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서론
본론
1. 청소년에 대한 이해 (1) 청소년의 정의
(2) 신체적 특징
(3) 정서적 특징
(4) 사회적 특징
2. 또래 관계 (1) 또래 관계의 개념
(2) 또래 관계의 중요성
3, 또래관계 관리전략
4, 또래관계의 질
5, 나의 청소년기 또래관계
결론
참고자료
서론
본론
1. 청소년에 대한 이해 (1) 청소년의 정의
(2) 신체적 특징
(3) 정서적 특징
(4) 사회적 특징
2. 또래 관계 (1) 또래 관계의 개념
(2) 또래 관계의 중요성
3, 또래관계 관리전략
4, 또래관계의 질
5, 나의 청소년기 또래관계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만 내 성격이 조용하고 자기주장이 약한 편이어서 친구들은 그런 나를 조금 답답해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다행인 것은 그때는 지금처럼 조금 마음에 안 든다고 친구들을 왕따시키고 괴롭히는 일은 거의 없었으며 더 다행인 것은 SNS가 있던 시대가 아니라. 그런 친구들의 부정적인 감정이 일부로 강화된다든지 일방적으로 다른 한 친구를 배제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학교나 도서관에서 보거나, 집 전화로 간간히 통화하고 약속시간을 정하고 그렇지 않았을 때는 휴일에 집에서 가족과 보내는 경우가 많았다. 시험기간에 친구들과 독서실이나 도서관에서 공부하다가 놀다가, 먹다가 다시 공부하다보면 거리는 어두워지고 뭐 별일이나 한 것처럼 각자 집으로 돌아가 괜히 피곤한척 까칠하게 굴면서 부모님의 잔소리를 면하는 것이 일상이었다. 지금 아이들을 보면서 느끼는 점은 서로 살을 부대끼면서 놀거나 속을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상대가 너무 없다는 사실이다. 정말이지 요즘 청소년들은 너무 외롭고 바쁘고 여유가 없으며 깊은 소통이 드물다. 이런 상황은 교우관계를 핍절하게 하고 정서적인 고립감을 느끼게 하며 스트레스에 취약한 상태를 만든다. 청소년기의 복잡다단한 심리, 정서적 상태를 감안하면 요즘의 또래 생태계는 너무 험악하고 복잡하며 삭막하다. 우리 어른들이 이런 아이들의 마음을 열 수 있도록 또래들과의 소통과 관계를 더 적극적으로 엮어주어야 하지 않을까?
결론
어떤 특성만으로 사람들 간의 관계 질을 결정하기는 어렵겠지만 청소년들이 또래들로부터 인정받고 인기를 얻을 수 있기 위해 몇 가지 특성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 또래 친구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으로 첫째,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다. 다른 사람의 견해나 감정을 이해하는 기술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사회적으로 수용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자신의 역할을 충실 이하는 것도 또래들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특성이다. 청소년들은 유능한 사람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지만 유능함 속에 겸손함을 보일 수 있는 아이들을 또래들이 더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또래들과 Ibid 21. Ibid.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심리적으로 미숙하여 갈등상황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갈등상황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은 또래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데 매우 필요한 기술이다. 넷째,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성격이 좋고 지도력이 있는 또래들이 인기 있는 아이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자기를 개방하고 상호의 비밀을 지킬 수 있는 청소년들의 능력은 또래 관계 형성에 필요하다. 여섯째, 시간을 함께 보낸다거나, 물건을 함께 나눠 쓰는 등 무엇인가를 나누어 쓸 수 있는 관계에서 또래 관계는 발전된다. 이와는 반대로 또래들로부터 거절당하는 청소년들은 낮은 자존감과 우울, 외로움, 적대감 등의 부정적 정서로 고통을 받으며 성공적인 자아상은 물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청소년기에 부모에 대한 위존감 을로부터 분리하여 자율성을 잘 획득하기 위해서는 좋은 또래 관계가 꼭 필요하다. 청소년기에는 또래가 부모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데, 청소년기의 또래 관계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줌에 따라 또래 간의 애착이 점차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청소년기에 또래 관계가 갖는 긍정적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과 유사한 신체적 변화를 겪으며 학업, 친구 관계 등 비슷한 고민거리를 나눌 수 있는 친구는 사회적 지지와 정서적 안정감의 근원이 될 수 있다. 둘째, 또래에 직접 참여하여 친구들과 공통주제에 관해 대화하며 동등한 위치에서 상호 역동적 대인관계를 경험할 수 있다. 셋째,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청소년기 발달과업인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받게 된다. 넷째, 또래들과 비슷한 경험을 서로 나누고 공감하는 가운데 중요한의사 결정의 판단기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과 더불어 청소년기 또래와의 친밀한 관계는 청소년의 자기개념, 심리적 적응, 신체적 건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참고 자료
청소년 상담학개론 / 김동일, 김은하 외 3명 저 / 학지사 / 2014
발달정신병리학 / Charles Wenar 저 / 이춘재 역 / 박학사 / 2004
학습과 발달에 대한 이해 / 문무경 저 / 창지사 / 200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교문사 / 2014
