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음운부분 핵심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세국어 음운부분 핵심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사 개관
2. 중세국어 음운론

본문내용


근거 : 좁쌀의 어원을 찾아가면, 조+인데, 이때 ㅂ이 ‘조’밑으로 이동하여 오늘날의 좁쌀이 되었다고 봄. 이는 ㅂ과 ㅅ이 따로 소리가 났었음을 보여주는 근거이다.
추가 : 한>함>함께의 과정을 추정했을 때, 한의 ㄴ이 ㅁ으로 바뀐 것은 의 ㅂ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밖에 없다. 그렇다는 것은 ㅂ소리가 따로 났음을 의미한다.
(2) 이어적기와 끊어적기(의도적 끊어적기 포함)
① 이어적기(연철) :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를 형태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것.
-중세국어의 표기는 대부분 연철 표기를 사용했으나, 특별한 경우 의도적으로 분철함
예) 달아 : 다- + -아 > 달아(활용형임을 알리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분철함)
② 끊어적기(분철) : 체언과 조사, 어간과 어미를 형태적으로 구분하여 표기한 것.
예) 쵸난+ -을 > 쵸난을
③ 거듭적기(중철) : 연철에서 분철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표기 오류
예) 말+ - > 말
참고> 재음소화 : 거센소리를 평음+ㅎ으로 나누어서 표기한 것
예) 금일로부터 > 금일로붓허, 깊어거 > 깁허거
(3) 방점과 성조
① 성조 : 소리의 높낮이를 의미하며, 중세국어에서는 3개의 성조가 있었음
-평성 : 낮은 소리
-거성 : 높은 소리
-상성 : 낮았다가 높아지는 소리
② 방점 : 성조에 따라 글자 왼편에 찍은 점
-평성 : 무점 / 거성 : 1점 / -상성 : 2점
(4) 주요 문법 특징
① 관형격 조사 : 현대국어에는‘-의’만 있으나, 중세국어에서는 더 있었다.
- -의/- : 평칭의 유정명사에 사용
예) 제(저+-의), 달긔알(닭+-의+알)
- -ㅅ : 무정명사 또는 존칭의 유정명사와 사용
예) 나랏 말(무정명사), 부로 말(존칭의 유정명사)
② 주격 조사 : -이/-ㅣ/
-자음으로 끝난 체언 뒤 : -이
-‘ㅣ,반모음ㅣ’를 제외한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 : -ㅣ
-‘ㅣ,반모음ㅣ’로 끝난 체언 뒤 : -
예) 말미(말+-이), 배(바 + -ㅣ), 자내(자내+-) 내 식 나거든 보고
③ 의문형 어미와 의문 보조사
-의문형 어미
판정의문문
설명의문문
1.3인칭
-나, -냐, -랴
-노, -뇨, -료
2인칭
-ㄴ다
-의문보조사 : -고/-가
④ 명사형 전성어미 : 현대국어에서는 -(으)ㅁ / 중세국어에서는 옴/움
예) - + -움 :
⑤ ㅎ 종성체언 : 단독으로 사용할 때에는 없지만, 뒤에 조사가 결합할 때에 ㅎ이 덧나는 체언.
예) 안(內) : 안 + -(안)
(5) 기타 특이 사항 : 띄어쓰기 없음. 세로쓰기. 동국정운식 표기
①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세로쓰기를 하였음.
-근대국어 시기에 들어서 가로쓰기와 띄어쓰기를 함.
② 동국정운식 표기 : 중국식 한자음 표기를 위해서 따로 마련한 체계
-한자 옆에 훈민정음을 병기함
-각자병서를 활용함.
-초성,중성,종성을 온전히 갖추어 쓰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종성이 없는 한자어의 경우 음가 없는 ㅇ을 종성에 표기함.
예) 字, 世솅宗
-중국음 중 입성자(급격하게 끝나는 음)를 표기하기 위해서 여린히읗(ㆆ)을 사용함.
예) 不相流通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8.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1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