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라던지, 有德하신, 지이다 등 존경의 의미가 드러나는 말들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유덕하신 임은 사랑하는 낭군, 부모, 더 나아가 군주를 칭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석가’의 경우 이미 첫 연에서부터 그 대상에 대한 정보가 확실히 드러나 있고 그렇게 해석해야 큰 무리가 없다. 결국 식물 광물 동물 여흥 의 식 등이 등장한다는 것은 삼라만상의 列을 모두 사용해서 임금과 헤어질 수 없음을 토로한 것이다. 강명혜, <고려속요,사설시조의새로운이해>, 북스힐, 2002.
또한 맨 마지막 연은 ‘서경별곡’의 주제연인 2연과 같은 구절로서 어떠한 일이 있어도 임에 대한 신의는 변함이 없음을 맹세하는 구절이다. 송도의 노래인 ‘정석가’와 표면적으로 남녀 간의 이별 노래인 ‘서경별곡’에 동일한 구절이 나타난 것은 결국 두 노래의 이면적 주제가 왕/사랑하는 임에 대한 사랑, 충성심의 발로의 일환으로 절대 헤어질 수 없다는 간절함을 통해 왕/사랑하는 임에 대한 사랑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박노준, <고전시가엮어보기(상)>, 태학사, 2003.
- 임기중, <우리의 옛노래>, 현암사, 1994.
- 조규익, <고전시가의변이와지속>, 학고당, 2006.
또한 맨 마지막 연은 ‘서경별곡’의 주제연인 2연과 같은 구절로서 어떠한 일이 있어도 임에 대한 신의는 변함이 없음을 맹세하는 구절이다. 송도의 노래인 ‘정석가’와 표면적으로 남녀 간의 이별 노래인 ‘서경별곡’에 동일한 구절이 나타난 것은 결국 두 노래의 이면적 주제가 왕/사랑하는 임에 대한 사랑, 충성심의 발로의 일환으로 절대 헤어질 수 없다는 간절함을 통해 왕/사랑하는 임에 대한 사랑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박노준, <고전시가엮어보기(상)>, 태학사, 2003.
- 임기중, <우리의 옛노래>, 현암사, 1994.
- 조규익, <고전시가의변이와지속>, 학고당,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