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앰플과 바이알로부터 약물 준비
2. 피하주사
3. 근육주사
4. 피내주사
♣ 참고문헌
2. 피하주사
3. 근육주사
4. 피내주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물을 주사한다.
① 주사바늘을 90도 각도로 하여 재빨리 근육 속으로 삽입한다.
② 근육이 작은 경우에는 엄지와 다른 손가락들 사이로 근육을 움켜진다.
③ 자극적인 약물인 경우, Z- track 방법을 사용한다.(Z- track 방법 참조.)
⒀ 주사바늘이 근육자사 부위로 들어간 후, 주사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주사기 외관의 끝
부분보다 약간 아래 쪽을 잡는다. 주사기를 잡은 손을 움직여 주사기 내관 끝으로 가져
간다. 약물을 흡인해보기 위해 주사기 내관을 천천히 뒤로 당겨보는 동안(5~10초정도)
주사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⒁ 혈액이 역류되지 않으면 10초/ml의 속도로 약물을 천천히 주사한다. 혈액이 역류되면
주사바늘을 빼고 약물과 주사기를 버린 후 다시 지금까지의 절차를 반복 시행한다.
⒂ 주사부위 위에 알코올 솜이나 마른 멸균거즈를 대고 주사바늘을 부드럽게 빼낸다. Z- track법인 경우에는 10초 정도 기다린 후 주사부위 위에 알코올 솜이나 마른 멸균거즈를 대고 주사바늘을 부드럽게 빼낸다.
피부를 가볍게 마사지한다. Z- track인 경우에는 마사지하지 않고 가볍게 압박한다.
선택적으로 밴드를 붙이기도 한다.
측두근이나 외측관근을 사용하는 경우 다리 운동을 권장한다.
대상자가 편안한 체위를 취하게 한다.
주사바늘은 뚜껑을 씌우지 말고 주사기에 부착된 그래도 적절한 용기에 버린다. 또 안
전마개로 감싸서 버리기도 한다. 만일 간호사가 대상자의 침상 옆을 떠날 수 없는 경우
에는 한 손만을 이용하여 주사바늘 뚜껑을 씌우기도 한다.
장갑을 벗고 손을 씻는다.
4) 주의사항
뇌졸중 환자나 척추손상을 입은 환자들은 흔히 근육위축이 있을 수 있다.
주사부위를 사정하기 위해 밝은 조명을 이용한다.
4. 피내주사
1) 실습목적
피내주사의 장단점을 확인한다.
피내주사에 적합한 부위를 확인한다.
피내주사 부위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기술한다.
피내주사에 적합한 크기의 주사기와 주사바늘을 선택한다.
피내주사에 관련된 위험요인들을 설명한다.
피내주사와 관련된 간호사의 책임을 기술한다.
2) 준비물품
멸균된 투베르쿨린 주사기와 26~27gauge의 주사바늘, 소독솜(alchol, betadine)과 멸균거즈패드, 일회용 장갑, 앰플 또는 바이알에 든 약물(피부반응 검사용), 투약카드, 피부에 표시할 연필
3) 수행
⑴ 스크린이나 커튼을 치거나 병실 문을 닫는다.
⑵ 손을 철저히 씻는다.
⑶ 적절한 주사부위를 선택한다. 타박상이나 염증, 부종 등이 있는지 피부표면을 잘 관찰한다. 전박에 병변이 있거나 변색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본다.
⑷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해준다. 팔꿈치를 신전시켜 전박이 평평한 표면이 위로 오
도록 지지해준다.
⑸ 일회용 장갑을 낀다.
⑹ 소독솜으로 주사할 주위를 닦는다.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둥글게 약 5cm정도까지 닦는다.
⑺ 주사기를 잡지 않은 손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손가락사이에 알코올 솜이나 마른 멸균거즈 패드를 끼운다.
⑻ 주사바늘 뚜껑을 직선방향으로 똑바로 벗긴다.
⑼ 주사바늘의 사면(bevel)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주사기를 잡는다.
⑽ 주사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엄지나 검지를 이용하여 주사부위 위의 피부를 팽팽하게
당긴다. <그림6>
<그림6>
⑾ 주사바늘을 거의 대상자의 피부에 닿게 하여 5~15도 각도로 저항감이 느껴질 때까지 천천히 삽입한다. 그 다음에는 표피를 통해 바늘을 약3mm(1/8inch)정도 표면 밑으로
밀어 넣는다. 주사바늘의 끝 부분(tip)dl 피부를 통해 보일 수 있다.
⑿ 천천히 약물을 주사한다. 이때 저항감을 느끼는 것이 정상이며, 그렇지
① 주사바늘을 90도 각도로 하여 재빨리 근육 속으로 삽입한다.
② 근육이 작은 경우에는 엄지와 다른 손가락들 사이로 근육을 움켜진다.
③ 자극적인 약물인 경우, Z- track 방법을 사용한다.(Z- track 방법 참조.)
