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러시아 자동차 산업 동향
3. 외국기업의 진출 사례
4. 현대자동차의 러시아 시장 진출과정
5. 현대자동차의 전략적분석
-SWOT분석
6. 현대자동차의 현지공장 설립의의
7. 결론
2. 러시아 자동차 산업 동향
3. 외국기업의 진출 사례
4. 현대자동차의 러시아 시장 진출과정
5. 현대자동차의 전략적분석
-SWOT분석
6. 현대자동차의 현지공장 설립의의
7. 결론
본문내용
시아 국내 총 생산은 2000~2010년 4.1~10%, 2011~2020년 3.3~4.0%, 2021~2030년 3.3~3.4%로 성장하여, 국내 총생산 규모가 2028년에는 독일을 추월하여 세계 5위의 경제 대국이 될 것이라 전망하였다.
이런 성장 전망과 함께 러시아는 유럽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 1억 4천 만 명을 갖고 있고, 유럽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 된다. 특히 경제 성장에 따른 러시아 소비자들의 구매력 증가는 외국 신차를 중심으로 한 판매 호조세를 이어나갈 것이며, 2006년 44만대, 2008년 56만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nterfax, Business & Investment Weekly, Nov. 1~8, 2004.
.
이에 따른 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들은 러시아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 판매 진출 전략을 강화하고 있어, 이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GM-AvtoVAZ, 포드가 생산을 증대 시키고 있으며, 르노와 현대-TaGAZ도 생산량을 증대시킬 계획이다. 2004년부터 판매량 1위 자리를 현대자동차에 내준 도요타 자동차도 기존의 완성차 수출에서 벗어나 생산 라인 시설로 투자를 통해 본격적으로 러시아에서 타 업체와의 경쟁체제에 들어갔다.
게다가 러시아 국내 제조업체들의 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판매량 감소는 더욱 수입차의 입지를 굳히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고, 러시아 국내 자동차 업체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외국 선진 자동차 업체와의 협력을 시도할 것이지만 향후 러시아 국내 자동차 기업의 발전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3. 외국기업의 진출 사례
<표 6> 2006~07년 기업별 차종 인기자동차 판매량
단위 : 대, %
기업별 차종
2008년
2007년
증가율
1
Ford Focus
97,060
73,468
32%
2
Renault Logan
67,844
49,323
38%
3
Chevrolet Lanos
57,902
37,215
56%
4
Hyundai Accent
53,616
38,808
38%
5
Daewoo Nexia
49,044
43,415
13%
6
Chevrolet Niva
47,748
41,155
16%
7
Ford Fusion
43,362
16,532
162%
8
Daewoo Matiz
42,258
23,302
81%
9
Chevrolet Lacetti
40,627
16,191
151%
10
Toyota Corolla
38,942
31,222
25%
11
Kia Spectra
32,880
25,139
31%
12
Mitsubishi Lancer
31,543
46,969
-33%
13
Mazda3
29,547
18,078
63%
14
Opel Astra
29,178
9,574
205%
15
Nissan Almera
28,192
32,241
-13%
16
Hyundai Getz
26,980
13,183
105%
17
Toyota Camry
26,358
18,099
46%
18
Chevrolet Aveo
26,265
9,250
184%
19
Toyota RAV 4
22,856
12,030
90%
20
Toyota Avensis
20,843
13,140
59%
21
Mitsubishi Lancer X
20,558
0
-
22
Nissan Note
19,798
7,023
182%
23
Hyundai Tucson
19,017
12,606
51%
24
Chery Amulet
17,719
7,990
122%
25
Nissan Qashqai
17,414
0
-
자료원: AVTOSTAT
2007년도 외국브랜드 자동차의 총 판매량은 2006년에 비해 61% 증가한 164만5630대를 기록했으며, 그 중 Chevrolet, Ford가 1, 2위를 차지함. 이러한 성장률은 BRICs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리투아니아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
1. FORD
포드는 1997년 2억 5,000만 달러를 단독으로 투자하여 상트 페테르부르그시에 FORD RUSSIA를 설립으로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의 현대,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에 이은 러시아 시장 점유율 3위의 미국 자동차 기업이다. 포드사는 이미 2002년도에 상트페테르부르그 인근 30km 지점에 프세볼로즈크 지역에 약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자동차 공장을 공식적으로 열었다.
