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약서
2. 서론
1) 정책 사업의 동향 및 전망
3. 목표
2) 정책(사업)목표
4. 추진전략
1)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실현
2)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지원
3) 취약계층을 위한 평생교육지원
2. 서론
1) 정책 사업의 동향 및 전망
3. 목표
2) 정책(사업)목표
4. 추진전략
1) 학습동아리 활성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실현
2)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지원
3) 취약계층을 위한 평생교육지원
본문내용
4차 산업혁명 페러다임에 따른 기술과 교육에 중점을 둘 것이다. 교육이 기술을 따라가지 못하면 불평등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기술 혁신으로 변화된 노동시장에서 교육을 통해 유용하게 쓰일 기술을 갖추지 못한 근로자들은 뒤처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산업혁명은 공립학교 등장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공장과 사무실의 자동화는 많은 사람을 대학으로 몰리게 했다. 이처럼 기술 혁신과 교육은 번영으로 가는 길에 서로 맞물린 톱니바퀴 같은 역할을 해 왔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도 달라질 것은 없다. 그러나 로봇과 인공지능의 시대는 또 다른 교육혁명을 요구하고 있다. 일할 수 있는 연령이 높아지고 근로 환경이 급속히 변하고 있어 젊은 시절 한때 열심히 공부한 것으로 버틸 수 있는 시대가 아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평생학습의 시대이다. 모든 근로자가 일하면서 신기술을 배울 수 있는 효과적인 평생학습의 기회를 균등하고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한다.
목표
정책(사업)목표 및 방향
진정한 평생교육의 의미는 국어사전식의 대답인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이루어지는 교육”이란 수사적 구호나 이상에 머물지 않고 현대인의 삶과 생활 속에서 그 실체로 분명히 나타내고 그 영역을 크게 확장하고 있다. 제 3차 평생교육진흥계획에도 제시했듯이 정책은 범위는 다양하다. 울산 북구청 평생교육센터도 이런 변화에 맞게 제 3차 평생교육진흥계획을 기반으로 한 온-오프라인 종합지원체제 구축 및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등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부터 100세 시대까지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한 지역공동체를 만들고 무엇보다 기관이 주도가 아닌 시민이 주도되어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고자 기존의 북구청 평생교육센터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목표를 추진하고자 한다.
가. 비전: 배움으로 행복한 지역공동체 평생학습도시 울산북구
나. 목표:
① 배움과 나눔의 평생학습 실현
- 열린 명사아카데미, 찾아가는 한글교실, 무룡서당, 학습동아리
② 지역경제 활성화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 제3대학 운영, MOOC 온라인강좌
③ 평생학습을 통한 지역공동체 실현
- 평생학습의 날 및 평생학습 축제 운영
다. 세부목표
① 학습 동아리 활성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실현
- 학습동아리 운영 (독서모임 북적북적book積book積)
- 지역 내 다양한 기관과 네트워크 구성
②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지원
-
목표
정책(사업)목표 및 방향
진정한 평생교육의 의미는 국어사전식의 대답인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이루어지는 교육”이란 수사적 구호나 이상에 머물지 않고 현대인의 삶과 생활 속에서 그 실체로 분명히 나타내고 그 영역을 크게 확장하고 있다. 제 3차 평생교육진흥계획에도 제시했듯이 정책은 범위는 다양하다. 울산 북구청 평생교육센터도 이런 변화에 맞게 제 3차 평생교육진흥계획을 기반으로 한 온-오프라인 종합지원체제 구축 및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등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청소년부터 100세 시대까지 모두가 행복하고 건강한 지역공동체를 만들고 무엇보다 기관이 주도가 아닌 시민이 주도되어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고자 기존의 북구청 평생교육센터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목표를 추진하고자 한다.
가. 비전: 배움으로 행복한 지역공동체 평생학습도시 울산북구
나. 목표:
① 배움과 나눔의 평생학습 실현
- 열린 명사아카데미, 찾아가는 한글교실, 무룡서당, 학습동아리
② 지역경제 활성화 지속가능한 생태도시
- 제3대학 운영, MOOC 온라인강좌
③ 평생학습을 통한 지역공동체 실현
- 평생학습의 날 및 평생학습 축제 운영
다. 세부목표
① 학습 동아리 활성화를 통한 지역공동체 실현
- 학습동아리 운영 (독서모임 북적북적book積book積)
- 지역 내 다양한 기관과 네트워크 구성
② 생애주기별 맞춤형 평생교육지원
-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학과]평생교육 학습 지도안 및 평생교육방법 평가 프로젝트 -독서 논술 수업-
[여성과 평생교육] 여성평생교육의 개념, 의의, 목적, 내용과 여성주의 교육학의 관점
[평생경영론] 평생교육기관의 특성 및 문제점, 평생교육경영의 필요성
평생기관을 실제로 방문하여 운영되고 있는 평생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주요내용 및 주차별...
[교육사회학] 평생교육의 기능과 역할 설명 및 한국평생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제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의 내용에서 확대되어야 할 부분에 대하여 논하시오. - 사회화...
[평생교육방법론 공통] 평생교육대상 중 특정한 대상집단을 선정, 그들의 인지적, 정의적, 신...
[평생교육방법론 平生敎育方法論] <사회교육평가와 프로그램의 홍보> 사회교육평가와 사회교...
[평생平生교육론] 평생교육의 필요성 - 인간의 성장과 발달, 인간의 욕구 충족, 학교교육의 ...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노인평생교육프로그램 실태를 조사하고 향후 이루어져야 할 노인교육프로...
[인문교육프로그램] 성인평생교육의 장의 인문교육 프로그램의 구체적 운영사례 조사와 분석 ...
한국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논하시오 : 평생교육
발달장애인을 위한 발달장애인평생교육센터가 전국에서 개소되었는데 장애인평생학습자를 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