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일반적으로 발음 교육은 교사의 발음을 듣고 따라하게 하거나, 학습자의 모국어 음소와의 대조를 통해 발음 오류를 인식케 한다. 또한 학습자 모국어의 변이음을 이용한다든가 아니면 한국어 음소의 조음 방법을 직접 교육하는 방법(정명숙,2002)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먼저 오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한 다음, 유형에 따른 가장 적절하고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ㅓ//ㅛ/와 /ㅗ//ㅛ/의 발음 오류이다. 이는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오류로서 그 예를 살펴보면,
예1) /ㅓ/를 [ㅗ]로 발음: 거리→ [고리], 거기→ [고기], 덜다→ [돌다]
검→ [곰], 어르다→ [오르다]
예2) /ㅕ/를 [ㅛ]로 발음: 현재→ [횬재], 겨울→ [교울], 별로→ [
일반적으로 발음 교육은 교사의 발음을 듣고 따라하게 하거나, 학습자의 모국어 음소와의 대조를 통해 발음 오류를 인식케 한다. 또한 학습자 모국어의 변이음을 이용한다든가 아니면 한국어 음소의 조음 방법을 직접 교육하는 방법(정명숙,2002)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먼저 오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한 다음, 유형에 따른 가장 적절하고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ㅓ//ㅛ/와 /ㅗ//ㅛ/의 발음 오류이다. 이는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오류로서 그 예를 살펴보면,
예1) /ㅓ/를 [ㅗ]로 발음: 거리→ [고리], 거기→ [고기], 덜다→ [돌다]
검→ [곰], 어르다→ [오르다]
예2) /ㅕ/를 [ㅛ]로 발음: 현재→ [횬재], 겨울→ [교울], 별로→ [
추천자료
외국인 화자에게 나타나는 한국어의 음운 특징- 중국인과 인도인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원격교육 방식을 통한 한국어 교재개발 및 교사교육
[한국어교육]한국어 국제화의 필요성 및 방안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받침의 교육방안
<전신반응 교수법(TPR : Total Physical Response)을 적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안>
[국문학개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연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의 검토를 ...
[국문학개론]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한국어 교육에...
[국문학개론] 한국, 베트남어 대비를 통한 문법 교육,한국어 문법 교육 현황, 한국어,베트남...
한국어음운론_어문 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
한국어능력평가론(언어 평가 도구)
한국어교육개론)한국어 교수법의 변천사를 간략히 정리하고 자신의 교실에 적용할 수 있는 교...
한국어교육학 개관
한국어음운론 ) 어문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