또한 단순히 자동차 생산 공장을 개설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대리점 수도 17개에서 80개로, 정비 서비스 망도 10개에서 80개로 늘리는 계획이 함께 추진되고 있다. 그들의 판매 목표는 전년도에 비해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그만큼 러시아 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내는 것이다.
진출 초기 포드는 부품의 95%를 해외에서 들여와서 생산하였고, 기존의 러시아 공장에서 근무하던 근로자를 일체 채용하지 않았으며, 러시아 현지 간부는 스페인에 있는 현지 공장에서 훈련 시킨 후 현장에 투입하였다. 엄격하고 철저한 품질통제를 실시하고 있고, 미국에서 생산되는 모델과 동일한 모델을 러시아에서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초기에는 FOCUS 모델이 미국 판매가 보다 약 4000달러가 낮은 가격에 판매 호조세를 보였으며, FOCUS는 2004년 9월말 기준 외국 신차 중 판매대수 1위를 기록하게 된다 포드도 2003년에 판매가격을 유로화 표시로 변경하였으나, 현지 외화금리 9~10% 보다 저렴한 4~5% 수준의 할부금리를 적용한 할부판매를 실시함으로써 높은 판매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금리차는 포드가 부담).
.
2. TOYOTA
2004년 까지 일본의 자동차 기업 중 현재 러시아에 생산 기지를 가지고 있는 회사는 없었다. 대신 현지 판매법인을 통한 직수출 방식으로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였다. 2004년 8월 도요타 자동차는 러시아 현지 생산 법인 설립계획을 발표하고, 2005년 6월 14일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그 근교 도시인 ‘슈사라 지역에 자동차 조립 라인을 착공하였다. 슈샤라 공장은 일본 자동차 회사가 설립한 러시아 내 첫 번째 공장이며, 연 5만대 수준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조립 라인 건설의 초기 투자는 약 150억 엔이 소요
이런 성장 전망과 함께 러시아는 유럽 지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 1억 4천 만 명을 갖고 있고, 유럽에서 가장 큰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 된다. 특히 경제 성장에 따른 러시아 소비자들의 구매력 증가는 외국 신차를 중심으로 한 판매 호조세를 이어나갈 것이며, 2006년 44만대, 2008년 56만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Interfax, Business & Investment Weekly, Nov. 1~8, 2004.
.
이에 따른 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들은 러시아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 판매 진출 전략을 강화하고 있어, 이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 GM-AvtoVAZ, 포드가 생산을 증대 시키고 있으며, 르노와 현대-TaGAZ도 생산량을 증대시킬 계획이다. 2004년부터 판매량 1위 자리를 현대자동차에 내준 도요타 자동차도 기존의 완성차 수출에서 벗어나 생산 라인 시설로 투자를 통해 본격적으로 러시아에서 타 업체와의 경쟁체제에 들어갔다.
