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1.2. 연구내용 및 방법
1.3. 선행연구
2.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한국어 조사 '에'와 '에서'의 용법
2.1.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부사격 조사 '에'의 용법
2.1.1. 장소
2.1.2. 시간
2.2.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부사격 조사 '에서'의 용법
3. 중국어 '在'의 통사적 의미 기능 및 조사 '에'와 '에서'의 차이점
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에'와 '에서'의 오류 양상 분석
5.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개선 방안
6. 결론
1.1. 연구배경
1.2. 연구내용 및 방법
1.3. 선행연구
2.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한국어 조사 '에'와 '에서'의 용법
2.1.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부사격 조사 '에'의 용법
2.1.1. 장소
2.1.2. 시간
2.2.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부사격 조사 '에서'의 용법
3. 중국어 '在'의 통사적 의미 기능 및 조사 '에'와 '에서'의 차이점
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에'와 '에서'의 오류 양상 분석
5.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개선 방안
6. 결론
본문내용
당하고, \'在NP\'가 동사 뒤에 위치할 때, \'在\'는 주로 \'에\'에 해당한다. 염준(2007), 「전치사 \'在\'와 조사 \'에서, 에\'의 대응 연구 -처소 의미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 가설은 염준(2007)에서 말뭉치언어학적으로 인증을 받았다.
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에\'와 \'에서\'의 오류 양상 분석
위의 3장과 4장에 의하면 \'에서\'는 시간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在\'를 대응할 때 \'에\'만 가지고 있는 의미기능이므로 오류가 많지 않다. 그것은 교육 현장에서도 인장을 받았다. 중국 인터넷 YY(語音의 音의 첫 성모의 줄인 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인터넷 어학원에서 나오는 100명 초급단계의 중국인 한국어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제
정답
정답 인원수
1. 왕호 씨가 아침 7시( ) 일어납니다.
에
100
2. 왕호 씨가 만리장성( ) 이 사진을 찍었습니다.
에서
75
3. 왕호 씨가 공원( ) 사진을 찍으러 갔습니다.
에
40
4. 우리 집( ) 침실이 3개 있습니다.
에
49
5. 학교( ) 한국어를 공부합니다.
에서
79
6. 어제( ) 비빔밥을 먹었습니다.
0
81
위의 표를 보듯이 6개의 문제를 학생에게 내 주었다. 그리고 \'에\'의 시간 및 장소의 의미, \'에서\'의 장소의 의미 기능 각 2개의 문제를 만들었다. (1)(6)은 \'에\'의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인데 다른 문제보다 더 많은 학생들은 정답을 하였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에\'가 시간의 의미 기능을 제시할 때는 중국어의 개사 \'在\'와 1:1의 대응관계이므로 어려움이 없다고 위의 문제를 풀었을 때 학습들이 답하였다. 그러나 (6)번에 나오는 \'어제\'라는 명사 뒤에 \'에\'를 붙이지 않은 것은 교사들이 가르치었다고 하지만 20% 가량의 학생들이 오류가 생겼다. 중국어에서는 어제를 대응하는 \'昨天\' 뒤에 \'在\'를 붙일 수 있어서 한국어와 비대응관계가 생기므로 학생들에게 오류가 생겼다.
시간의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것보다 장소의 의미를 나타낼 때 오류가 더 많이 생긴다는 것은 설문조사에 따르면 보았다.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장소명사와 결합하여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그래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떤 때는 \'에\'를 써야 되는지 어떤 때는 \'에서\'를 써야 되는지가 구별하기가 어렵다.
