, 정신병, 노년기, 활동성결핵, 심한 당뇨 궤양, 월경증, 분만후 환자, 출혈성 심부전 환자는 주의
2. vit k 결핍 환자 금기
3. 평소와 다르게 월경량이 많거나 잇몸 출혈, 멍이 이유없이 생기면 바로 의사에게 연락하도록 지도
상품명; ketotop EL 1매
성분명: ketoprofen
분류: 진통진양수렴소염제
단위: pack
적응증(용량): 다음질환 및 증상의 진통, 소염: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견관절 주위염, 건초염, 건주위염, 상완골상과염(테니스엘보우등), 근육통, 외상 후의 종창, 동통, 약면의 박리지를 떼어낸 후 1일 1회 부착(환부를 깨끗이 하고 건조 상태에서 부착)
약리작용: NSAIDs 계
부작용: 발진, 발적, 수포, 가려움증, 짓무름, 자극감, 종창등의 접촉 피부염, 피부건조, 광과민증, 아나필락시양 증상(두드러기, 호흡곤란, 안면부종등)
주의사항
1. 아스피린 천식 또는 그 전력이 있는 환자에는 사용금기(기관지 천식 환자에게서 천식 발작을 일으킬 수 있음)
2. 눈 및 점막에 사용하지 말 것
3, 무좀, 백선등에 사용하지 않음
4. 피부감염증을 불현성화 시킬수 있음
② 외과적 치료방법: 특별한 외과적 치료법은 시행하고 있지 않음
③ 특수 치료방법
→ Rt. hemiplegia로 인해서 PT(physical therapy) 시행 중
나. Problem List
1) 동통
2) 가래
3) 어지러움
다. 간호진단
1. 동통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감소
2.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3.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위험
라. 계획, 수행, 평가 적용
1. 동통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감소
주관적 자료
“오른쪽 팔이 아파서 잠을 제대로 못 자겠어요 ”
객관적 자료
손을 잡아 보라고 했더니 왼손에는 힘이 느껴졌으나 오른손은 쥐는 힘 이 약했으며, 우측의 상하지 마비로 인해서 혼자 설수 없다.
목표
동통시 이완요법과 ROM운동을 시행함으로서 동통의 경감을 말할 수 있다.
계획
-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 괴롭히는 자극을 최소로 하며, 적절한 때에 기분전환을 시켜준다
(좋아하시는 노래를 들려 준다거나, 일상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 양쪽 사지의 ROM을 비교하고 하루에 2시간씩 수동적 ROM을 수행한 다.(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행
- 2시간정도 환자분의 안위변화와 통증을 관찰하였다.
- ROM을 가르쳐 주고 아픈부위를 만져주며 환자분을 편안하게 도와주 었다.
평가
ROM운동과 이완요법으로 인해서 동통을 호소하지 않고 잘 주무셨다.
이론적 근거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ROM)은 적절한 관절의 자세를 유지하고, 관절의 가동성을 유지, 증진 시키기 위하며, 근육의 위축, 경축을 예방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2.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주관적 자료
“가래가 잘 안나오고 걸려있는 듯 해요”
객관적 자료
대상자가 가래를 뱉으려는데 잘 안 뱉어져서 자꾸 기침을 하면서 켁켁대는 모습을 보임
목표
단기) 가래의 양이 감소한다.
장기) 기도의 개방성이 증가 할 것이다.
계획
- 적절한 수분섭취를 자주 공급한다.
- 가습기제공, 산소요법을 교육한다.
- 타진법을 시행한다
- high-Fower\'s Position을 취한다.
- 기침과 객담의 특성을 사정한다.
- Sucion으로 흡인하도록 한다.
수행
- 가래의 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자주 자주 수분섭취를 할수 있도록 도와드림.
- 타진법 하루에 여러번 한부위를 30~60초 두드림.
평가
객담의 양이 줄었으나 약간의 객담배출과 편안감을 제공
이론적 근거
- 체위의 잦은 변경은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 충분한 수분의 섭취와 가습요법은 객담을 묽게 하고 섬모의 운동을 도 와 분비물 배출을 쉽게 한다.
3.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위험
주관적 자료
“머리가 띵~하고 어지러워요”
객관적 자료
혈압을 재려고 팔을 달라고 하자 몸을 휘청하는 모습이 보였으며, 과 거에 어지러움을 인한 낙상 경험이 두 번 있었음.
