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교육론] 정석가 - 남녀상열지사 정석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시가교육론] 정석가 - 남녀상열지사 정석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라던지, 有德하신, 지이다 등 존경의 의미가 드러나는 말들을 사용하고 있다. 물론 유덕하신 임은 사랑하는 낭군, 부모, 더 나아가 군주를 칭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석가’의 경우 이미 첫 연에서부터 그 대상에 대한 정보가 확실히 드러나 있고 그렇게 해석해야 큰 무리가 없다. 결국 식물 광물 동물 여흥 의 식 등이 등장한다는 것은 삼라만상의 列을 모두 사용해서 임금과 헤어질 수 없음을 토로한 것이다. 강명혜, <고려속요,사설시조의새로운이해>, 북스힐, 2002.
또한 맨 마지막 연은 ‘서경별곡’의 주제연인 2연과 같은 구절로서 어떠한 일이 있어도 임에 대한 신의는 변함이 없음을 맹세하는 구절이다. 송도의 노래인 ‘정석가’와 표면적으로 남녀 간의 이별 노래인 ‘서경별곡’에 동일한 구절이 나타난 것은 결국 두 노래의 이면적 주제가 왕/사랑하는 임에 대한 사랑, 충성심의 발로의 일환으로 절대 헤어질 수 없다는 간절함을 통해 왕/사랑하는 임에 대한 사랑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 박노준, <고전시가엮어보기(상)>, 태학사, 2003.
- 임기중, <우리의 옛노래>, 현암사, 1994.
- 조규익, <고전시가의변이와지속>, 학고당, 2006.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