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근원및 형성과정
2. 유교적인 시각
3. 불교적인 시각
4. 도교적인 시각
Ⅲ. 결론
Ⅱ.본론
1. 근원및 형성과정
2. 유교적인 시각
3. 불교적인 시각
4. 도교적인 시각
Ⅲ. 결론
본문내용
적인 희생적 참회, 비원에 의한 무상(無上)의 제도(濟度), 즉 절대적 불공에 따른 왕생극락(往生極樂) 이 주제로 제시되기도 하였다.
또 〈 심청전 〉 을 성년식 소설로 보고, 심청이 무지(無知) 무명 ( 無明 )으로부터 깨어나 인식과 각성에 이름으로써 잃어버린 자아를 발견, 회복시켜 나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주제 논의는 주로 경판 24장본을 대상으로 하여 행하여진 것이다. 판소리계 소설인 완판본의 주제는 두개로 이야기된다. 즉, 영웅의 일생 이라는 전승적 유형을 충실히 따르는 부분에서는 유교이념을 긍정하는 부수적 관념론의 입장이 제시되고, 판소리로 불리면서 새로이 첨가된 부분에서는 유교이념을 부정하는 진보적 현실주의의 입장이 제시되어 있다.
이렇게 서로 상반되는 두개의 주제가 상호 갈등하면서 공존해 있는 것이 완판본 〈 심청전 〉 의 한계이자 특성인 것으로 지적된다.
(1) 강봉근, “심청전의 인물론” , 일산 김중영선생 화갑기념논총(동간행위원회, 1980)
(2) 곽정식, “고소설연구 제2집”, (국학자료원, 19970
Ⅱ. 본론
1. 근원및 형성과정
근원과 형성과정에 대한 관심은 <심청전> 연구의 초창기부터 시작되어 근래에 이르기 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근원 연구를 가장 먼저 시작한 김태준은 먼저 작품의 원천을 탐색하였고, 그것은 작품의 내용과 유사한 설화를 찾아내는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그는 국내외에 분포되어 있는 ‘심청전형설화(沈淸傳形說話)’들을 소개하고, 이들 설화들과 의 대비를 통해서 심청전의 근원과 발생과정을 밝히려 했다. 그가 소개한 국내의 유사설 화로는 ‘거타지설화(居陀知說話)’, ‘효녀지은설화(孝女知恩說話)’ 등이 있고, 국외의 설화로 는 인도의 ‘전동자(專童子)·법묘동자설화(法妙童子說話)’, 일본의 ‘소야희설화(小夜姬說話)’ 등이 있다. 그는 전파론적 입장에서 인도의 문화가 동점(東漸)하여 일본으로 전파되는 과 정에서 <심청전>의 근원설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옥과현 성덕산 관음사 연기 설화(玉果縣 聖德山 觀音寺 緣起說話)’를 소개하고, 그 내용이 <심청전>과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이것을 근원 설화로 추정했다.
충남 대흥현에 상처(喪妻)한 맹인 원량(元良)이란 자가 홍장(洪莊)이란 독녀를 의지하고 살았다. 원량이 하루는 홍법사(弘法寺)의 중 성공(性空)에게서 눈도 뜨고 복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듣고 자기 딸을 팔아 돈을 주기로 약속했다. 그 때 홍자의 나이는 16세였다. 그는 이 소식을 듣고 소량포변(蘇浪浦邊)에 앉아 깊은 설움에 싸여 있었다. 그 때 중국 선인들이 배를 타고 지나가다 이를 발견하자, 그 아름다운 용모에 놀라 홍장을 배에 싣고 귀국하여 천자에게 바쳤다.
그 때는 진혜제(晋惠帝) 영강(永康) 5월, 방금 황후가 붕(崩)한 뒤였다. 왕은 길몽을 얻어 결국 홍장을 왕후로 맞아들인다. 홍장은 황후가 된 뒤에도 본국을 잊지 못하고 있다가 드디어 3척의 배에 관세음보살을 실어 동국으로 띄어 보냈는데, 그 배가 표착한 곳이 전남 옥과현 성덕사의 기지(基址)라 한다. 원량은 물론 공덕에 의하여 눈을 뜬다.