목표
언제든지 발생 할 수 있는 낙상을 예방한다
계획
- 침상 옆의 side rail을 올린다.
- 환자의 낙상 위험성에 대해 조사한다.
- 환자의 인지 사정, 욕구충족을 위해 계속적으로 살핀다.
- 환자를 편안하고 안정감이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수행
- v/s 잴때 마다 환자의 인지 상태를 사정하였으며, 사소한 이야기로 친근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 침상 옆의 side rail을 올릴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2시간 마다 환자의 침상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했다.
평가
어지러움으로 인한 낙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론적 근거
- side rail은 어린이, 노인, 의식 없는 환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Ⅲ. 결론 및 제언
뇌경색은 자신이 자기 관리만 잘하면 예방할 수 있고 또 다시 뇌경색으로 인해서 병원을 찾는 일이 없도록 재활과 추후관리를 잘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Ⅳ. 참 고 문 헌
1. 손영희 외 기본간호학 상. 하 , 현문사
2.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下 현문사
3. 유재희 외 기본간호학 수기, 현문사
4. 최신임상간호 매뉴얼 1, 현문사
성분명: warfarin 2mg
분류: 혈액응고저지제
단위 : tablet
적응증(용량): 정맥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 색전증에 따른 심방성 세동의 치료, 폐동맥 색전증 예방 치료, 관상동맥 폐색에 사용: 1일 1회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
초회량(2일간): 성인-1일 10mg(출혈경향이 강한 경우 이보다 낮은 용량이 추천됨)
약리작용
1. coumarin계 indirect-acting anticoagulants: vit k와 유사한 구조
2. depresses factors ll(prothrombin),vll,lx,x, and anticoagulant protein C and its cofactor protein S
부작용
1. 치료 초기의 이물감, 경미한 결막 출혈, 안구 불쾌감, 홍채 색소의 증가, 원인 불명의 피부발적
2. 염증, 혈관신생, 폐쇄각 또는 선천성 녹내장 환자, 천식환자는 주의하여 투여
주의사항
1. 알코올 중독, 감정 불안, 정신병, 노년기, 활동성결핵, 심한 당뇨 궤양, 월경증, 분만후 환자, 출혈성 심부전 환자는 주의
2. vit k 결핍 환자 금기
3. 평소와 다르게 월경량이 많거나 잇몸 출혈, 멍이 이유없이 생기면 바로 의사에게 연락하도록 지도
상품명; ketotop EL 1매
성분명: ketoprofen
분류: 진통진양수렴소염제
단위: pack
적응증(용량): 다음질환 및 증상의 진통, 소염: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 견관절 주위염, 건초염, 건주위염, 상완골상과염(테니스엘보우등), 근육통, 외상 후의 종창, 동통, 약면의 박리지를 떼어낸 후 1일 1회 부착(환부를 깨끗이 하고 건조 상태에서 부착)
약리작용: NSAIDs 계
부작용: 발진, 발적, 수포, 가려움증, 짓무름, 자극감, 종창등의 접촉 피부염, 피부건조, 광과민증, 아나필락시양 증상(두드러기, 호흡곤란, 안면부종등)
주의사항
1. 아스피린 천식 또는 그 전력이 있는 환자에는 사용금기(기관지 천식 환자에게서 천식 발작을 일으킬 수 있음)
2. 눈 및 점막에 사용하지 말 것
3, 무좀, 백선등에 사용하지 않음
4. 피부감염증을 불현성화 시킬수 있음
② 외과적 치료방법: 특별한 외과적 치료법은 시행하고 있지 않음
③ 특수 치료방법
→ Rt. hemiplegia로 인해서 PT(physical therapy) 시행 중
나. Problem List
1) 동통
2) 가래
3) 어지러움
다. 간호진단
1. 동통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감소
2.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3.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위험
라. 계획, 수행, 평가 적용
1. 동통과 관련된 신체기동성 감소
주관적 자료
“오른쪽 팔이 아파서 잠을 제대로 못 자겠어요 ”
객관적 자료
손을 잡아 보라고 했더니 왼손에는 힘이 느껴졌으나 오른손은 쥐는 힘 이 약했으며, 우측의 상하지 마비로 인해서 혼자 설수 없다.