게다가 러시아 국내 제조업체들의 경쟁력 하락으로 인한 판매량 감소는 더욱 수입차의 입지를 굳히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고, 러시아 국내 자동차 업체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외국 선진 자동차 업체와의 협력을 시도할 것이지만 향후 러시아 국내 자동차 기업의 발전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3. 외국기업의 진출 사례
<표 6> 2006~07년 기업별 차종 인기자동차 판매량
단위 : 대, %
기업별 차종
2008년
2007년
증가율
1
Ford Focus
97,060
73,468
32%
2
Renault Logan
67,844
49,323
38%
3
Chevrolet Lanos
57,902
37,215
56%
4
Hyundai Accent
53,616
38,808
38%
5
Daewoo Nexia
49,044
43,415
13%
6
Chevrolet Niva
47,748
41,155
16%
7
Ford Fusion
43,362
16,532
162%
8
Daewoo Matiz
42,258
23,302
81%
9
Chevrolet Lacetti
40,627
16,191
151%
10
Toyota Corolla
38,942
31,222
25%
11
Kia Spectra
32,880
25,139
31%
12
Mitsubishi Lancer
31,543
46,969
-33%
13
Mazda3
29,547
18,078
63%
14
Opel Astra
29,178
9,574
205%
15
Nissan Almera
28,192
32,241
-13%
16
Hyundai Getz
26,980
13,183
105%
17
Toyota Camry
26,358
18,099
46%
18
Chevrolet Aveo
26,265
9,250
184%
19
Toyota RAV 4
22,856
12,030
90%
20
Toyota Avensis
20,843
13,140
59%
21
Mitsubishi Lancer X
20,558
0
-
22
Nissan Note
19,798
7,023
182%
23
Hyundai Tucson
19,017
12,606
51%
24
Chery Amulet
17,719
7,990
122%
25
Nissan Qashqai
17,414
0
-
자료원: AVTOSTAT
2007년도 외국브랜드 자동차의 총 판매량은 2006년에 비해 61% 증가한 164만5630대를 기록했으며, 그 중 Chevrolet, Ford가 1, 2위를 차지함. 이러한 성장률은 BRICs 국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리투아니아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
1. FORD
포드는 1997년 2억 5,000만 달러를 단독으로 투자하여 상트 페테르부르그시에 FORD RUSSIA를 설립으로 러시아에 진출한, 한국의 현대,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에 이은 러시아 시장 점유율 3위의 미국 자동차 기업이다. 포드사는 이미 2002년도에 상트페테르부르그 인근 30km 지점에 프세볼로즈크 지역에 약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자동차 공장을 공식적으로 열었다.
또한 단순히 자동차 생산 공장을 개설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대리점 수도 17개에서 80개로, 정비 서비스 망도 10개에서 80개로 늘리는 계획이 함께 추진되고 있다. 그들의 판매 목표는 전년도에 비해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그만큼 러시아 시장에 대한 자신감을 나타내는 것이다.
진출 초기 포드는 부품의 95%를 해외에서 들여와서 생산하였고, 기존의 러시아 공장에서 근무하던 근로자를 일체 채용하지 않았으며, 러시아 현지 간부는 스페인에 있는 현지 공장에서 훈련 시킨 후 현장에 투입하였다. 엄격하고 철저한 품질통제를 실시하고 있고, 미국에서 생산되는 모델과 동일한 모델을 러시아에서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초기에는 FOCUS 모델이 미국 판매가 보다 약 4000달러가 낮은 가격에 판매 호조세를 보였으며, FOCUS는 2004년 9월말 기준 외국 신차 중 판매대수 1위를 기록하게 된다 포드도 2003년에 판매가격을 유로화 표시로 변경하였으나, 현지 외화금리 9~10% 보다 저렴한 4~5% 수준의 할부금리를 적용한 할부판매를 실시함으로써 높은 판매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금리차는 포드가 부담).
.
2. TOYOTA
2004년 까지 일본의 자동차 기업 중 현재 러시아에 생산 기지를 가지고 있는 회사는 없었다. 대신 현지 판매법인을 통한 직수출 방식으로 러시아 시장에 진출하였다. 2004년 8월 도요타 자동차는 러시아 현지 생산 법인 설립계획을 발표하고, 2005년 6월 14일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그 근교 도시인 ‘슈사라 지역에 자동차 조립 라인을 착공하였다. 슈샤라 공장은 일본 자동차 회사가 설립한 러시아 내 첫 번째 공장이며, 연 5만대 수준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조립 라인 건설의 초기 투자는 약 150억 엔이 소요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자동차의 인도시장공략 성공사례 연구
현대기아자동차 중국시장 공략
자동차 산업 분석 -현대자동차의 경쟁력 강화 전략-
현대자동차의 국제마케팅 사례
현대자동차 기업분석(SWOT 분석, 5force 모델, 이슈와 해결방안 등)
현대자동차의 마케팅 평가와 방안
[현대차]현대자동차 경영전략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현대차]현대자동차 마케팅전략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현대차]현대자동차 인사관리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PPT자료
[국제마케팅] 국제가격전략 사례조사 - 현대자동차, 국제 자동차 가격에 미치는 영향 요인, ...
현대자동차_마케팅관리
현대자동차,도요타,GM자동차 해외직접투자 FDI 사례분석과 각 전략의 공통점,차이점분석과 각...
현대자동차 vs 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Benz] 글로벌 경영전략과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및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