김태준의 근원 연구는 그 후에 장덕순(1963), 김기동(1963), 황패강(1966), 김태곤(1967), 신동일(1968), 사재동(1971), 정하영(1983) 등으로 이어지면서 심화되었다. 장덕순은 김태 준의 근원 탐색 방법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그 범주를 확대시켰다. 그는 근원 설화가 범세 계적 성격을 지닌 것임을 논증하려 했다. 그는 근원설화를 ‘인신공희설화(人身供犧說話)’, ‘영웅설화(英雄說話)’, 기타 설화 등으로 나누고, 국내외의 몇 가지 설화들을 찾아 첨가하였 다. 중국의 설화 수신기(搜神記)에 나오는 ‘대사퇴치설화(大蛇退治說話)’, 희랍의 신화 가 운데 ‘페르세우스설화’와 ‘테세우스설화’, 구약성서에 나오는 ‘아브라함의 제사’, 그리고 전 주 지역에서 구전설화로 전하는 ‘대사퇴치설화(大蛇退治說話)’ 등을 소개하여, 다양한 지역 에서 유사 설화가 발견됨을 증명하려 했다.
이디오피아의 공주 안드로메다는 몹시 아름다웠다. 그 어머니는 자기의 딸을 바다의 여신인 네레이데보다도 어여쁘다고 자랑한 것이 그 여신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해신(海神)은 대사(大蛇)를 이디오피아에 보내 그 국토을 횡행하게 하여 백성을 괴롭히었다. 이에 아몬의 제우스신은 공주 안드로메다를 그 대사에게 제공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따. 그리하여 부왕은 부득이 딸을 결박하여 뱀에게 바친다. 그
또 〈 심청전 〉 을 성년식 소설로 보고, 심청이 무지(無知) 무명 ( 無明 )으로부터 깨어나 인식과 각성에 이름으로써 잃어버린 자아를 발견, 회복시켜 나가는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주제 논의는 주로 경판 24장본을 대상으로 하여 행하여진 것이다. 판소리계 소설인 완판본의 주제는 두개로 이야기된다. 즉, 영웅의 일생 이라는 전승적 유형을 충실히 따르는 부분에서는 유교이념을 긍정하는 부수적 관념론의 입장이 제시되고, 판소리로 불리면서 새로이 첨가된 부분에서는 유교이념을 부정하는 진보적 현실주의의 입장이 제시되어 있다.
이렇게 서로 상반되는 두개의 주제가 상호 갈등하면서 공존해 있는 것이 완판본 〈 심청전 〉 의 한계이자 특성인 것으로 지적된다.
(1) 강봉근, “심청전의 인물론” , 일산 김중영선생 화갑기념논총(동간행위원회, 1980)
(2) 곽정식, “고소설연구 제2집”, (국학자료원, 19970
Ⅱ. 본론
1. 근원및 형성과정
근원과 형성과정에 대한 관심은 <심청전> 연구의 초창기부터 시작되어 근래에 이르기 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근원 연구를 가장 먼저 시작한 김태준은 먼저 작품의 원천을 탐색하였고, 그것은 작품의 내용과 유사한 설화를 찾아내는 작업으로 진행되었다. 그는 국내외에 분포되어 있는 ‘심청전형설화(沈淸傳形說話)’들을 소개하고, 이들 설화들과 의 대비를 통해서 심청전의 근원과 발생과정을 밝히려 했다. 그가 소개한 국내의 유사설 화로는 ‘거타지설화(居陀知說話)’, ‘효녀지은설화(孝女知恩說話)’ 등이 있고, 국외의 설화로 는 인도의 ‘전동자(專童子)·법묘동자설화(法妙童子說話)’, 일본의 ‘소야희설화(小夜姬說話)’ 등이 있다. 그는 전파론적 입장에서 인도의 문화가 동점(東漸)하여 일본으로 전파되는 과 정에서 <심청전>의 근원설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그는 ‘옥과현 성덕산 관음사 연기 설화(玉果縣 聖德山 觀音寺 緣起說話)’를 소개하고, 그 내용이 <심청전>과 유사하다는 점을 들어 이것을 근원 설화로 추정했다.
