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생은 미국에서 살고 있다.
나. 그는 호텔에 머무르고 있다.
나‘.*그는 호텔에서 머무르고 있다.
위의 서술어가 ‘에’와 ‘에서’를 모두 취할 수 있는 것은 동사가 행위의 의미와 존재의 의미를 모두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가)와 (가‘.*)와 같이 부사격 조사 ’에‘를 사용하면 살고 있는 위치가 ’미국‘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에서‘가 쓰이면 살고 잇는 행위가 일어나는 곳이 ’미국‘이라는 것을 말한다.
3.3.2. 이동의 ‘에’, ‘에서’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이동 동사와 함께 쓰여 ‘이동’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이나 ‘에’는 ‘도착’의 의미를 나타내고 ‘에서’는 ‘출발’의 의미를 나타낸다.
가. 마이클 씨는 미국에 왔어요.
가‘.마이클 씨는 미국에서 왔어요.
나. 소포를 우체국에 보내라.
나‘.소포를 우체국에서 보내라.
위의 문장은 조사 ‘에’, ‘에서’만 다를 뿐 문장의 요소가 모두 동일하다. (가)는 마이클 씨가 미국에 도착했다는 의미로 쓰이지만 (38나)는 마이클 씨가 미국에서부터 출발하여 어느 곳인가에 왔다는 의미로 쓰인다. (38나)도 소포가 우체국에 도착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이지만 (38나‘)는 소포를 보내는 장소가 우체국이 되어 우체국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에’와 ‘에서’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지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이는데 이때 ‘에’는 어디를 향하여 간다는 ‘낙착점’의 의미를 나타내고, ‘에서’는 어디로부터 떨어져 나올 때 쓰이는 ‘분리’의 의미를 나타낸다.
가. 봉투에 우표를 붙였다.
가‘.봉투에서 우표를 뗐다.
나. 바닥에 껌을 뱉었다.
나‘.바닥에서 껌을 뗐다.
(39가),(39가‘)와 같이 부사격 조사 ’에‘가 쓰일 경우에는 ’우표‘가 ’붙이다‘라는 서술어와 함께 쓰여 ’봉투‘를 향하여 간다는 의미를 나타내지만 ’에서‘가 쓰일 경우에는 ’때다‘라는 서술어와 함께 쓰여 ’봉투‘로부터 떨어져 나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39나),(39나‘)에서도 ’껌‘이 부사격 조사 ’에‘와 결합하여 바닥을 향하여 간다는 의미를 나타내지만, ’에서‘와 함께 쓰일 때는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나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3.4. 부사격 조사에 대한 인지적 의미 분석
장소 관련
부사격 조사
의미
해당 조사
처소
소재지(위치)
에
행위지
에서
이동
출발점
에서, 에서부터, 에게서
도달점
에, 에게
지향점 및 경로
로, 에로
의미에 따른 장소 관련 부사격 조사의 유형 및 어휘소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기본적으로 장소와 관련하여 특정 대상의 위치나 출발점, 도달점 등 모두 물리적 대상의 공간적 관계를 나타낸다.
3.4.1. 부사격 조사의 의미 기능
일반적으로 물리적 대상의 공간적 관계는 어떤 기준점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에 따라 지정되는데, 기준이 되는 대상 즉 지표(landmark)가 어떻게 구체화되느냐에 따라 그 관계가 명시된다. 한국어에서는 부사격 조사를 통해 지표의 특성을 구체화함으로써 이들 관계가 표현된다.
ㄱ. 커피는 네 책상에 있으니까 식기 전에 마셔.
ㄴ. 철수는 가스레인지에서 냄비를 내려놓았다.
ㄷ. 바람이 불자 영희의 모자가 자동차 쪽으로 날아갔다.
(ㄱ)의 ‘에’는 지표 ‘책상’의 경계면을 한정함으로써 ‘커피’가 ‘책상’과 관련하여 소재함을 나타내며, (ㄴ)의 ‘에서’는 지표 ‘가스레인지’가 ‘냄비’의 움직임이 시작된 공간임을 지시하여 ‘냄비’와 ‘가스레인지’가 분리됨을 나타낸다. (ㄷ)의 ‘로’는 지표 ‘자동차’의 부근으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어 ‘모자’의 이동 방향을 구체화 한다. 이처럼, 장소의 부사격 조사는 지표의 의미 특성을 기술함으로써 사물들 사이에 존재하는 처소 및 이동의 관계는 명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처소 관계
소 재 지
에
행 위 지
에서
이동 관계
도 달 점
에/에게
출 발 점
에서/에게서
지향점 및 경로
로
부사격 조사의 공간 관계 지시 기능
3.4.2. 처소 관계의 ‘에’와 ‘에서’
처소란 한 사물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며 위치해 있는 ‘소재지’나 한 사물의 특정한 행위가 이루어지는 ‘행위지’를 말한다. 이러한 지표의 특성은 조사 ‘에’와 ‘에서’를 통해 명시된다.
(1) ㄱ. 부모님은 집에 계신다.
ㄴ. 포유동물에 무엇이 있지?
