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 케이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숙아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3.5-5.1mmol/L
98-107mmol/L
6.4-8.3g/dL
3.4-4.8g/dL
4-37U/L
4-41U/L
0.2-1.2mg/dL
0-0.3mg/dL
6-20mg/dL
0.5-0.9mg/dL
55-115mg/dL
2.4-5.7mg/dL
3.4-4.8g/dL
2.7-4.5mg/dL
120-239mg/dL
22-29mmol/L
0-0.5mg/L
8.8
139
4.7
109▲
4.8▼
3.2▼
59▲
14
6.34▲
0.42▲
3.3▼
0.54
100
3.4
198▲
6.6▲
110▼
17.3▼
0.7▲
8.5
140
4.6
107
6.5
3.5
58▲
16
7.08▲
0.51▲
3.5▼
0.67
100
3.7
187▲
5.7▲
110▼
18.1▼
0.05
VBGA
pH
PCO2
PO2
HCO3-
SO2
7.30-7.40
42-48mmHg
35-45mmHg
24-30mEq/L
75%
7.34
48
24▼
25.9
38▼
·
검사 / 분류
일시
목 적
적 응 증
결 과
Chest X-ray
9/25
진단목적을 위한 의학적 검사
폐의 이상을 찾거나 진단 시
·
(2) 특수치료 및 검사
7. 약물
상품명(화학명), 투여경로, 용량
기준용량
투여목적(효능)
부작용
Unasyn(ampicillin), IV, 88mg, 2회/일
1일 Kg당 60~150mg을 3~4회 분할하여 투여. 신생아 특히 조산아의 경우 출생 후 1주 동안은 2회 분할(12시간 간격으로) 투여.
- 상ㆍ하부
호흡기감염증(중이염,
후두개염, 부비동염 포함)
- 세균성폐렴
- 요로감염증 및 신우신염
- 복부내 감염증(복막염,
담낭염, 자궁내막염,
골반연조직염 포함)
- 세균성 패혈증
-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
- 뼈 및 관절감염증
- 임질
- 복부 및 부인과 외과 수술
후 감염방지
빈혈, 용혈성 빈혈, 혈소판 감소, 묽은 변, 때때로 구역, 구토
10% DW, IV, 500ml/day
1회 20∼500 mL 정맥주사하며 주사 속도는 시간당 0.5 g/kg 이하로 함.
- 고칼륨혈증, 순환허탈, 저혈당시의 에너지 보급
- 심질환(G,I,K요법) 그 외 수분, 에너지 보급
대량급속 투여에 의해 전해질 상실, 저칼륨혈증, 고장성혼수, 산증
NaCl, IV, 8.5ml/day
1회 20ml 정맥주사함.
- 수분과 전해질 공급
고나트륨혈증, 울혈성 심부전, 부종
KCl, IV, 10ml/day
0.5-3g을 0.3% 용액이나 링겔 또는 포도당용액에 넣어 분당 8-12ml의 속도로 4시간 이상에 걸쳐 정맥주사.
- 저칼륨혈증, 디기탈리스 중독, 이뇨제 투여후의 저칼륨혈증 증상 완화
소화관 폐쇄, 궤양, 천공, 구토, 소화관 출혈, 설사, 일시적 심전도 장애
8. 문헌고찰
1) 미숙아(Premature infant)
(1) 정의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출생시 체중과 관계없이 제태기간 37주 전에 출생하거나 또는 최종 월경일에서 259 일전에 태어난 신생아를 미숙아라고 정했다. 출생시 체중이 2,500g 이하 일때 넓은 의미에서 저체중출생 아라 부르고 그 중 체붕이 1,500g 미미나인 경우를 극소 저출생체중아라고 하며, 1,000g 미만인 경우를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체중이 적고, 제태기간이 짧을 수록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 진다.
(2) 원인과 발생빈도
대부분 미숙아 출생의 특별한 이유는 밝혀져 있지 않다. 미숙아의 출생 빈도는 지역과 사회경제적 여건, 출생전 간호에 따라 다르지만 6~8% 정도이다.
(3) 병태생리와 임상증상
만삭아와미숙아의 일반적인 외모의 차이는 신체검사와 신경학적 검사에 의하여 재태기간을 추정하는 Dubowitz 사정법이나 Ballard 법을 이용한다. Ballard법은 6개의 신경학적 검사와 7개의 신체검사 항목들 로 구성되어 있다. 태아성장은 두미진행을 하므로 재태기간이 짧은 아기 일수록 신체비율상 머리가 크다. 고환이 재태 8개월경 까지는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미성숙한 남아는 생식기가 덜 발달되어 있다. 여아는 거의 정상아에 이를 때 까지 대음순이 소음순을 덮지 못한다. 미숙아는 전신에 솜털이 많다. 그러나 극소 저출생체중아의 경우 솜털이 없다. 미숙아의 머리카락은 가늘고 양털 다발같이 뭉쳐 있는데 반해 만삭아의 머리카락은 부드럽고 곧다. 신경발달과 기능 미숙아나 정상아의 시경계가 조직적으로 매우 미숙하고 성인 과도 기능적으로 다르다. 특히 신경 단위는 기능상 미성숙하고 전도 통로의 수초화가 제한되어 있다. 미숙 아에서 신경의 기능은 피질보다 뇌간과 척수에 의해 주로 지시 받는다. 굴곡 반응의 증가는 태아가 거의 임신 40주에 도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아기가 만삭 후 2~3개월에 도달하면서 굴곡반응은 사라지 고 신전반응이 증가한다. 또한 아기의 일반적인 자세는 굴곡자세를 많이 보인다. 미숙아의 자세는 일반적 으로 신전되어 있는 반면 만삭아는 굴곡되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자세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아기의 반 응, 긴장력, 강도, 자발적인 근육운동의 사정과 기록은 중요하다. 미숙아에서 나타나는 급성 신경학적 문제 의 대부분은 순환계, 대사, 감염, 환경, 신체적 조건이 기능이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손상을 가져와 나타 나는 것들이다. 근골격계 근육가 신경계간의 관계 때문에 근골격사정과 신경학적 사정은 종종 같이 수행한 다. 척추의 통합성 사정을 위해서는 척추선이 완전한지, 척추의 기저에 함몰이나 털이 난 반점이 있는지 목에서 미골까지 척추를 촉진해 봄으로써 이루어 진다. 손가락, 발가락의 유무, 사지의 길이와 대칭성도 사 정한다. 마지막으로 견축의 유무, 움직일 때 동반되는 통증 여부, 운동범위 기법을 사용하여 모든 관절과 사지를 움직여 본다.
미숙아와 정상아의 가장 큰 차이는 호흡기계의 발달이다. 호흡기계 발달 정도는 생존가능성에 중요한 영 향을 미친다. 임신 26~28주 전에는 폐포와 폐포 모세혈관의 발달이 제한된다. 폐포 안에는 2가지 종류의 세포가 있다. 유형 1의 세포는 폐포의 구조를 제공하며 유형 2세포는 계면활성제의 복합물을 생성한다. 계 면활성제의 주된 기능은 표면장력의 저하를 통한 표면장력의 유지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8.08.13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5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