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삼각측량
2.지형측량
3.노선측량
4.면적측량 및 체적측량
5.하천측량
6.사진측량
2.지형측량
3.노선측량
4.면적측량 및 체적측량
5.하천측량
6.사진측량
본문내용
CH7 삼각측량, CH8 지형측량, CH9 노선측량, CH9 면적&체적측량, CH10 하천측량, CH11 사진측량
CH7 삼각측량
삼각측량
삼각측량 특징
-기준점을 배치하는 것이 편리
-넓은 지역의 측량에 적합
-조건식이 많아 계산 및 조정방법이 복잡
단열삼각망 : 폭이 좁고 긴 지역 用 (노선하천터널측량)
관측수 少, 저렴
유심삼각망 : 넓은 지역에 적합, 농지측량 및 평탄한 지역
사변형삼각망 : 조정 복잡 비쌈, 기선삼각망에 이용
⇒정밀도 순서 : 단열<유심<사변형
선점시 주의사항
-측점수가 적고, 세부측량에 이용가치가 있어야함
-정삼각형 , 내각은 30˚~120˚범위
-무리하게 시준표나 관측대를 만드는 곳 피함.
기선삼각망
-정밀도, 경제성 고려하여 위치 결정
-경사는 1/25 이하
-기선장은 평균 변장의 1/10 정도
-기선의 확대는 (1회 확대-3배 이내), (2회 확대-8배 이내),
10배이상X
-삼각형의 수 15~20개 마다 검기선 설치
-우리 나라는 200km마다 1등 삼각검기선 설치
삼각측량의 조정
1)측점조건
-여러 각의 합은 그들 각을 한 각으로 하여 측정한 값과 같다.
-점방정식 : 한 측점 둘레에 있는 모든 각을 합한 값은 360˚
2)도형조건
-각방정식 : 내각의 합 180˚(n-2)
-변방정식 : 임의의 한 변의 길이는 계산해 가는 순서와 관계없이 같은 값이어야 함
3)조건식의 수
측점조건식의 수 :
변조건식 수 :
각조건식 수 :
조건식의 총수 :
조건식수 계산
구차
기차(굴절오차)
양차
삼각수준측량
삼변측량
삼변을 측정해서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cos 제 2법칙)
CH8 지형측량
지형측량
우모법(게바법)
선이 가늘고 길게 새털 모양으로 지형을 표시
음영법(명암법)
서북쪽에서 경사 45˚로 비친다고 가정하고
CH7 삼각측량
삼각측량
삼각측량 특징
-기준점을 배치하는 것이 편리
-넓은 지역의 측량에 적합
-조건식이 많아 계산 및 조정방법이 복잡
단열삼각망 : 폭이 좁고 긴 지역 用 (노선하천터널측량)
관측수 少, 저렴
유심삼각망 : 넓은 지역에 적합, 농지측량 및 평탄한 지역
사변형삼각망 : 조정 복잡 비쌈, 기선삼각망에 이용
⇒정밀도 순서 : 단열<유심<사변형
선점시 주의사항
-측점수가 적고, 세부측량에 이용가치가 있어야함
-정삼각형 , 내각은 30˚~120˚범위
-무리하게 시준표나 관측대를 만드는 곳 피함.
기선삼각망
-정밀도, 경제성 고려하여 위치 결정
-경사는 1/25 이하
-기선장은 평균 변장의 1/10 정도
-기선의 확대는 (1회 확대-3배 이내), (2회 확대-8배 이내),
10배이상X
-삼각형의 수 15~20개 마다 검기선 설치
-우리 나라는 200km마다 1등 삼각검기선 설치
삼각측량의 조정
1)측점조건
-여러 각의 합은 그들 각을 한 각으로 하여 측정한 값과 같다.
-점방정식 : 한 측점 둘레에 있는 모든 각을 합한 값은 360˚
2)도형조건
-각방정식 : 내각의 합 180˚(n-2)
-변방정식 : 임의의 한 변의 길이는 계산해 가는 순서와 관계없이 같은 값이어야 함
3)조건식의 수
측점조건식의 수 :
변조건식 수 :
각조건식 수 :
조건식의 총수 :
조건식수 계산
구차
기차(굴절오차)
양차
삼각수준측량
삼변측량
삼변을 측정해서 삼각점의 위치를 결정(cos 제 2법칙)
CH8 지형측량
지형측량
우모법(게바법)
선이 가늘고 길게 새털 모양으로 지형을 표시
음영법(명암법)
서북쪽에서 경사 45˚로 비친다고 가정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