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러싸여있다
음핵
발기성 조직
남성의 음경에 해당
혈액분포가 많고 혈액공급이 잘되어 흥분하면 길이가 2~3cm 로 발기된다
전정 = 전정내에는 질구, 요도구, 2개의 스킨샘, 2개의 바르톨린샘이 포함
음핵포피/음핵꺼플 = 피부주름인 포피를 형성하고 음핵아래에서는 음핵소대를 형성
질구 = 처녀막으로 덮여 있다
처녀막 = 여성생식기의 내부와 외구를 구별- 무공처녀막 : 처녀막이 막혀있는 경우, 처녀막절제술
바르톨린샘
질의 양옆에 있는 2개의 분비기관
성적자극이 있는 동안 다량의 점액 물질을 배출
질주위를 축축하고 윤활하게 한다.
임질감염-화농의 온상이 되기도 한다. 샘전체가 화농성 삼출액에 의해 부풀어 오른다
요도구 = 요도의 입구
스킨샘 = 외요도구의 외측에 있는 2개의 작은 분비샘
회음
음순후연합부에서 항문까지의 삼각으로된 근육체
항문올림근 = 치골미골근+장골미골근+치골항문근 3쌍의 근육으로 이루어짐
회음의 중심힘줄/회음체 = 망울해면체 + 회음표면횡근 + 항문외조임근
항문올림근 + 회음포면횡근 = 골반저를 형성
회음은 골반구조를지지
분만중 손상되기쉽다
혈액은 내음부동맥으로부터 공급
음부신경이 분포
내생식기
질
질의 길이는 8~10cm, 전벽까지의 길이는 6~8cm, 후벽까지의 길이는7~10cm
질원개=자궁경부가 질 상부에 삽입된 부분에 만들어진 공간
질원개
전질원개
후질원개
진단시 중요하게 이용
내진시 이곳의 얇은 막을 통하여 내생식기를 촉진할수 있다.
암세포검사시 중요한 자료
추벽
질벽은 옆으로 주름이 잡힌 점막관
중층편평상피세포
전후상하로 늘어날 수 있다
분만시에 산도의 역할을 위해 최고로 늘어나게 된다
질의 역할
질은 자궁의 분비물과 월경혈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통로
성교기관
분만시에는 태아가 통과하는 산도의 역할
질강은 항상 습하다 자궁의 점막이나 경부에서 흘러나오는 분비물과 질강 내에서 나오는 점액 때문이다.
질점막은 항상 ph4~5
doderlein’s bacillus = 질내의 정상질강 세포
질상피세포에서 나오는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유산으로 만듦
질분비물을 산성으로 유지
외부로부터 병균침입을 막아 일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이다
자궁
자궁의 역할
월경을 하게한다
수정란을 자궁내막에 착상시켜 임신을 유지
임신후부터 분만시까지 태아를 자라게 한다
분만시 태아를 밀어내는 역할
자궁협부 = 임신시 길어짐
자궁내구
체부
경부
유년기에는 체부 1/3 경부 2/3
성숙기 체부2/3 경부 1/3
자궁체부
외막
자궁근층
자궁두께의 7/8을 차지 3층으로 되어있다
내층 : 윤상근
외층 : 종횡근
자궁의 체부는 주로 종행근이나 사위근
자궁의 경부는 주로 윤상근
임신중에는 근육이 비대되고 분만중에는 수축과 견축으로 짧아져서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고 출혈도 방지
자궁내막
기저층
조밀층
해면체
월경시나 분만후 탄락된다
월경시: 조밀층과 해면체 =기능층이 탄락
내막에는 혈관이 많으며 월경주기에 따라서 1~5mm의 두께로 차이가 난다
인대
기인대
자궁의 탈출을 방지
자궁절제술을 할 때 손상받기 쉽다
광인대
자궁, 난관, 난소를 정상위치에 놓이게 한다
원인대
자궁이 전경되도록 기능
임신중에는 자궁이 커졌을 때 자궁의 위치를 전방으로 보호
자궁천골인대
자궁을 견인시켜 제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혈액공급
내장골동맥
자궁동맥
난소동맥
신경지배
교감신경의 지배를 주로 받는다
부교감신경은 2.3.4 천골신경에서 나온 양측 골반신경으로 약간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궁경부신경절로 끝난다
교감신경계는 천골갑바로 아래의 대동맥총에서 일어나 내장골총에 따라 골반내로 들어간다
자궁질신경총으로 들어간다
자궁질신경총 = 자궁 방광 질상부를 지배
자궁의 감각신경섬유= 11, 12 번
음핵
발기성 조직
남성의 음경에 해당
혈액분포가 많고 혈액공급이 잘되어 흥분하면 길이가 2~3cm 로 발기된다
전정 = 전정내에는 질구, 요도구, 2개의 스킨샘, 2개의 바르톨린샘이 포함
음핵포피/음핵꺼플 = 피부주름인 포피를 형성하고 음핵아래에서는 음핵소대를 형성
질구 = 처녀막으로 덮여 있다
처녀막 = 여성생식기의 내부와 외구를 구별- 무공처녀막 : 처녀막이 막혀있는 경우, 처녀막절제술
바르톨린샘
질의 양옆에 있는 2개의 분비기관
성적자극이 있는 동안 다량의 점액 물질을 배출
질주위를 축축하고 윤활하게 한다.
