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국어국문학과 전설
장자못 전설의 변이와 증거물의 관계
1. 장자못 전설의 갈래
장자못 전설을 전설의 갈래구분에 따라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분류 기준
전설 종류
설명 대상에 따른 분류
자연물 전설
발생 목적에 따른 분류
설명적 전설
전파와 분포에 따른 분류
광포전설
장자못 전설은 자연물(연못)을 대상으로 그 발생 연원을 설명하는 설명적 전설로 그 분포가 태백, 영변, 장흥 등에서 발견되는 전국에 걸친 광포전설이다. 특히 며느리가 재앙을 피하다 뒤를 돌아보고 돌이 되었다는 전설은 그리스 신화나 성경 그리스 신화의 경우, 오르페우스, 성경의 경우 소돔과 고모라에 얽힌 롯의 아내 이야기가 이에 해당한다.
에도 나오는 전 세계적 광포전설로 볼 수 있다.
2. 장자못 전설의 공통 내용 화소 분석
여러 장자못 전설의 공통된 내용을 화소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옛날에 한 인색한 부자가 있었다. (연못 이름에 따라 황부자, 장자 등으로 불림)
2) 어느 날 중이 찾아와 시주를 청한다
3) 인색한 부자는 중에게 소똥을 퍼준다.(혹은 두엄이나 거름을 퍼줌)
4) 이를 본 마음 착한 며느리가 중에게 쌀을 시주하며 시아버지를 대신해 사과한다.
5) 중은 인색한 부자에게 벌을 내리기로 한다.(혹 하늘이 벌을 내릴 것을 예지한다.)
6) 중은 며느리에게 재난을 피해 산으로 도망치되 절대로 뒤를 돌아봐서는 안 된다는
충고를 한다.
7) 며느리는 산으로 도망치다가 뒤를 돌아보고, 그 자리에서 돌이 되었다.
이 같은 내용의 장자못 전설은 분포된 각 지역마다 그 내용에 약간의 변이들이 일어나고 있다. 그 변이를 알기 위해 각 지역별 장자못 전설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3. 장자못 전설의 분류
1)기본형-금기 제시형
화소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자가 살았다.
2) 중이 와서 시주를 청했다.
3) 장자가 중에게 인색하게 굴거나 학대했다.
4) 며느리가 시주를 했다.
5) 중이 며느리에게 피신하라고 하면서 금기를 제시하였다.
6) 며느리는 금기를 지키지 못하였다.
7) 장자는 죽고, 그 집터는 못이 되었다.
8) 며느리는 바위가 되었다.
2) 변이형Ⅰ (금기 탈락형)
변이형Ⅰ은, 기본형의 핵심요소 등에서 금기 제시 부분이 탈락된 유형이다. 변이형 Ⅰ을 금기 탈락형이라 하였다. 이 유형은 선행을 베푸는 인물이 아예 없거나, 선행을 베푸는 인물은 있는데, 그에게 금기가 제시되지 않았다.
*변이형 Ⅰ의 단락별 변이 양상
가) Ⅰ-A형: 이 유형 변이는 기본형에서 4),5),6),8)이 탈락된 것으로서, 선행을 베푸는 인물이 아예 없는 경우이다. 이 유형은 장자못 전설의 유형 중에서 가장 단순한 것이다.
화소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자가 살았다.
2) 중이 와서 시주를 청했다.
3) 장자가 중에게 인색하게 굴거나 학대했다.
7) 장자는 죽고, 그 집터는 못이 되었다.
- 강원도 경포호, 경북 두호지
나) Ⅰ-B형: 이 유형 변이는 Ⅰ-A형에서 3)과 7)사이에 중이 조화를 부리는 부분이 삽입된 경우이다. 중이 조화를 부리는 내용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작대기를 딱
장자못 전설의 변이와 증거물의 관계
1. 장자못 전설의 갈래
장자못 전설을 전설의 갈래구분에 따라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분류 기준
전설 종류
설명 대상에 따른 분류
자연물 전설
발생 목적에 따른 분류
설명적 전설
전파와 분포에 따른 분류
광포전설
장자못 전설은 자연물(연못)을 대상으로 그 발생 연원을 설명하는 설명적 전설로 그 분포가 태백, 영변, 장흥 등에서 발견되는 전국에 걸친 광포전설이다. 특히 며느리가 재앙을 피하다 뒤를 돌아보고 돌이 되었다는 전설은 그리스 신화나 성경 그리스 신화의 경우, 오르페우스, 성경의 경우 소돔과 고모라에 얽힌 롯의 아내 이야기가 이에 해당한다.
에도 나오는 전 세계적 광포전설로 볼 수 있다.
2. 장자못 전설의 공통 내용 화소 분석
여러 장자못 전설의 공통된 내용을 화소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옛날에 한 인색한 부자가 있었다. (연못 이름에 따라 황부자, 장자 등으로 불림)
2) 어느 날 중이 찾아와 시주를 청한다
3) 인색한 부자는 중에게 소똥을 퍼준다.(혹은 두엄이나 거름을 퍼줌)
4) 이를 본 마음 착한 며느리가 중에게 쌀을 시주하며 시아버지를 대신해 사과한다.
5) 중은 인색한 부자에게 벌을 내리기로 한다.(혹 하늘이 벌을 내릴 것을 예지한다.)
6) 중은 며느리에게 재난을 피해 산으로 도망치되 절대로 뒤를 돌아봐서는 안 된다는
충고를 한다.
7) 며느리는 산으로 도망치다가 뒤를 돌아보고, 그 자리에서 돌이 되었다.
이 같은 내용의 장자못 전설은 분포된 각 지역마다 그 내용에 약간의 변이들이 일어나고 있다. 그 변이를 알기 위해 각 지역별 장자못 전설의 내용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3. 장자못 전설의 분류
1)기본형-금기 제시형
화소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자가 살았다.
2) 중이 와서 시주를 청했다.
3) 장자가 중에게 인색하게 굴거나 학대했다.
4) 며느리가 시주를 했다.
5) 중이 며느리에게 피신하라고 하면서 금기를 제시하였다.
6) 며느리는 금기를 지키지 못하였다.
7) 장자는 죽고, 그 집터는 못이 되었다.
8) 며느리는 바위가 되었다.
2) 변이형Ⅰ (금기 탈락형)
변이형Ⅰ은, 기본형의 핵심요소 등에서 금기 제시 부분이 탈락된 유형이다. 변이형 Ⅰ을 금기 탈락형이라 하였다. 이 유형은 선행을 베푸는 인물이 아예 없거나, 선행을 베푸는 인물은 있는데, 그에게 금기가 제시되지 않았다.
*변이형 Ⅰ의 단락별 변이 양상
가) Ⅰ-A형: 이 유형 변이는 기본형에서 4),5),6),8)이 탈락된 것으로서, 선행을 베푸는 인물이 아예 없는 경우이다. 이 유형은 장자못 전설의 유형 중에서 가장 단순한 것이다.
화소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장자가 살았다.
2) 중이 와서 시주를 청했다.
3) 장자가 중에게 인색하게 굴거나 학대했다.
7) 장자는 죽고, 그 집터는 못이 되었다.
- 강원도 경포호, 경북 두호지
나) Ⅰ-B형: 이 유형 변이는 Ⅰ-A형에서 3)과 7)사이에 중이 조화를 부리는 부분이 삽입된 경우이다. 중이 조화를 부리는 내용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작대기를 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