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불교계 경기체가인 ‘기우목동가’에 대하여
1. 내용요약
2. 주제
3. 기존연구
4. 감상 및 평가
1. 내용요약
2. 주제
3. 기존연구
4. 감상 및 평가
본문내용
온갖 번뇌와 생사로부터 벗어남은 물론 속세의 모든 중생들도 함께 성불하여 이 땅이 불국토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발원을 세워서 닦는 것이다. 타력왕생은 극락세계에 왕생하여 아미타불의 교화를 받아 성불하거나 왕생하여 미륵보살의 회상에 났다가 미륵보살이 성불할 때에 미륵부처의 설법을 듣고 성불하는 것을 말한다.
이 중에서 기우목동가는 자력왕생설에 속한다. 坪井俊映 著, 韓普光 譯, 淨土敎槪論, 弘法院, p.35.
(불교계 경기체가 중 나머지 넷인 <서방가>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에는 타력왕생의 사상이 드러나 있음) 또한 이 노래는 불교 경전의 용어를 다소 생경하게 쓰긴 했으나 각기 그 창작 의도와 창작 목적에 따라 불경의 내용을 적절히 굴절시켜 경기체가의 율격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서방가>와 <안양찬>을 제외한 불교계 경기체가, 즉 <미타찬> <미타경찬> <기우목동가>는 불교 경전 특히 정토삼부경의 용어를 다소 생경하게 쓰긴 했으나 각기 그 창작 의도와 창작 목적에 따라 불경의 내용을 적절히 굴절시켜 경기체가의 율격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3) 불교계 경기체가의 형성배경
조선 초기의 불교는 건국이념에 따라 숭유억불책이 강화됨으로써 위축된 것만은 사실이나 궁중의 믿음과 그 외호에 힘입어 불교는 민중 신앙으로 면면히 이어졌으며 특히 세종, 세조대에 선초 불교계는 일대 성시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세종, 세조 때에 불교가 궁중의 적극적인 외호와 지원을 받게 되자 이에 편성하여 불교의 포교활동은 더욱 활발히 전개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이와 같이 불교가 적극적인 궁중의 지지를 받던 시기에 포교의 강화수단으로 자연히 나타난 것이 바로 불교계 경기체가라 할 수 있다. 포교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당시 궁중이나 민중들에게 유행하는 시가 형태가 그 수단으로 이용되기 마련인데 조선 초기에는 경기체가가 단연 시가의 주류를 이루었던 만큼 이 시대에 불교계 경기체가가 창작, 향유된 것은 당연한 이치인 것이다.
4. 감상 및 평가
<기우목동가>는 십우도 송을 기본으로 하여 경기체가의 형식으로 노래되어진다. 십우도에서 소는 곧 나이다.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는 글을 발견하고 깨침을 얻었듯이 결국 나는 무엇인가 하는 의구심이 들기 시작했다면 우리는 이미 심우의 단계에 와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누구나 바쁜 일상에서 욕심을 쫓고, 세상적인 것들을
이 중에서 기우목동가는 자력왕생설에 속한다. 坪井俊映 著, 韓普光 譯, 淨土敎槪論, 弘法院, p.35.
(불교계 경기체가 중 나머지 넷인 <서방가>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에는 타력왕생의 사상이 드러나 있음) 또한 이 노래는 불교 경전의 용어를 다소 생경하게 쓰긴 했으나 각기 그 창작 의도와 창작 목적에 따라 불경의 내용을 적절히 굴절시켜 경기체가의 율격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서방가>와 <안양찬>을 제외한 불교계 경기체가, 즉 <미타찬> <미타경찬> <기우목동가>는 불교 경전 특히 정토삼부경의 용어를 다소 생경하게 쓰긴 했으나 각기 그 창작 의도와 창작 목적에 따라 불경의 내용을 적절히 굴절시켜 경기체가의 율격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3) 불교계 경기체가의 형성배경
조선 초기의 불교는 건국이념에 따라 숭유억불책이 강화됨으로써 위축된 것만은 사실이나 궁중의 믿음과 그 외호에 힘입어 불교는 민중 신앙으로 면면히 이어졌으며 특히 세종, 세조대에 선초 불교계는 일대 성시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세종, 세조 때에 불교가 궁중의 적극적인 외호와 지원을 받게 되자 이에 편성하여 불교의 포교활동은 더욱 활발히 전개되었으리라 짐작된다.
이와 같이 불교가 적극적인 궁중의 지지를 받던 시기에 포교의 강화수단으로 자연히 나타난 것이 바로 불교계 경기체가라 할 수 있다. 포교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당시 궁중이나 민중들에게 유행하는 시가 형태가 그 수단으로 이용되기 마련인데 조선 초기에는 경기체가가 단연 시가의 주류를 이루었던 만큼 이 시대에 불교계 경기체가가 창작, 향유된 것은 당연한 이치인 것이다.
4. 감상 및 평가
<기우목동가>는 십우도 송을 기본으로 하여 경기체가의 형식으로 노래되어진다. 십우도에서 소는 곧 나이다.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는 글을 발견하고 깨침을 얻었듯이 결국 나는 무엇인가 하는 의구심이 들기 시작했다면 우리는 이미 심우의 단계에 와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누구나 바쁜 일상에서 욕심을 쫓고, 세상적인 것들을
추천자료
애플(apple)의 소개, 해외투자, 중점목표 A+작품 -May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A+] 경영통제, Management control - 경영통제의 기초방법, 효율적 경영통제시스템, 계획과 ...
슈퍼스타K시즌4,슈퍼스타K4,슈퍼스타K마케팅전략,맞춤형서비스사례,서바이벌오디션프로그램,...
슈퍼스타K4,슈퍼스타마케팅전략,오디션프로그램,슈퍼스타시즌4,노래오디션.PPT자료
원전-르네상스시대의 대위기
닌텐도DS 마케팅전략분석과 닌텐도 기업분석 및 닌텐도DS 성공법칙 및 향후전략
닌텐도DS(Nintendo DS) 마케팅 4P,STP전략분석과 마케팅 성공전략분석 및 닌텐도DS의 성공법...
의료관광 - 한국의 의료관광은?.pptx
시민사회와 NGO - 멸종위기 동물, NGO 그리고 정부 (쓰촨 자이언트판다 보호 구역, 수원환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