인간성장과 발달 / 박충선, 김경옥 외 4명 저 / 퍼시픽북스 / 2015
결론
어떤 특성만으로 사람들 간의 관계 질을 결정하기는 어렵겠지만 청소년들이 또래들로부터 인정받고 인기를 얻을 수 있기 위해 몇 가지 특성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 또래 친구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개인적 특성으로 첫째,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다. 다른 사람의 견해나 감정을 이해하는 기술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사회적으로 수용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자신의 역할을 충실 이하는 것도 또래들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특성이다. 청소년들은 유능한 사람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지만 유능함 속에 겸손함을 보일 수 있는 아이들을 또래들이 더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갈등을 건설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회적 기술을 또래들과 Ibid 21. Ibid.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심리적으로 미숙하여 갈등상황에 직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갈등상황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은 또래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데 매우 필요한 기술이다. 넷째,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성격이 좋고 지도력이 있는 또래들이 인기 있는 아이로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자기를 개방하고 상호의 비밀을 지킬 수 있는 청소년들의 능력은 또래 관계 형성에 필요하다. 여섯째, 시간을 함께 보낸다거나, 물건을 함께 나눠 쓰는 등 무엇인가를 나누어 쓸 수 있는 관계에서 또래 관계는 발전된다. 이와는 반대로 또래들로부터 거절당하는 청소년들은 낮은 자존감과 우울, 외로움, 적대감 등의 부정적 정서로 고통을 받으며 성공적인 자아상은 물론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청소년기에 부모에 대한 위존감 을로부터 분리하여 자율성을 잘 획득하기 위해서는 좋은 또래 관계가 꼭 필요하다. 청소년기에는 또래가 부모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데, 청소년기의 또래 관계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줌에 따라 또래 간의 애착이 점차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청소년기에 또래 관계가 갖는 긍정적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과 유사한 신체적 변화를 겪으며 학업, 친구 관계 등 비슷한 고민거리를 나눌 수 있는 친구는 사회적 지지와 정서적 안정감의 근원이 될 수 있다. 둘째, 또래에 직접 참여하여 친구들과 공통주제에 관해 대화하며 동등한 위치에서 상호 역동적 대인관계를 경험할 수 있다. 셋째,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청소년기 발달과업인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받게 된다. 넷째, 또래들과 비슷한 경험을 서로 나누고 공감하는 가운데 중요한의사 결정의 판단기준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과 더불어 청소년기 또래와의 친밀한 관계는 청소년의 자기개념, 심리적 적응, 신체적 건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참고 자료
청소년 상담학개론 / 김동일, 김은하 외 3명 저 / 학지사 / 2014
발달정신병리학 / Charles Wenar 저 / 이춘재 역 / 박학사 / 2004
학습과 발달에 대한 이해 / 문무경 저 / 창지사 / 200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교문사 / 2014
인간성장과 발달 / 박충선, 김경옥 외 4명 저 / 퍼시픽북스 / 2015
추천자료
[교육심리학]청소년 일탈행위의 요인분석 및 문제행동의 지도방향
[인간행동과사회횐경]청소년기 발달이론과 심리적특성 및 문제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적 발달 특성 및 변화에 대해 기술하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청...
[범죄심리학] 청소년 비행의 이론 유형과 특성 및 원인에 대한 정리와 분석 -사상체질의학의 ...
[★우수레포트★][청소년 복지] 성문제와 청소년복지 - 청소년기의 성 심리, 청소년 성문제 실...
[가족심리(가족의 심리적 환경)]가족심리(가족의 심리적 환경)와 청소년비행, 가족심리(가족...
[청소년(사춘기), 심리적 특성]청소년(사춘기)의 개념, 청소년(사춘기)의 심리적 특성, 청소...
청소년기에 이루어야할 심리사회적 발달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서술.
[교육심리학]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과 그와 관련된 프로그램
청소년의 학습고민에 따른 부적응 - 개입사례 (심리사회적 모델의 개념, 청소년의 학습고민에...
[청소년 복지] 청소년기의 성 심리, 청소년 성문제 실태, 원인, 청소년기 성문제 예방방안과 ...
[청소년상담] 청소년기의 특징(신체적 발달, 심리적 발달, 행동적 발달)과 청소년상담의 특징...
[인간과 심리] 당신의 청소년기를 되돌아보고, 청소년기에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인간과심리)당신의 청소년기를 되돌아보고, 청소년기에 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이었는지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