ㄷ. 이 무더위에 어떻게 지냈니?
ㄹ. 나는 아침에 운동을 한다.
ㅁ. 그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5) ㄱ. 우리는 아침에 도서관에서 만나기로 하였다.
ㄴ. 전체 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ㄷ. 그 기업은 늘 위기에서 진정한 능력을 보여준다.
예문(1ㄱ)에서는 ‘부모님’이 구체적 장소 ‘집’과 맺고 있는 처소의 관계가 조사 ‘에’를 통해 기술되고 있으며, (2ㄱ)에서는 ‘만남’의 행위가 구체적 장소 ‘도서관’과 맺고 있는 처소의 관계가 조사 ‘에서’를 통해 기술되고 있다. 이처럼 조사 ‘에’와 ‘에서’는 기본적으로 물리적 대상의 [소재지] 및 [행위지]의 공간적 의미를 나타낸다.
부사격 조사 ‘에’ 및 ‘에서’의 처소 개념
그런데 어떤 대상이 머물러 있거나 어떤 대상의 행위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장소는 일반적으로 우의 그림에서처럼 분명한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계는 처소 관계에 있는 대상의 기능이 미칠 수 있는 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제공한다.
4. ‘에’, ‘에서’의 교육내용 제안
본 연구에선 부사격 조사 ‘에’, ‘에서’의 모든 의미와 용법별 교육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장소의 의미로 사용되는 ‘에’와 ‘에서’를 교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소의 의미로 사용되는 부사격 조사 ‘에’, ‘에서’를 제시하는 교육 원리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에게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의미와 용법을 모두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주 쓰이는 조사의 의미를 중심으로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에’와 ‘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인 ‘장소’를 중심으로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다양한 예문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의미 차이와 선택 규칙을 깨닫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문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시각적인 효과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그리
나. 그는 호텔에 머무르고 있다.
나‘.*그는 호텔에서 머무르고 있다.
위의 서술어가 ‘에’와 ‘에서’를 모두 취할 수 있는 것은 동사가 행위의 의미와 존재의 의미를 모두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위의 (가)와 (가‘.*)와 같이 부사격 조사 ’에‘를 사용하면 살고 있는 위치가 ’미국‘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에서‘가 쓰이면 살고 잇는 행위가 일어나는 곳이 ’미국‘이라는 것을 말한다.
3.3.2. 이동의 ‘에’, ‘에서’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이동 동사와 함께 쓰여 ‘이동’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이나 ‘에’는 ‘도착’의 의미를 나타내고 ‘에서’는 ‘출발’의 의미를 나타낸다.
가. 마이클 씨는 미국에 왔어요.
가‘.마이클 씨는 미국에서 왔어요.
나. 소포를 우체국에 보내라.
나‘.소포를 우체국에서 보내라.
위의 문장은 조사 ‘에’, ‘에서’만 다를 뿐 문장의 요소가 모두 동일하다. (가)는 마이클 씨가 미국에 도착했다는 의미로 쓰이지만 (38나)는 마이클 씨가 미국에서부터 출발하여 어느 곳인가에 왔다는 의미로 쓰인다. (38나)도 소포가 우체국에 도착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이지만 (38나‘)는 소포를 보내는 장소가 우체국이 되어 우체국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는 의미로 쓰인다.
‘에’와 ‘에서’는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겨지는 것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이는데 이때 ‘에’는 어디를 향하여 간다는 ‘낙착점’의 의미를 나타내고, ‘에서’는 어디로부터 떨어져 나올 때 쓰이는 ‘분리’의 의미를 나타낸다.
가. 봉투에 우표를 붙였다.
가‘.봉투에서 우표를 뗐다.
나. 바닥에 껌을 뱉었다.
나‘.바닥에서 껌을 뗐다.
(39가),(39가‘)와 같이 부사격 조사 ’에‘가 쓰일 경우에는 ’우표‘가 ’붙이다‘라는 서술어와 함께 쓰여 ’봉투‘를 향하여 간다는 의미를 나타내지만 ’에서‘가 쓰일 경우에는 ’때다‘라는 서술어와 함께 쓰여 ’봉투‘로부터 떨어져 나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39나),(39나‘)에서도 ’껌‘이 부사격 조사 ’에‘와 결합하여 바닥을 향하여 간다는 의미를 나타내지만, ’에서‘와 함께 쓰일 때는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나온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3.4. 부사격 조사에 대한 인지적 의미 분석
장소 관련
부사격 조사
의미
해당 조사
처소
소재지(위치)
에
행위지
에서
이동
출발점
에서, 에서부터, 에게서
도달점
에, 에게
지향점 및 경로
로, 에로
의미에 따른 장소 관련 부사격 조사의 유형 및 어휘소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기본적으로 장소와 관련하여 특정 대상의 위치나 출발점, 도달점 등 모두 물리적 대상의 공간적 관계를 나타낸다.
