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생활지도 - 부끄러움을 잘 타고 자신감이 없는 아이 지도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생활지도 - 부끄러움을 잘 타고 자신감이 없는 아이 지도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그정도야 누구든 못해?”) 자존감에 상처 입은 아이는 자신이 아무리 많은 것을, 또한 멋진 것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자신을 비판하고 평가절하하면서 끊임없이 스스로를 못살게 글게 된다. 이런 마음가지이라면 될 일도 잘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행복감과 즐거움을 누릴 수 없게 된다. 도전적인 과제를 실패했을 때 “그럴 줄 알았어”, “눈 뜬 장님에나, 그것도 하나 못하고” 등 비난으로 반응한다.
-부모의 바람직한 대처법-
● 아이를 있는 그대로 받아주고 기뻐해주고 함께하는 것을 진정으로 원하고 즐거워한다.
아이들은 자신을 바라봐주는 부모의 눈빛과 양육태도에서 ‘와! 나는 정말 소중해! 나는 정말 가치가 있어!’ 라는 자존감이 형성된다.
● 반복되는 성공 경험을 제공한다.
● 욕심은 줄이고 성공경험은 늘려준다.
즉, 자존감을 높여주려면 엄마의 기대 수준을 낮추고, 아이에게 성공할 수 있는 경험을 많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소소한 일생생활을 스스로 하게 하는 것부터 시작이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들의 성공경험은 쌓이게 되고 이것은 곧 건강한 자존감으로 연결된다.
● 하나를 잘하면 다른 것도 잘하게 된다.
‘내가 어렸을 때, 엄마에게 이것을 꼭 받고 싶었어. 그래서 나는 아이에게 이것을 꼭 해주어야지’ 라고 생각하기 전에 ‘지금 내 아이가 나에게 받고 싶은 것은 무엇일까?’ 라고 고민해야 한다.
● 아이의 이야기를 잘 경청해야 한다.
아이의 욕구를 잘 이해하려면 일단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어야 한다. 진심을 다해서 마음과 귀를 열고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아이의 마음이 보이므로 말하기보다 듣기를 우선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8.08.12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