⒀ 주사바늘이 근육자사 부위로 들어간 후, 주사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주사기 외관의 끝
부분보다 약간 아래 쪽을 잡는다. 주사기를 잡은 손을 움직여 주사기 내관 끝으로 가져
간다. 약물을 흡인해보기 위해 주사기 내관을 천천히 뒤로 당겨보는 동안(5~10초정도)
주사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⒁ 혈액이 역류되지 않으면 10초/ml의 속도로 약물을 천천히 주사한다. 혈액이 역류되면
주사바늘을 빼고 약물과 주사기를 버린 후 다시 지금까지의 절차를 반복 시행한다.
⒂ 주사부위 위에 알코올 솜이나 마른 멸균거즈를 대고 주사바늘을 부드럽게 빼낸다. Z- track법인 경우에는 10초 정도 기다린 후 주사부위 위에 알코올 솜이나 마른 멸균거즈를 대고 주사바늘을 부드럽게 빼낸다.
피부를 가볍게 마사지한다. Z- track인 경우에는 마사지하지 않고 가볍게 압박한다.
선택적으로 밴드를 붙이기도 한다.
측두근이나 외측관근을 사용하는 경우 다리 운동을 권장한다.
대상자가 편안한 체위를 취하게 한다.
주사바늘은 뚜껑을 씌우지 말고 주사기에 부착된 그래도 적절한 용기에 버린다. 또 안
전마개로 감싸서 버리기도 한다. 만일 간호사가 대상자의 침상 옆을 떠날 수 없는 경우
에는 한 손만을 이용하여 주사바늘 뚜껑을 씌우기도 한다.
장갑을 벗고 손을 씻는다.
4) 주의사항
뇌졸중 환자나 척추손상을 입은 환자들은 흔히 근육위축이 있을 수 있다.
주사부위를 사정하기 위해 밝은 조명을 이용한다.
4. 피내주사
1) 실습목적
피내주사의 장단점을 확인한다.
피내주사에 적합한 부위를 확인한다.
피내주사 부위를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기술한다.
피내주사에 적합한 크기의 주사기와 주사바늘을 선택한다.
피내주사에 관련된 위험요인들을 설명한다.
피내주사와 관련된 간호사의 책임을 기술한다.
2) 준비물품
멸균된 투베르쿨린 주사기와 26~27gauge의 주사바늘, 소독솜(alchol, betadine)과 멸균거즈패드, 일회용 장갑, 앰플 또는 바이알에 든 약물(피부반응 검사용), 투약카드, 피부에 표시할 연필
3) 수행
⑴ 스크린이나 커튼을 치거나 병실 문을 닫는다.
⑵ 손을 철저히 씻는다.
⑶ 적절한 주사부위를 선택한다. 타박상이나 염증, 부종 등이 있는지 피부표면을 잘 관찰한다. 전박에 병변이 있거나 변색된 부분이 있는지 살펴본다.
⑷ 대상자에게 편안한 체위를 취해준다. 팔꿈치를 신전시켜 전박이 평평한 표면이 위로 오
도록 지지해준다.
⑸ 일회용 장갑을 낀다.
⑹ 소독솜으로 주사할 주위를 닦는다.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둥글게 약 5cm정도까지 닦는다.
⑺ 주사기를 잡지 않은 손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손가락사이에 알코올 솜이나 마른 멸균거즈 패드를 끼운다.
⑻ 주사바늘 뚜껑을 직선방향으로 똑바로 벗긴다.
⑼ 주사바늘의 사면(bevel)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주사기를 잡는다.
⑽ 주사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엄지나 검지를 이용하여 주사부위 위의 피부를 팽팽하게
당긴다. <그림6>
<그림6>
⑾ 주사바늘을 거의 대상자의 피부에 닿게 하여 5~15도 각도로 저항감이 느껴질 때까지 천천히 삽입한다. 그 다음에는 표피를 통해 바늘을 약3mm(1/8inch)정도 표면 밑으로
밀어 넣는다. 주사바늘의 끝 부분(tip)dl 피부를 통해 보일 수 있다.
⑿ 천천히 약물을 주사한다. 이때 저항감을 느끼는 것이 정상이며, 그렇지
추천자료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 -TTN (신생아 패혈증)
충수돌기염(Appendectitis)-성인간호학실습
제왕절개(C/S)사례보고서- 모성간호학실습
모성간호학실습 분만실 분만방법
기본간호학- 유치도뇨
기본간호학 투약 정리
(사회복지 기본간호학)뇌졸증,치매,고혈압
[간호학]기본간호학 -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증상관리
성인간호학실습Ⅱ질병 [비소세포성 폐암(Non Small Cell Lung Cancer, NSCLC)]
성인간호학실습 호흡기계 CONFERENCE
기본간호학 정리 : 구강간호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논문요약과 결론
[성인간호학실습] stomach cancer(위암)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기본간호학] 투약 (약리학의 간호실무 적용, 약물관련 법과 표준, 마약류의 관리, 약물역동...
성인간호학)기본간호학) 상처간호 욕창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