임질감염-화농의 온상이 되기도 한다. 샘전체가 화농성 삼출액에 의해 부풀어 오른다
요도구 = 요도의 입구
스킨샘 = 외요도구의 외측에 있는 2개의 작은 분비샘
회음
음순후연합부에서 항문까지의 삼각으로된 근육체
항문올림근 = 치골미골근+장골미골근+치골항문근 3쌍의 근육으로 이루어짐
회음의 중심힘줄/회음체 = 망울해면체 + 회음표면횡근 + 항문외조임근
항문올림근 + 회음포면횡근 = 골반저를 형성
회음은 골반구조를지지
분만중 손상되기쉽다
혈액은 내음부동맥으로부터 공급
음부신경이 분포
내생식기
질
질의 길이는 8~10cm, 전벽까지의 길이는 6~8cm, 후벽까지의 길이는7~10cm
질원개=자궁경부가 질 상부에 삽입된 부분에 만들어진 공간
질원개
전질원개
후질원개
진단시 중요하게 이용
내진시 이곳의 얇은 막을 통하여 내생식기를 촉진할수 있다.
암세포검사시 중요한 자료
추벽
질벽은 옆으로 주름이 잡힌 점막관
중층편평상피세포
전후상하로 늘어날 수 있다
분만시에 산도의 역할을 위해 최고로 늘어나게 된다
질의 역할
질은 자궁의 분비물과 월경혈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통로
성교기관
분만시에는 태아가 통과하는 산도의 역할
질강은 항상 습하다 자궁의 점막이나 경부에서 흘러나오는 분비물과 질강 내에서 나오는 점액 때문이다.
질점막은 항상 ph4~5
doderlein’s bacillus = 질내의 정상질강 세포
질상피세포에서 나오는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유산으로 만듦
질분비물을 산성으로 유지
외부로부터 병균침입을 막아 일반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이다
자궁
자궁의 역할
월경을 하게한다
수정란을 자궁내막에 착상시켜 임신을 유지
임신후부터 분만시까지 태아를 자라게 한다
분만시 태아를 밀어내는 역할
자궁협부 = 임신시 길어짐
자궁내구
체부
경부
유년기에는 체부 1/3 경부 2/3
성숙기 체부2/3 경부 1/3
자궁체부
외막
자궁근층
자궁두께의 7/8을 차지 3층으로 되어있다
내층 : 윤상근
외층 : 종횡근
자궁의 체부는 주로 종행근이나 사위근
자궁의 경부는 주로 윤상근
임신중에는 근육이 비대되고 분만중에는 수축과 견축으로 짧아져서 태아와 태반을 만출시키고 출혈도 방지
자궁내막
기저층
조밀층
해면체
월경시나 분만후 탄락된다
월경시: 조밀층과 해면체 =기능층이 탄락
내막에는 혈관이 많으며 월경주기에 따라서 1~5mm의 두께로 차이가 난다
인대
기인대
자궁의 탈출을 방지
자궁절제술을 할 때 손상받기 쉽다
광인대
자궁, 난관, 난소를 정상위치에 놓이게 한다
원인대
자궁이 전경되도록 기능
임신중에는 자궁이 커졌을 때 자궁의 위치를 전방으로 보호
자궁천골인대
자궁을 견인시켜 제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혈액공급
내장골동맥
자궁동맥
난소동맥
신경지배
교감신경의 지배를 주로 받는다
부교감신경은 2.3.4 천골신경에서 나온 양측 골반신경으로 약간 신경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궁경부신경절로 끝난다
교감신경계는 천골갑바로 아래의 대동맥총에서 일어나 내장골총에 따라 골반내로 들어간다
자궁질신경총으로 들어간다
자궁질신경총 = 자궁 방광 질상부를 지배
자궁의 감각신경섬유= 11, 12 번
추천자료
[모성간호학] 부인과적 치료와 간호
[모성간호학 실습] 분만 과정 - 분만 1기 케이스 스터디 (미래여성병원 모성병동+DR)
[모성간호학][Oligohydramnios][양수과소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내막증][Endometriosis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전치태반][placenta prev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근종][myoma uteri][Uterine myoma]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endometriosis][자궁내막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근종][Uterine myoma]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육종][Sarcoma of uteru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PIH][임신중독증][자간전증]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모성간호학][분만 케이스][분만과정]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모성간호학 실습] A+받은 myoma(자궁근종) 케이스
[모성간호학 실습] C-SEC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