또한 장소를 나타낼 때 중국어로 번역할 때 주로 \'在\'가 대응된다. 그래서 \'에\'와 \'에서\'는 후행하는 서술어에 따라 구별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사격 조사 \'에\'는 목적지의 의미를 나타내며 주로 \'가다, 오다, 다니다\'와 같은 이동 동사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에서\'는 주로 \'공부하다, 먹다\'와 같은 동작동사와 결합한다. 그래서 위의 표 (2)(5)번은 비교적으로 틀리게 답한 학생 수가 적다. 교사들이 일반적으로 \'~에 가다/오다\'라는 것을 한 덩어리로 제시하고 강의하므로 외워서 배우는 학생도 많다고 해서 (2)번과 같은 것은 그리 어렵지는 않다. (5)번도 마찬가지로 교사들은 보통 \'어떤 장소에서 어떤 동작을 한다\'라고 반복해서 학생들에게 얘기를 해 주면서 학생들이 익숙하다.
하지만 (3)번과 같은 경우에는 \'~러\'라는 연결어미가 나타나서 문장 성분과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초급단계에 있는 학생들에게 \'에\'가 \'찍다\'와 관련이 되지 않고 뒤에 나오는 \'가다\'와 결합해야 되는 것을 파악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4)에 나오는 문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에 ~이 있다\'라는 관용표현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초급단계에 있는 학생들에게는 길게 나오는 표현을 숙지하기가 어렵다고 본다. 또 \'있다\'와 대응되는 중국어는 \'有\'이다. \'有\'는 품사적으로도 한국어와 다르다. 중국어의 \'有\'는 동사이다. 통사론적으로 비대응관계도 생기므로 어려울 수밖에 없다.
5.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개선 방안
2장과 3장의 통사론적으로 \'에, 에서\' 및 \'在\'의 일부분의 의미기능을 논술하는 것에 따라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중국어를 번역할 때 주로 \'在\'가 된다. 그러나 한국어는 \'에\'와 \'에서\'는 두 개의 형태소가 중국어로 옮긴 후 하나의 형태소가 되는 바람에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어려움이 생겨서 오류가 많이 발생할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在\'의 의미 기능이 많아서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에게도 \'在\'를 배울 때 어려움이 없을 수밖에 없다. 4장에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통해서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오류 원인을 모색하였다.
\'에\'의 시간에 관련된 의미기능을 강의할 때 \'어제\'나 \'내일\'이나 등과 같은 \'에\'가 붙어 줄 수 없는 특수 시간 명사를 제시하는 것은 효과적이다.
\'에\'의 장소에 관련된 의미기능을 강의할 때는 두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워야 한다. 첫째, \'가다\'나 \'오다\'와 같은 이동 동사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목적지\'라는 키워드는 학습자들에게 반복해서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에 ~이 있다\'와 같은 상황에서는 한 덩어리로 설명하기도 되겠지만 통사론적으로 \'있다\'의 품사까지 가르치는 것은 더 효과적이다. 이럴 때는 \'에서\'와 비교하교 강의하는 것도 좋다. \'에서\'는 동작동사 앞에서 많이 쓰이는 것은 일반적이다. 또 \'에서\'를 가르칠 때 \'어떤 장소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한다\'라고 반복해서 강의하는 것은 좋다. \'에서\'를 강의할 때도 \'에\'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것과 비교해서 강의해야 한다. 예를 들자면 \'한국에 간다\'라고 하는 것은 \'한국\'은 목적지이고 \'가다\'라는 동작은 한국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도 강조해야 한다. 또한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운다\'라는 하는 예를 들 때 \'한국어를 배우다\'라는 이야기는 \'한국\'에서 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해야 한다.
6. 결론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많이 혼동하여 쓰게 되는 \'에\'와 \'에서\' 및 그들을 대응하는 중국어 \'在\'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한국어 부사격 조사들이 중국어로 변역할 때 일반적으로 전치사(개사)가 된다. 그러나 불완전 대응이나 2대1과 같은 것은 학습자들에게 어려움을
이 가설은 염준(2007)에서 말뭉치언어학적으로 인증을 받았다.
