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문제해결력 검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문제해결력 검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언어문제해결력 검사의 개관
1. 검사대상 및 목적

2. 검사의 활용

3. 문항 구성

4. 검사 방법

5. 검사 환경

6. 채점 및 기록
1) 문항별 채점
2) 채점기준의 예
3) 표지 완성하기

7. 검사소요 시간

8. 검사의 실시 및 주의 사항


II. 언어문제해결력 검사 사례분석

1. 검사 결과 처리의 실례
2. 검사를 활용한 논문 분석
1) 연구의 개요
2) 연구대상의 특징
3) 언어문제해결력 검사 사전·사후 검사 결과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1
0
번호
질 문
원인
해결
추론
그림판
15
43
친구는 앞마당에 예쁜 꽃나무를 가꾸고 싶어서 작은 꽃나무를 한 그루 사 왔어요. 이제 어떻게 해야 될까요?
물을 제때에 주고 잘 키워야 되요
0
44
이 꽃나무를 심기 위해서는 왜 망치가 필요하지 않을까요?
망치 대신 삽으로 파 가지고 나무를 심어 가지고 키워야 돼요
1
45
내년 여름이 되면 이 꽃나무는 어떻게 될까요?
예쁘게 꽃이 피어요
1
그림판
16
46
친구가 더워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부채를 들고 부채질하니까
1
47
친구는 어떻게 하면 시원해질 수 있을까요?
책가방을 들고 빨리 집에 가서 선풍기를 틀어 놓고 앉아 있어요
1
그림판
17
48
고약한 냄새가 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쓰레기를 버리고 깡통을 버려서요
1
49
왜 고약한 냄새가 날까요?
사람들이 마구 버려서
0
50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곳에 이런 고약한 냄새가 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우리들이 그런 데다 쓰레기를 버리지 않아요
1
소 계
1
2
3
총 계
15
10
9
총 점
34
2. 검사를 활용한 논문 분석
언어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한 논문들 가운데 성현주의 『Think Aloud Program이 ADHD 아동의 이야기 인과관계 이해와 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를 살펴보았다. 아동을 검사하는 과정이나 아동의 검사 프로파일을 담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 도구로 사용되어 그 결과를 담고 있다.
1) 연구의 개요
본 연구는 ADHD 아동들에게 Think Aloud Program을 통해 이야기 인과관계 이해와 포현 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내용에 관한 연구로 세 명의 ADHD 아동을 대상으로 14번의 개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에 언어문제해결력 검사의 사전·사후 검사 비교와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수정 보완하여 만든 이야기인과관계 이해, 표현 검사지의 회기별 측정을 비교하여 이야기 인과관계 능력에 향상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첫째, 언어문제해결력 검사를 통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 비교를 통하여 Think Aloud Program을 이용한 중재가 ADHD 아동의 \'원인이유\' 추론 능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사전검사에서 아동들이 \'원인이유\'추론 능력이 평균과 -1SD의 위치를 나타내었는데 사후검사에서는 모두 4점에서 7점 향상되었다.
둘째, Think Aloud Program을 이용한 중재는 언어문제해결력 검사를 이용한 사전, 사후 검사 결과 비교를 통하여 아동의 \'원인이유\'추론 능력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력 능력도 향상시켰음을 볼 수 있다. 언어문제 해결력 검사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전체 9점-11점의 향상을 보였다.
셋째, Think Aloud Program을 이용한 중재가 아동의 지능지수에 따라 아동 간 습득도에 많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언어문제해결력 사전, 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지능이 가장 높은 아동 2와 비교하여 \'평균하\' 수준인 아동 3의 \'원인 이유\'점수가 사전, 사후 유사한 점으로 보아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평균 하\'수준인 아동 1의 경우, 사전검사에서 타 아동에 비해 \'원인이유\'점수가 낮았으나 사후검사 결과 가장 큰 점수 상승폭을 보여주었다. 이야기 인과관계 이해 및 표현 측정 과제를 통하여 사전, 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한 결과도 마찬가지로 이해와 포현 모두 증진되었다.
넷째, 이야기 인과관계 이해, 표현 측정 과제를 통한 사전, 사후 유지 검사 결과 비교를 통하여 Think Aloud Program을 이용한 중재가 ADHD 아동의 이야기 인과관계의 이해와 표현 능력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다.
2) 연구대상의 특징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3명으로 1) KEDI-WISC로 측정된 IQ 85이상이고, 2) DSM-IV의 ADHD의 진단기준과 ADS검사(주의력장애진단시스템)를 종합하여 소아정신과 전문의가 내린 아동이면서 3) 언어문제해결력 검사와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 결과 -1 표준편차 이내에 위치한 아동으로 4) 현재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이다.
(1) 선정된 애상 아동의 특성
구분
아동1
아동2
아동3
연령
8세 4개월
8세
8세 2개월
성별



지능
85점
107점
86점
언어문제해결력
30점
39점
34점
구문의미 이해력
40점
44점
42점
<대상아동 1>은 만 8세 4개월의 3학년 남아로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 결과 전체 지능 85로 \'평균하\'수준에 속해 있다. 문제해결력 검사는 평균에서 -1표준편차 떨어진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지적 잠재력은 IQ 100이상의 수준으로도 발달 가능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작성 지능과 언어성 지능의 편차가 크고 언어적 이해 및 표현의 지체가 보인다. 현재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으로 ADHD로 진단받아 현재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중인데 산만하며 회상하기 능력이 매우 낮고 수업 중 회피 행동이 많다. 친구들과의 상호작용도 어려워 혼자 놀이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중 언어 문제로 아동은 어려서부터 언어 치료를 받아왔으며, 문법적인 구성에 어려움을 보이며 듣기 집중력이 낮아서 적절한 대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학교에서도 친구들의 이름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등 또래관계에서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상아동 2>는 만 8세의 3학년 남아로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 결과 전체 지능은 107로 \'평균\'수준에 속해 있다. 문제해결력 검사에서도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지능검사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 이해력과 판단력과 관련해서 시각적 단서에 기초한 핵심 변별력은 양호한 편이었으나 관습적 지식에 대한 습득은 평균수준의 하단으로 미흡하였고 인과관계를 예측하는 계열적 처리능력은 경계선으로 수행 중 가장 저조하였다. 가용한 어휘력이 우수한 편이고 문제해결력 검사에서는 평균수준으로 결과를 보였다. 아동은 조음장애로 인해 언어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으로 ADHD로 진단 받아 약물치료를 받고 있다. 생각나는 즉시 말을 하여서 친구의 말을 가로막거나 활동을 바
  • 가격2,2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8.11.20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0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