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Ⅰ. 서론
1. 아르튀르 랭보(Arthur Rimbaud)의 생애··················· 1
2. 조르주 이장바르와 폴 베를렌······················· 6
1)조르주 이장바르(Georges Izambard)
2)폴 베를렌(Paul Verlaine)
Ⅱ. 본 문
1. 아르튀르 랭보의 시론··························· 9
2. 아르튀르 랭보의 추천 시························· 12
1) 감각(Sensation)
2) 모음들(Voyelles)
3) 취한 배(Le Bateau ivre)
4) 헛소리 2. 언어의 연금술(DÉLIRES II. ALCHIMIE DU VERBE)
5) 대홍수 이후(Aprés le Déluge)
6) 새벽(Aube)
7) 곶(Promontoire)
3. 추천 시에 대하여– 서로 맞닿아 있는 시·················· 41
1) 감각(Sensation)과 새벽(Aube)
2) 모음들(Voyelles)과 취한 배(Le Bateau ivre)와 그리고
헛소리 2. 언어의 연금술(DÉLIRES II. ALCHIMIE DU VERBE)
3) 대홍수 이후(Aprés le Déluge)와 곶(Promontoire)
Ⅲ. 맺음말– 시대의 천재적인 반항아 랭보···················· 43
Ⅳ. 참고문헌································· 44
1. 아르튀르 랭보(Arthur Rimbaud)의 생애··················· 1
2. 조르주 이장바르와 폴 베를렌······················· 6
1)조르주 이장바르(Georges Izambard)
2)폴 베를렌(Paul Verlaine)
Ⅱ. 본 문
1. 아르튀르 랭보의 시론··························· 9
2. 아르튀르 랭보의 추천 시························· 12
1) 감각(Sensation)
2) 모음들(Voyelles)
3) 취한 배(Le Bateau ivre)
4) 헛소리 2. 언어의 연금술(DÉLIRES II. ALCHIMIE DU VERBE)
5) 대홍수 이후(Aprés le Déluge)
6) 새벽(Aube)
7) 곶(Promontoire)
3. 추천 시에 대하여– 서로 맞닿아 있는 시·················· 41
1) 감각(Sensation)과 새벽(Aube)
2) 모음들(Voyelles)과 취한 배(Le Bateau ivre)와 그리고
헛소리 2. 언어의 연금술(DÉLIRES II. ALCHIMIE DU VERBE)
3) 대홍수 이후(Aprés le Déluge)와 곶(Promontoire)
Ⅲ. 맺음말– 시대의 천재적인 반항아 랭보···················· 43
Ⅳ. 참고문헌································· 44
본문내용
Verlaine)
Ⅱ. 본 문
1. 아르튀르 랭보의 시론······················································ 9
2. 아르튀르 랭보의 추천 시················································· 12
1) 감각(Sensation)
2) 모음들(Voyelles)
3) 취한 배(Le Bateau ivre)
4) 헛소리 2. 언어의 연금술(DELIRES II. ALCHIMIE DU VERBE)
5) 대홍수 이후(Apres le Deluge)
6) 새벽(Aube)
7) 곶(Promontoire)
3. 추천 시에 대하여 서로 맞닿아 있는 시································ 41
1) 감각(Sensation)과 새벽(Aube)
2) 모음들(Voyelles)과 취한 배(Le Bateau ivre)와 그리고
헛소리 2. 언어의 연금술(DELIRES II. ALCHIMIE DU VERBE)
3) 대홍수 이후(Apres le Deluge)와 곶(Promontoire)
Ⅲ. 맺음말 시대의 천재적인 반항아 랭보······························ 43
Ⅳ. 참고문헌··································································· 44
Ⅰ. 서론
1. 아르튀르 랭보의 생애
1853년 1월 3일 랭보의 아버지인 프레데릭 랭보와 어머니인 비딸리 퀴프가 결혼하여 프랑 스 북구 샤를르빌에 정착함.
1853년 11월 2일 랭보의 형인 쟝 니꼴라 프 레데릭 랭보 태어남.
1854년 10월 20일 벨기에와 룩셈부르크 국 경 근처인 북프랑스 아르덴 지방의 샤를빌(현재 는 샤를빌 메지에르)에서 보병 중대장인 아버지 프레데릭 랭보와 어머니 비딸리 퀴프로부터 미 래의 시인 쟝 니꼴라 아르튀르 랭보 태어남.
1857년 6월 4일(3세) 빅또린느 폴린느 비딸 리가 태어나지만 7월에 사망.
1858년 9월(4세) 쟌느 로잘리 비딸리 랭보 태어남.
1860년 6월 1일(6세) 프레데릭 마리 이자벨 랭보 태어남.
1860년 9월 16일 - 아버지의 빈번한 주둔지 이동과 성격차이로 완전한 별거에 들어감. 이후 어머니는 혼자서 세 아이를 데리고 가정을 이끌어 감. 이로 인해 랭보의 유년 시절부터 아버지의 부재에 대한 그리움과 어머니의 기독교적 엄격함에 대한 반항과 저항이 나타나기 시작. 초기 시에 이러한 경향이 드러남.
1860년 10월 아르튀르 랭보 샤를르빌에 있는 로사 학원에 입학하다. 라틴어 문법, 라틴어 작문, 역사, 고전 암송 등에서 재능을 발휘해 많은 상을 받음.
1862년(8세) 꾸르 도를레앙으로 이사.
1863~1864년(9~10세) - 이 시기의 랭보가 작성한 노트에는 그림이나 작문 그리고 시 작품들이 있음. 이것을 『열 살의 노트(Cahier des dix ans)』라고 하는데 특히 「서문(Prologue)」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음.