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에\'와 \'에서\'의 오류 양상 분석
위의 3장과 4장에 의하면 \'에서\'는 시간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고 \'在\'를 대응할 때 \'에\'만 가지고 있는 의미기능이므로 오류가 많지 않다. 그것은 교육 현장에서도 인장을 받았다. 중국 인터넷 YY(語音의 音의 첫 성모의 줄인 말)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인터넷 어학원에서 나오는 100명 초급단계의 중국인 한국어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제
정답
정답 인원수
1. 왕호 씨가 아침 7시( ) 일어납니다.
에
100
2. 왕호 씨가 만리장성( ) 이 사진을 찍었습니다.
에서
75
3. 왕호 씨가 공원( ) 사진을 찍으러 갔습니다.
에
40
4. 우리 집( ) 침실이 3개 있습니다.
에
49
5. 학교( ) 한국어를 공부합니다.
에서
79
6. 어제( ) 비빔밥을 먹었습니다.
0
81
위의 표를 보듯이 6개의 문제를 학생에게 내 주었다. 그리고 \'에\'의 시간 및 장소의 의미, \'에서\'의 장소의 의미 기능 각 2개의 문제를 만들었다. (1)(6)은 \'에\'의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인데 다른 문제보다 더 많은 학생들은 정답을 하였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에\'가 시간의 의미 기능을 제시할 때는 중국어의 개사 \'在\'와 1:1의 대응관계이므로 어려움이 없다고 위의 문제를 풀었을 때 학습들이 답하였다. 그러나 (6)번에 나오는 \'어제\'라는 명사 뒤에 \'에\'를 붙이지 않은 것은 교사들이 가르치었다고 하지만 20% 가량의 학생들이 오류가 생겼다. 중국어에서는 어제를 대응하는 \'昨天\' 뒤에 \'在\'를 붙일 수 있어서 한국어와 비대응관계가 생기므로 학생들에게 오류가 생겼다.
시간의 의미 기능을 나타내는 것보다 장소의 의미를 나타낼 때 오류가 더 많이 생긴다는 것은 설문조사에 따르면 보았다.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장소명사와 결합하여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그래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떤 때는 \'에\'를 써야 되는지 어떤 때는 \'에서\'를 써야 되는지가 구별하기가 어렵다.
또한 장소를 나타낼 때 중국어로 번역할 때 주로 \'在\'가 대응된다. 그래서 \'에\'와 \'에서\'는 후행하는 서술어에 따라 구별될 수 있을 것이다. 부사격 조사 \'에\'는 목적지의 의미를 나타내며 주로 \'가다, 오다, 다니다\'와 같은 이동 동사와 결합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에서\'는 주로 \'공부하다, 먹다\'와 같은 동작동사와 결합한다. 그래서 위의 표 (2)(5)번은 비교적으로 틀리게 답한 학생 수가 적다. 교사들이 일반적으로 \'~에 가다/오다\'라는 것을 한 덩어리로 제시하고 강의하므로 외워서 배우는 학생도 많다고 해서 (2)번과 같은 것은 그리 어렵지는 않다. (5)번도 마찬가지로 교사들은 보통 \'어떤 장소에서 어떤 동작을 한다\'라고 반복해서 학생들에게 얘기를 해 주면서 학생들이 익숙하다.
하지만 (3)번과 같은 경우에는 \'~러\'라는 연결어미가 나타나서 문장 성분과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초급단계에 있는 학생들에게 \'에\'가 \'찍다\'와 관련이 되지 않고 뒤에 나오는 \'가다\'와 결합해야 되는 것을 파악할 수 없다.
마지막으로 (4)에 나오는 문제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에 ~이 있다\'라는 관용표현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초급단계에 있는 학생들에게는 길게 나오는 표현을 숙지하기가 어렵다고 본다. 또 \'있다\'와 대응되는 중국어는 \'有\'이다. \'有\'는 품사적으로도 한국어와 다르다. 중국어의 \'有\'는 동사이다. 통사론적으로 비대응관계도 생기므로 어려울 수밖에 없다.