3.4.1. 부사격 조사의 의미 기능
일반적으로 물리적 대상의 공간적 관계는 어떤 기준점으로부터 설정된 방향에 따라 지정되는데, 기준이 되는 대상 즉 지표(landmark)가 어떻게 구체화되느냐에 따라 그 관계가 명시된다. 한국어에서는 부사격 조사를 통해 지표의 특성을 구체화함으로써 이들 관계가 표현된다.
ㄱ. 커피는 네 책상에 있으니까 식기 전에 마셔.
ㄴ. 철수는 가스레인지에서 냄비를 내려놓았다.
ㄷ. 바람이 불자 영희의 모자가 자동차 쪽으로 날아갔다.
(ㄱ)의 ‘에’는 지표 ‘책상’의 경계면을 한정함으로써 ‘커피’가 ‘책상’과 관련하여 소재함을 나타내며, (ㄴ)의 ‘에서’는 지표 ‘가스레인지’가 ‘냄비’의 움직임이 시작된 공간임을 지시하여 ‘냄비’와 ‘가스레인지’가 분리됨을 나타낸다. (ㄷ)의 ‘로’는 지표 ‘자동차’의 부근으로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어 ‘모자’의 이동 방향을 구체화 한다. 이처럼, 장소의 부사격 조사는 지표의 의미 특성을 기술함으로써 사물들 사이에 존재하는 처소 및 이동의 관계는 명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처소 관계
소 재 지
에
행 위 지
에서
이동 관계
도 달 점
에/에게
출 발 점
에서/에게서
지향점 및 경로
로
부사격 조사의 공간 관계 지시 기능
3.4.2. 처소 관계의 ‘에’와 ‘에서’
처소란 한 사물이 일정한 공간을 차지하며 위치해 있는 ‘소재지’나 한 사물의 특정한 행위가 이루어지는 ‘행위지’를 말한다. 이러한 지표의 특성은 조사 ‘에’와 ‘에서’를 통해 명시된다.
(1) ㄱ. 부모님은 집에 계신다.
ㄴ. 포유동물에 무엇이 있지?
ㄷ. 이 무더위에 어떻게 지냈니?
ㄹ. 나는 아침에 운동을 한다.
ㅁ. 그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5) ㄱ. 우리는 아침에 도서관에서 만나기로 하였다.
ㄴ. 전체 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다.
ㄷ. 그 기업은 늘 위기에서 진정한 능력을 보여준다.
예문(1ㄱ)에서는 ‘부모님’이 구체적 장소 ‘집’과 맺고 있는 처소의 관계가 조사 ‘에’를 통해 기술되고 있으며, (2ㄱ)에서는 ‘만남’의 행위가 구체적 장소 ‘도서관’과 맺고 있는 처소의 관계가 조사 ‘에서’를 통해 기술되고 있다. 이처럼 조사 ‘에’와 ‘에서’는 기본적으로 물리적 대상의 [소재지] 및 [행위지]의 공간적 의미를 나타낸다.
부사격 조사 ‘에’ 및 ‘에서’의 처소 개념
그런데 어떤 대상이 머물러 있거나 어떤 대상의 행위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장소는 일반적으로 우의 그림에서처럼 분명한 경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계는 처소 관계에 있는 대상의 기능이 미칠 수 있는 일정한 범위나 한계를 제공한다.
4. ‘에’, ‘에서’의 교육내용 제안
본 연구에선 부사격 조사 ‘에’, ‘에서’의 모든 의미와 용법별 교육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장소의 의미로 사용되는 ‘에’와 ‘에서’를 교수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장소의 의미로 사용되는 부사격 조사 ‘에’, ‘에서’를 제시하는 교육 원리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 학습자에게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의미와 용법을 모두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자주 쓰이는 조사의 의미를 중심으로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에’와 ‘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인 ‘장소’를 중심으로 교육 방안을 제시한다.
둘째, 다양한 예문을 통해 학습자가 스스로 의미 차이와 선택 규칙을 깨닫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셋째, 문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시각적인 효과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그리
추천자료
[국어교육론] 문법교육방법 요약 및 교육과정 분석
[국어교육론] 문법 교육 방법, 문법 교육 과정 분석
국어교육론(문법교육의 방법 및 평가 문법 교육과정 분석)
한국어의 발음에는 여러 가지 음운 현상이 있습니다. 비음화의 음운현상을 설명하고 어떻게 ...
2013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학습자유형, 어휘선정방법론)
<한국어 교안(문법)> -ㄴ 후에/은 후에.pptx
<한국어 교안(문법)> 단원명 : 어떤 선물을 할 거예요? / 문법항목 : ~‘(명)에게 ’ ,‘ (명)...
<한국어 교안(문법)> 단원명 : 제6과 내일 우리 집에 오세요. / 학습 목표 : ‘-(으)세요’를 ...
[교재교수법] 한국어교육 교재만들기(재외동포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 1과부터 5과까지 ...
한국어교안(문법) 4p - [동]ㄴ, -은 후에, [명]후에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Q. 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
2017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단모음과 이중모음, 유의관계 교육방안)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론]구어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어휘교육론]한국어 어휘의 사회 언어학적 특징에 무엇이 있는지 쓰고, 구체적인 예를 만들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