충남 대흥현에 상처(喪妻)한 맹인 원량(元良)이란 자가 홍장(洪莊)이란 독녀를 의지하고 살았다. 원량이 하루는 홍법사(弘法寺)의 중 성공(性空)에게서 눈도 뜨고 복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듣고 자기 딸을 팔아 돈을 주기로 약속했다. 그 때 홍자의 나이는 16세였다. 그는 이 소식을 듣고 소량포변(蘇浪浦邊)에 앉아 깊은 설움에 싸여 있었다. 그 때 중국 선인들이 배를 타고 지나가다 이를 발견하자, 그 아름다운 용모에 놀라 홍장을 배에 싣고 귀국하여 천자에게 바쳤다.
그 때는 진혜제(晋惠帝) 영강(永康) 5월, 방금 황후가 붕(崩)한 뒤였다. 왕은 길몽을 얻어 결국 홍장을 왕후로 맞아들인다. 홍장은 황후가 된 뒤에도 본국을 잊지 못하고 있다가 드디어 3척의 배에 관세음보살을 실어 동국으로 띄어 보냈는데, 그 배가 표착한 곳이 전남 옥과현 성덕사의 기지(基址)라 한다. 원량은 물론 공덕에 의하여 눈을 뜬다.
김태준의 근원 연구는 그 후에 장덕순(1963), 김기동(1963), 황패강(1966), 김태곤(1967), 신동일(1968), 사재동(1971), 정하영(1983) 등으로 이어지면서 심화되었다. 장덕순은 김태 준의 근원 탐색 방법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그 범주를 확대시켰다. 그는 근원 설화가 범세 계적 성격을 지닌 것임을 논증하려 했다. 그는 근원설화를 ‘인신공희설화(人身供犧說話)’, ‘영웅설화(英雄說話)’, 기타 설화 등으로 나누고, 국내외의 몇 가지 설화들을 찾아 첨가하였 다. 중국의 설화 수신기(搜神記)에 나오는 ‘대사퇴치설화(大蛇退治說話)’, 희랍의 신화 가 운데 ‘페르세우스설화’와 ‘테세우스설화’, 구약성서에 나오는 ‘아브라함의 제사’, 그리고 전 주 지역에서 구전설화로 전하는 ‘대사퇴치설화(大蛇退治說話)’ 등을 소개하여, 다양한 지역 에서 유사 설화가 발견됨을 증명하려 했다.
이디오피아의 공주 안드로메다는 몹시 아름다웠다. 그 어머니는 자기의 딸을 바다의 여신인 네레이데보다도 어여쁘다고 자랑한 것이 그 여신의 노여움을 사게 되어, 해신(海神)은 대사(大蛇)를 이디오피아에 보내 그 국토을 횡행하게 하여 백성을 괴롭히었다. 이에 아몬의 제우스신은 공주 안드로메다를 그 대사에게 제공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따. 그리하여 부왕은 부득이 딸을 결박하여 뱀에게 바친다. 그
추천자료
중국사상-유교사상과 도교사상
[유교][불교][기독교][도교][부두교][이괘교][사이비종교][종교][종교사상]유교, 불교, 기독...
도교사상과 유교사상
[유교사상][인권사상][도교사상][유교사상의 과제]유교사상의 정립, 유교사상의 이론, 유교사...
동양사상에서 본 생명의 가치 (유가, 인 사상, 경 철학, 유교, 불교 생명존중사상, 도가사상)
금오신화(金鰲新話) 연구 - 생애와 사상(유교, 불교, 도교사상), 만복사저포기(발원, 인연, ...
심청전(沈淸傳) 연구 - 심청전의 줄거리와 불교 사상, 심청전에서 제기되는 인생의 문제 및 ...
[문학교육론] 심청전의 작품 분석(심청의 ‘효’를 중심으로) - 심청전의 작품 소개, 심청전의 ...
[한국문학배경론] 허균의 작품을 통해 본 도교사상
[한국문학배경론]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불교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