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학 개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교육학 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2.1.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개념
2.2. 한국어교육의 필요성

3. 한국어교육학의 성격과 분야
3.1. 한국어교육학의 성격
3.2. 한국어교육학의 분야

4.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4.1. 한국어교육의 현황
4.1.1. 재외동포에 대한 한국어교육
4.1.2. 외국인에 대한 한국어교육
4.2. 한국어교육의 과제

5. 한국어교육의 지향점

6.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서 정부에서는 한국학교 등 교육 기관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교재를 개발하여 공급도 하고 있다. 재외 동포를 위한 교육기관은 1995년 11월 초중등 교육기관인 전일제 학교가 15개국에 21개 교 설치 운영되었다. 그리고 53개 교육원이 현지에서 민족 교육을 지원했다. 이 밖에 재외 동포 스스로 1,523개의 정시제(定時制, part-time) 한글학교를 설립하여 운영했다. 노일숙(1997). 「재외동포 교육과 한국어의 세계화」. 해외민족과 차세대. SAT 한국어진흥재단.
재외 동포의 민족 교육은 주로 교육부와 그 직속 기관인 국제교육진흥원과 현지 교육기관에서 수행하게 되어 있다. 국제교육진흥원에서는 교포 및 동포 교육을 위해 한국어교육을 꾀하고 있고, 재외 한국어 교사도 초청 연수하고 있다. 한국어 교과서도 개발 공급하고 있는데, 이들은 일어권, 영어권, 노어권, 서반어권 등으로 되어 있다.
국적을 달리하는 우리 동포에 대한 정부 차원의 한국어교육은 알마타, 타슈켄트 및 사할린에 교육원을 설치 운영하고 있고, 국립국어연구원에서 방학을 이용해 중국과 독립국가연합에 강사를 파견하여 한국어 교사를 연수시키고 있다. 1995년에는 한국어의 진흥 보급을 위해 ‘한국어 세계화재단’이 창설되었고, 해외동포 교육 진흥을 위해 ‘해외동포 교육진흥재단’이 창설된 바 있다. 교육진흥재단에서는 경제적인 후원은 물론 교재개발, 교원 연수, 학술토론회 등의 사업을 전개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해외 동포에 대한 한국어교육은 강화될 것이다.
4.1.2. 외국인에 대한 한국어교육
언어 교육은 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혀 우호적 관계를 갖게 하며, 문화교류를 촉진한다. 따라서 나라마다 외국어로서의 자국어 교육에 큰 관심을 갖는다. 영어의 경우 모국어로서의 언어교육보다 외국어로서의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꾀해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외국어로서의 언어교육은 이 밖에 자국의 이익이나, 기업 및 개인의 이해관계에 따라 꾀해지기도 한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은 국내에서 꾀해지기도 하고, 외국의 교육기관에서 꾀해지기도 한다. 국내의 경우는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을 비롯하여,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연수부,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한국외국어대학교 연수원 등의 대학 부설 연수기관 및 사설기관으로 재단법인 언어교육 부설 언어교육연구원, 시사영어사 한국어학당, 연세어학원 등에서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이 밖에 서울 YWCA 여름학교, 단국대학교 여름학교 등에서도 한국어교육이 꾀해지고 있으며, 산업체에서 외국 근로자들에게 한국어가 교육되고 있다. 이들 연수기관에서는 많은 나라 사람들에게 한국어를 교육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이미 1991년의 자료만 보아도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가르친 연수생의 나라가 약 80개국에 이르기 때문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미국일본중국독립국가연합 등에서 활발히 꾀해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가르치거나, 한국학 관련 과정을 두고 있는 대학이 하버드대, 웨싱턴대, 컬럼비아대, 버클리대, 하와이대 등 약 110개 대학에 이른다. 미국에서의 한국어 과정은 1950년대 초에 중국어 또는 일본어의 부수과정으로 개설되었다. 그러던 것이 1970년대에 들어서 한국 경제의 성장과 함께 학구적 대상이 되어 확산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1988년의 서울 올림픽을 계기로 급속히 발전되었다. 수강생은 대부분이 한국계라 한다. 그라나 국방 외국어 대학, 부리검 영 대학의 수강생은 거의 전부가 비한국계 미국인이어서 다른 대학과 그 경향을 달리한다. 한인사회학교는 약 850개, 중등학교는 34개로 보고된다. 손호민(1999). 「미국에서의 한국어 교육방법」. 국어교육연구 6.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일본의 경우는 1925년 덴리대학에 처음으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었다. 대학에 학과가 설치된 곳은 덴리대, 오사카 외대, 도쿄 외대, 도야마대, 간다대, 레이타쿠대, 니쇼가쿠샤대 등이다. 고등학교의 한국어도 급증하여 오사카 부립 니시나리 고등학교 등 개설 예정을 포함하여 130개교에 이른다. 한일신문(韓日新聞). 1998. 10
이 밖에 외무성 연수소, 방위대학교, 경찰대학교, 해상보안대 학교 등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이밖에 NHK 등 방송국에 ‘한글강좌’가 개설되어 있고, 많은 사설 기관과 시민 문화센터에서 한국어가 가르쳐지고 있다. 그리고 일본에서도 호주, 미국에 이어 대학 입학시험인 ‘센터시험’에 2002년부터 한국어를 포함시키기로 되어 있다.
중국과 독립국가연합은 특수성을 지니는 경우다. 중국의 동북 3성의 경우는 민족어 교육으로서 활발히 한국어교육이 꾀해지고 있다. 이 밖에 한국어문학을 강의하는 학과가 개설된 대학은 북경대, 중앙민족대, 대외경제무역대, 연변대, 낙양 외대를 비롯하여 1996년 현제 4년제 대학만 하여도 25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 밖에 2, 3년 과정까지 포함하면 오늘날 4, 50개를 헤아리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경우는 문화혁명으로 한때 민족교육이 금지되어 한국어교육이 중단된 바 있기도 하다.
독립국가연합의 경우는 1879년 레닌그라드의 상트페테르부르크대학에 최초로 한국어 강좌가 개설되었다. 그러나 그 뒤 별로 확산되지 못하다가 구소련과 수교 후 갑자기 발전하게 되었다. 모스크바대, 알마아타사범대, 타슈켄트 사범대, 사할린 사범대, 레닌그라드대, 극동국립대, 이르쿠츠크대, 모스크바 국제관계대, 모스크바 무역학원, 모스크바 군사대, 노보시빌스크대 등 여러 대학에서 한국어가 강의되고 있다.
재소 동포의 경우는 1936년까지는 민족어를 바탕으로 한 이중언어교육이 꾀해졌으나, 1937년 이후는 민족어 교육이 금지되어 극도로 위축되었다. 서울 올림픽 및 한러수교 이후 한국어교육은 다시 활성화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영국에서는 런던대학을 비롯해 옥스퍼드대, 쉐펠대, 뉴캐슬대, 더램대 등 5개 대학이 한국어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훔볼트대, 보훔대, 튀빙겐대, 본대, 자유대가 학과를 설치하고 있고, 함부르크대, 하이델베르크대,
  • 가격1,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08.06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9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