목표
동통시 이완요법과 ROM운동을 시행함으로서 동통의 경감을 말할 수 있다.
계획
-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 괴롭히는 자극을 최소로 하며, 적절한 때에 기분전환을 시켜준다
(좋아하시는 노래를 들려 준다거나, 일상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 양쪽 사지의 ROM을 비교하고 하루에 2시간씩 수동적 ROM을 수행한 다.(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행
- 2시간정도 환자분의 안위변화와 통증을 관찰하였다.
- ROM을 가르쳐 주고 아픈부위를 만져주며 환자분을 편안하게 도와주 었다.
평가
ROM운동과 이완요법으로 인해서 동통을 호소하지 않고 잘 주무셨다.
이론적 근거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ROM)은 적절한 관절의 자세를 유지하고, 관절의 가동성을 유지, 증진 시키기 위하며, 근육의 위축, 경축을 예방하는데 유용한 방법이다.
2.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주관적 자료
“가래가 잘 안나오고 걸려있는 듯 해요”
객관적 자료
대상자가 가래를 뱉으려는데 잘 안 뱉어져서 자꾸 기침을 하면서 켁켁대는 모습을 보임
목표
단기) 가래의 양이 감소한다.
장기) 기도의 개방성이 증가 할 것이다.
계획
- 적절한 수분섭취를 자주 공급한다.
- 가습기제공, 산소요법을 교육한다.
- 타진법을 시행한다
- high-Fower\'s Position을 취한다.
- 기침과 객담의 특성을 사정한다.
- Sucion으로 흡인하도록 한다.
수행
- 가래의 농도가 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자주 자주 수분섭취를 할수 있도록 도와드림.
- 타진법 하루에 여러번 한부위를 30~60초 두드림.
평가
객담의 양이 줄었으나 약간의 객담배출과 편안감을 제공
이론적 근거
- 체위의 잦은 변경은 객담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 충분한 수분의 섭취와 가습요법은 객담을 묽게 하고 섬모의 운동을 도 와 분비물 배출을 쉽게 한다.
3. 어지러움과 관련된 낙상위험
주관적 자료
“머리가 띵~하고 어지러워요”
객관적 자료
혈압을 재려고 팔을 달라고 하자 몸을 휘청하는 모습이 보였으며, 과 거에 어지러움을 인한 낙상 경험이 두 번 있었음.
목표
언제든지 발생 할 수 있는 낙상을 예방한다
계획
- 침상 옆의 side rail을 올린다.
- 환자의 낙상 위험성에 대해 조사한다.
- 환자의 인지 사정, 욕구충족을 위해 계속적으로 살핀다.
- 환자를 편안하고 안정감이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수행
- v/s 잴때 마다 환자의 인지 상태를 사정하였으며, 사소한 이야기로 친근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 침상 옆의 side rail을 올릴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2시간 마다 환자의 침상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했다.
평가
어지러움으로 인한 낙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론적 근거
- side rail은 어린이, 노인, 의식 없는 환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Ⅲ. 결론 및 제언
뇌경색은 자신이 자기 관리만 잘하면 예방할 수 있고 또 다시 뇌경색으로 인해서 병원을 찾는 일이 없도록 재활과 추후관리를 잘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Ⅳ. 참 고 문 헌
1. 손영희 외 기본간호학 상. 하 , 현문사
2.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 下 현문사
3. 유재희 외 기본간호학 수기, 현문사
4. 최신임상간호 매뉴얼 1, 현문사
추천자료
의식장애 간호사정
[의약학] 뇌경색 case study
근골격게 해부생리& 간호사정 및 진단검사
[논문] 뇌경색 문헌고찰
혈액계 대상자 간호사정 및 간호 진단
뇌졸증 용어 구별(뇌졸증, 뇌경색, 뇌출혈)
지역사회 간호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신생아 간호사정
뇌혈관질환- 정의 및 현황,뇌혈관질환 원인 및 발병기전,뇌졸중(Stroke), 중풍,고혈압성 뇌출...
경막외혈종 케이스(간호사정부터 ~간호진단) A+++++
[정신] 충동조절장애(control disorder) 간호사정 및 퇴원교육
아동정신 장애의 정의 및 특성, 아동정신 장애 대상자 간호사정 및 진단
[간호학] 아동정신장애의 정의 및 특성 아동정신장애 대상자 간호사정 및 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