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론 B형) 전신반응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원리를 기술하고 한국어 초급 학습자(아동 또는 청소년) 수업에 적용한 구체적인 실례를 제시하시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교육론 B형) 전신반응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원리를 기술하고 한국어 초급 학습자(아동 또는 청소년) 수업에 적용한 구체적인 실례를 제시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전신반응 교수법의 특징과 주요 원리
1) 전신반응 교수법의 특징
2) 전신반응 교수법의 주요 원리
(1) 역할극 활용하기
(2) 게임 활용하기
가. 동작으로 맞히기
나. 사슬 게임하기
다. 청기백기게임

2. 과제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주요 원리
1) 과제 중심 교수법의 특징
2) 과제 중심 교수법의 주요 원리

3. 전신반응 교수법의 과제 중심 교수법의 구체적인 예
1) 전신반응 교수법의 구체적인 예
2) 과제 중심 교수법의 구체적인 예

4. 한국어 초급 학습자(아동 또는 청소년) 수업에 적용한 구체적인 실례
1) 전신반응 교수법의 수업 목표/수업 내용과 구체적인 실례
2) 과제 중심 교수법의 수업 목표/수업 내용과 구체적인 실례
(1) 팝송을 통한 과제중심 실례
(2) 영자신문이나 잡지를 통한 과제중심 실례
(3) 영화를 통한 과제중심 실례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각을 크게 하고 강화단계에서 학습자들은 전체 장면을 시청하며 자연스럽게 자각한 요소들을 심상에 내재화한다. 영화는 상영시간이 길므로 수업시간에 다루기가 힘들다. 학습자들이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영화 중 중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학습 활동을 꾸밀 수도 있고, “심슨”, “스누피”, “톰과 제리” 등 한 편마다 에피소드가 있는 애니메이션을 선택하여 그 중에서도 중등학교 학습자들에게 맞는 재미있고 유익한 내용을 골라 소그룹 활동을 할 수도 있다.

먼저 학습을 시작하기 전에 그룹별로 등장인물에 대한 조사를 해 오도록 한 후 수업시간에 발표를 하게 한다. 비록 단편이더라도 한 편을 한 시간에 수업하기는 힘들므로 두 시간 또는 세 시간으로 나누어 학습한다. 학습 활동의 진행은 정창기(2003)의 3단계 학습 활동 단계에 맞추어 진행한다. 우선 교사가 간단하게 그 날 학습할 편의 배경을 간단하게 그림을 이용하여 영어로 설명해 준다. 첫 번째 단계로 영상은 보여주지 않고 소리만 듣게 한후 몇 가지 질문사항을 던져 그룹원들이 함께 고민하고 답하도록 한다. 두 번째 영상만을 보여주어 내용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 후 다시 한번 질문의 답을 수정한다. 마지막으로 소리와 영상을 함께 보여주어 최종 답안을 작성하여 각 그룹별로 발표하도록 한다. 발표할 때는 한 그룹이 먼저 발표하고 틀린 답이 나오면 다음 그룹이 발표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Synopsis : Homer discovers that Lisa has an
uncanny ability to pick winning football teams.
Soon, the two of them spend every Sunday
afternoon together, betting on football games
and winning. During these \"Daddy-Daughter
Days\", Lisa feels closer to Homer than ever,
but she begins to feel betrayed when she
realizes Homer is only interested in her winning picks. Lisa rebels by
refusing to pick a winner for the Super Bowl until Homer apologizes for
being selfish. They agree to have Daddy-Daughter Days after the end of
the football season and continue to bond.
Q1. What kind of ability had Homer found from Lisa?
Q2. At the first what was Homer interested in?
Q3. Why Homer apologized to Lisa?
Q4. What happened on Daddy-Daughter Days?
Q5. What did you feel after seeing this episode?
5. 시사점
TPR에서 학습자는 주로 교사의 명령을 듣고 이해하여 행동으로 반응하는 청자와 행위자의 입장이 된다. 학습자는 TPR 수업에서 두 단계의 듣기 훈련을 쌓는데, 첫 번째 단계는 교사가 행동으로 그 의미를 나타낸 명령문을 듣고 이해하는 것이고, 두 번째 단계는 교사가 그동안 배운 문장 구조와 어휘를 이용하여 임의로 새로운 명령문을 조작하여 명령한 것을 이해하는 단계이다. 다시 말하면 첫 번째 단계는 교사의 명령문을 단순하게 듣는 것이고, 두 번째 단계는 새로운 어휘와 문장(생소한 문장)을 창조적으로 듣는 것인데 TPR의 궁극적인 묘미는 창조적으로 들을 줄 알고, 또한 창조적으로 말할 줄 아는데 있다. 따라서 지엽적인 문법규칙과 단어암기의 학습에 그치지 않고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습자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하면서 외국어를 습득하게 되는데, 이 때, 내성적인 학생은 신체 활동을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 수도 있다. TPR이 주로 고려하는 것은 어떻게 학생의 긴장 심리를 경감시키고 학생들의 기분을 편안하게 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보면 실질적으로는 학생중심적인 교수법이지만, 교실 활동을 통해 학습자가 외국어를 내면화하기 위해서 해당문형을 만들고, 제시하고, 상황을 이끌어 가는, 주체적인 역할을 하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관하여 TPR의 창시자인 Asher는 교사를 교실이라는 무대의 감독으로 보고 있다.
또한 수업활동 시 교사의 명령에 반응하는 학생의 행동은 빠르게 진행될 것이므로 교사는 다음 동작을 유발하는 어휘 또는 문장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도록 명령문을 고안할 때는 구체적이고 자세히 짜야한다. 이외에도 교사는 교수요목을 지도하기 위하여 자료를 활용할 때에는 TPR자료로서 책, 펜, 컵, 책상 등과 같은 교실 물건을 사용함과 동시에 교사 자신이 목소리, 행동, 몸짓, 등으로 교실 활동에서의 충분한 기초 자료가 되어야 한다. 또한 명령문을 자세히 만들고 이를 TPR 수업 장면에 활용할 때에는 교실에서의 무대 감독으로서 각별한 주의를 요하는데, 처음에는 학습자가 의미 중심으로 진행하는데 있어서 오류 수정으로 인한 수업의 흐름이 끊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학습자의 오류에 대해 대범하게 지나쳐 버려야 하지만 어느 정도 학습 수준이 오르면 교사는 학습자의 오류 수정에 관심을 가져서 학습자들의 오류를 수정해 주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전신반응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의 특징과 원리를 기술하고, 한국어 초급 학습자(아동 또는 청소년) 수업에 적용한 구체적인 실례를 제시해 보았다. 언어교육은 여러 교육 중에서도 가장 기초가 되는 교육이다. 아기 때 울음으로 의사소통을 시도하며 옹알이의 과정을 거치고 말을 하기까지 가장 본능적이고 원초적인 학습을 시작하는 것도 언어라는 주제이고 또 모든 교육의 도구도 언어이며 또 다른 신세계를 접했을 때 그 지식을 남기는 매듭도 언어를 통해서이다. 우리는 날 때부터 호모로
  • 가격5,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8.09.05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2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