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뚜기 마케팅사례연구 - 오뚜기 SWOT3C분석및 마케팅전략 사례분석과 오뚜기 향후나아갈방향 제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오뚜기 마케팅사례연구 - 오뚜기 SWOT3C분석및 마케팅전략 사례분석과 오뚜기 향후나아갈방향 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오뚜기 기업소개
(1) 기업개요
(2) 경영철학

2. 시장환경분석

3. 오뚜기 3C분석
(1) Company (자사분석)
(2) Customer (고객분석)
(3) Competitior (경쟁자분석)

4. 오뚜기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5. 오뚜기의 마케팅전략 사례
(1) 공격적인 마케팅
(2) SNS마케팅
(3) 프리미엄 마케팅 (진짬뽕 성공사례)
(4) 포지셔닝전략
(5) 마케팅믹스 4P전략
- Product
- Price
- Place
- Promotion

6. 오뚜기 향후 나아갈방향 제언

본문내용

. 오뚜기는 라면 히트제품인 진라면에 대해 변화를 3년간 시도했으며 가장 큰 변화는 저나트륨을 선호하는 소비자시장에 따라 짠맛을 줄이면서 매운맛을 강화하였다
또한 2010년 1월부터 모든 컵라면에 팜유대신 해바라기유를 사용해서 품질을 높였다.
해바라기유는 팜유보다 50%가량 비싸지만, 소비자에게 조금 더 건강한 제품을 만든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를 시행하였다
두 번째, 전략제품의 다양화이다. 이건 농심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지만 오뚜기도 일정 매출을 유지하고 있다.
(참깨라면 열라면 스낵면)
세 번째, 메이저리그에서 뛰는 류현진을 모델로 발탁하면서 진라면 인지도 급상승 (류현진라면)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가격할인행사 5+1 행사나 수시로 가격 최대 20%까지 인하를 시행하였다
오뚜기가 공격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농심과 삼양과는 달리 라면이 주력사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뚜기는 카레, 케첩,
참기름 등 다양한 제품을 팔고 라면은 매출의 20%밖에 차지못하고 있다.
(2) SNS마케팅
\"오뚜기 즐거운 요리교실\"
오뚜기는 블로거들을 대상으로 SNS 미디어를 철저하게 이용하여 즐거운 요리교실이라는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는 소비자 트랜드를 적절히 반영한 마케팅 방식으로 네티즌 사이에서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오뚜기 요리교실은 한식, 양식, 중식, 일식, 퓨전, 카레 레시피 제공하고 있으며 오뚜기 제품을 이용한 금주의 추천 요리 등을 제공하고 또한 레시피에대한 질문에 답변을 해주는 서비스 등을 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오뚜기는 소비자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오는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성공하였다.
(3) 프리미엄 마케팅 (진짬뽕 성공사례)
‘프리미엄 짬뽕라면’ 마케팅 특성 분석 마케팅이란 기업 또는 생산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 만족과 조직의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든 계획과 행동을 말한다. 미국의 경영학자 필립 코틀러(Philip Kotler, 1931~)는 마케팅을 “개인이나 집단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그것을 원하는 사용자(소비자)와 교환 과정을 통해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모 든 활동”이라고 정의했다. 이러한 활동의 의미는 단순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교환하 는 것이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 사이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활동이다. 오늘날 소비 자들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아주 자세히 살펴보고, 비교하고, 구매 관련 경험을 공 유하면서 구매를 결정하는 소비 성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자들의 욕구가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소비자 지향적인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으며, 다양한 과학적 리서치 방법을 통해 소비자에 관한 정 보를 수집하며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다. 오뚜기의 ‘진짬뽕’ 역시 제품 기획 및 유통 각 측면에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특성들을 지니고 있다.