5.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개선 방안
2장과 3장의 통사론적으로 \'에, 에서\' 및 \'在\'의 일부분의 의미기능을 논술하는 것에 따라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중국어를 번역할 때 주로 \'在\'가 된다. 그러나 한국어는 \'에\'와 \'에서\'는 두 개의 형태소가 중국어로 옮긴 후 하나의 형태소가 되는 바람에 중국인 학습자들에게는 어려움이 생겨서 오류가 많이 발생할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在\'의 의미 기능이 많아서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에게도 \'在\'를 배울 때 어려움이 없을 수밖에 없다. 4장에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통해서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오류 원인을 모색하였다.
\'에\'의 시간에 관련된 의미기능을 강의할 때 \'어제\'나 \'내일\'이나 등과 같은 \'에\'가 붙어 줄 수 없는 특수 시간 명사를 제시하는 것은 효과적이다.
\'에\'의 장소에 관련된 의미기능을 강의할 때는 두 가지의 유형으로 나누워야 한다. 첫째, \'가다\'나 \'오다\'와 같은 이동 동사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목적지\'라는 키워드는 학습자들에게 반복해서 인식시켜야 한다. 둘째, \'~에 ~이 있다\'와 같은 상황에서는 한 덩어리로 설명하기도 되겠지만 통사론적으로 \'있다\'의 품사까지 가르치는 것은 더 효과적이다. 이럴 때는 \'에서\'와 비교하교 강의하는 것도 좋다. \'에서\'는 동작동사 앞에서 많이 쓰이는 것은 일반적이다. 또 \'에서\'를 가르칠 때 \'어떤 장소 안에서 어떤 행동을 한다\'라고 반복해서 강의하는 것은 좋다. \'에서\'를 강의할 때도 \'에\'의 목적지를 나타내는 것과 비교해서 강의해야 한다. 예를 들자면 \'한국에 간다\'라고 하는 것은 \'한국\'은 목적지이고 \'가다\'라는 동작은 한국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고 하는 것도 강조해야 한다. 또한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운다\'라는 하는 예를 들 때 \'한국어를 배우다\'라는 이야기는 \'한국\'에서 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해야 한다.
6. 결론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많이 혼동하여 쓰게 되는 \'에\'와 \'에서\' 및 그들을 대응하는 중국어 \'在\'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한국어 부사격 조사들이 중국어로 변역할 때 일반적으로 전치사(개사)가 된다. 그러나 불완전 대응이나 2대1과 같은 것은 학습자들에게 어려움을
키워드
추천자료
[국어교육론] 문법교육방법 요약 및 교육과정 분석
[국어교육론] 문법 교육 방법, 문법 교육 과정 분석
국어교육론(문법교육의 방법 및 평가 문법 교육과정 분석)
한국어의 발음에는 여러 가지 음운 현상이 있습니다. 비음화의 음운현상을 설명하고 어떻게 ...
2013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학습자유형, 어휘선정방법론)
<한국어 교안(문법)> -ㄴ 후에/은 후에.pptx
<한국어 교안(문법)> 단원명 : 어떤 선물을 할 거예요? / 문법항목 : ~‘(명)에게 ’ ,‘ (명)...
<한국어 교안(문법)> 단원명 : 제6과 내일 우리 집에 오세요. / 학습 목표 : ‘-(으)세요’를 ...
[교재교수법] 한국어교육 교재만들기(재외동포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 1과부터 5과까지 ...
한국어교안(문법) 4p - [동]ㄴ, -은 후에, [명]후에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Q. 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
2017년 2학기 한국어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단모음과 이중모음, 유의관계 교육방안)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론]구어의 특성에 대해 기술하시오.
[어휘교육론]한국어 어휘의 사회 언어학적 특징에 무엇이 있는지 쓰고, 구체적인 예를 만들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