‘프리미엄 짬뽕라면’ 시장은 2015년 10월 오뚜기 ‘진짬뽕’의 출시와 함께 처음 포문을 열었다. 오뚜기 진짬뽕의 성공 조짐이 보이자, 경쟁사 농심과 팔도, 삼양 등 에서는 각각 ‘맛짬뽕’과 ‘불짬뽕’, ‘갓짬뽕’을 잇따라 출시했으나 이들은 ‘미투(me too) 전략’을 사용했기 때문에 실제로 세부적인 맛을 제외한 ‘진짬뽕’과의 차별화 지 점은 없다. 때문에 우리 조는 앞서 서론에서, 진짬뽕의 최초 시장 선점전략이 진짬 뽕의 매출 상승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는 가설을 도출한 바 있다.
‘진짬뽕’은 스프개발 경력 25년의 오뚜기 라면연구소 김규태 책임연구원을 비 롯한 5명의 태스크포스팀(TFT)의 손끝에서 탄생했다. 이들은 전국 88곳과 일본 열도 의 이름난 짬뽕 맛집을 찾아다니는 등 전문점 짬뽕의 불맛과 진한 육수맛, 해물맛 을 라면으로 재현하기 위해 발품을 팔고 머리를 맞대 진짬뽕을 탄생시켰다. 진짬뽕 은 생산 기획 단계에서부터 최근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입맛에 잘 맞는 제품을 개발 하기 위해 R&D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이는 진짬뽕의 제1성공 요인 중 하나로 꼽 힌다. 기존 라면과 다른 면발, 분말 스프 대신 까다로운 액상 스프에 도전한 것도 진짬뽕의 인기 비결로 꼽고 있다. 액상 스프는 제조 공정이 까다롭지만 분말 스프 보다 진한 국물과 불맛을 잘 살릴 수 있는 재료로 평가받고 있다. 진짬뽕은 직접 닭을 끓여 추출한 진한 육수를 사용했으며 홍합과 오징어, 미더덕 등 해몰을 듬뿍 넣어 해물 맛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진짜 짬뽕’이라는 의미의 ‘진짬뽕’이라는 브랜드 네임을 사용하면서 출시 당시 부터 꾸준히 ‘진짜’ 짬뽕이라는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어필했다. 실제로 배우 황정 민이 출연한 TV CF에서도 “와, 이 집 짬뽕 잘 한다”라거나 “어디서 시켰어?” 같은 대사들이 등장한다. 이는 광고를 보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실제 중국집에서 주문한 짬뽕과 다름없다는 연상을 자극해 제품의 ‘프리미엄’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각인했 다.
또한, 기존 ‘진라면’, ‘진짬뽕’ 등의 기존 오뚜기의 ‘진(진짜)’ 라면 브랜드와의 연계 효과를 도모한 네이밍 센스도 엿보인다. 실제로 오뚜기 사는 세 가지 라면 브랜드 종류를 연계한 ‘진/진/진’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진’ 브랜드 포트폴리오 관리 전략 을 활용하고 있다.
오뚜기는 기존 진라면 브랜드에 적용하던 샛노란색 포장지에 조리예 사진을 드러낸 제품 패키지 디자인을 일괄적으로 ‘진짜장’ 및 ‘진짬뽕’에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진’ 라면 브랜드 전체의 통일감과 일체감을 더했다. 실제로 세 가지 패키지 디자인 모두 같은 기업의 동일 브랜드 라인 제품임을 쉽게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패키지 디자인이 유사하다. 이를 통해 실제 소매점 등에서 ‘진짬뽕’을 처음 인지한 소비자라 하더라도, 브랜드 자체에 대한 친숙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4) 포지셔닝전략
1) 저가 포지셔닝
-오뚜기의 전반적인 제품들의 가격대 : 680원~180,000원 -오뚜기의 주된 제품들의 가격대 : 1,000원~30,000원대 → 식품업계에서 저가에 속하는 편이다
2) 주력상품의 가시성이 높음
-오뚜기는 업계에서 유일하게 사업다각화없이 식품사업만영위함
→ 전문성↑, 경쟁력 ↑
- 주력상품이 3분요리, 오뚜기밥, 라면, 소스류(케
  • 가격3,9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07.13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8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