1865년 4월(11세)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어머니는 로사 학원의 진보적인 교육방식에 불만을 가지고 랭보와 그의 형을 샤를르빌의 공립학교인 꼴레쥬에 전학시킴. 특히 이 시기에는 라틴어로 된 시들을 쓰기 시작했는데 1868년 5월에는 나폴레옹 3세의 왕자 첫 영성체를 위해 몰래 운문으로 된 편지를 보냄.
1866년~1867년(12세~13세) - 프 랑스어, 그리스어, 라틴어에 재능을 나타냄. 이 당시에는 신앙심이 깊 었다고 함.
1868년 5월(14세) 영성체를 받 은 황태자에게 라틴시를 바침.
1869년 1월(15세) - 라틴어로 된 세 편의 시를 발표. 『두에 아카데 미 공식 회보』에 랭보의 라틴시 숙 제가 실리게 됨.
첫 영성체를 받는 12살의 랭보(1866)
1869년 7월 두에 아카데미 콩쿠르에서 라틴시를 지어 수상하다. 이 시는 『두에 아카데미 공식 회보』에 실림.
1870년 1월(16세) - 랭보의 생애에 의미 있는 해. 1월에 전년도에 쓴 프랑스어로 된 랭보의 첫 시 작품 「고아들의 새해 선물」이『모두를 위한 잡지』에 발표됨. 또 수사학 교수인 조르주 이장바르가 부임. 이장바르는 랭보의 재능을 인정하고 위고, 방빌 등 작품들을 빌려줌. 이후 랭보의 시적 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스승이자 친구로 지내게 됨.
1870년 5월 24일 파르나스파의 거장인 시인 테오르드 드 방빌에게 「사도신경」,「감각」(당시에는 제목이 없었음), 「오필리아」, 「일체의 믿음(Credo in unam)」, 「태양과 육체(Soleil et chair)」등을 보내 잡지『파르나스』에 게재를 의뢰하였으나 방빌의 거부로 뜻을 이루지 못함.
1870년 7월 프랑스와 독일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자 이장바르가 두에로 떠남.
1870년 8월 29일 파리로 첫 번째 가출을 함. 벨기에를 거쳐 파리로 가다가 기차삯 부족으로 체포되어 마자스에 수감. 9월 초 이장바르의 도움으로 풀려나 스승의 친척집에 머무는데 이때 스승 친구인 시인 폴 드메니를 알게 되고 고향으로 돌아갈 때 그에게 이전에 쓴 시를 맡김.
1870년 9월 5일 이장바르에게 편지를 써 도움을 청함
1870년 9월 8일 이장바르의 도움으로 석방되어 두에로 감. 두에에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시를 쓰며 지냄.
1870년 10월 7일 - 두 번째 가출. 걸어서 샤를르르와 브뤼셀 등을 돌아보고 다시 두에로 감. 그동안 쓴 22편의 시를 다시 정리해 드메니에게 주는데 이 시들이 일명 『드메니 모음집(Recueil Demeny)』 또는 『두에 노트(Cahiers de Douai)』임. 11월에 어머니의 요구로 경찰에 의해 고향으로 돌아온 랭보는 전쟁으로 학교가 문을 닫자 도서관 출입과 친구인 들라에와의 산책으로 시간을 보냄. 12월에 장 보드리라는 가명으로 잡지사에 작품을 보내지만 작지사의 사정으로 발표되지 않음.
1871년 1월(17세) - 독일군이 샤를르빌 메지에르를 점령.
1871년 2월 세 번째 가출. 파리를 돌아보고 고향까지 걸어서 돌아옴. 도서관에서 티에르, 미슐레, 피루동 등의 책을 읽으며 지냄.
1871년 3월 18일 파리코
Ⅱ. 본 문
1. 아르튀르 랭보의 시론······················································ 9
2. 아르튀르 랭보의 추천 시················································· 12
1) 감각(Sensation)
2) 모음들(Voyelles)
3) 취한 배(Le Bateau ivre)
4) 헛소리 2. 언어의 연금술(DELIRES II. ALCHIMIE DU VERBE)
5) 대홍수 이후(Apres le Deluge)
6) 새벽(Aube)
7) 곶(Promontoire)
3. 추천 시에 대하여 서로 맞닿아 있는 시································ 41
1) 감각(Sensation)과 새벽(Aube)
2) 모음들(Voyelles)과 취한 배(Le Bateau ivre)와 그리고
헛소리 2. 언어의 연금술(DELIRES II. ALCHIMIE DU VERBE)
3) 대홍수 이후(Apres le Deluge)와 곶(Promontoire)
Ⅲ. 맺음말 시대의 천재적인 반항아 랭보······························ 43
Ⅳ. 참고문헌··································································· 44
Ⅰ. 서론
1. 아르튀르 랭보의 생애
1853년 1월 3일 랭보의 아버지인 프레데릭 랭보와 어머니인 비딸리 퀴프가 결혼하여 프랑 스 북구 샤를르빌에 정착함.
1853년 11월 2일 랭보의 형인 쟝 니꼴라 프 레데릭 랭보 태어남.
1854년 10월 20일 벨기에와 룩셈부르크 국 경 근처인 북프랑스 아르덴 지방의 샤를빌(현재 는 샤를빌 메지에르)에서 보병 중대장인 아버지 프레데릭 랭보와 어머니 비딸리 퀴프로부터 미 래의 시인 쟝 니꼴라 아르튀르 랭보 태어남.
1857년 6월 4일(3세) 빅또린느 폴린느 비딸 리가 태어나지만 7월에 사망.
1858년 9월(4세) 쟌느 로잘리 비딸리 랭보 태어남.
1860년 6월 1일(6세) 프레데릭 마리 이자벨 랭보 태어남.
1860년 9월 16일 - 아버지의 빈번한 주둔지 이동과 성격차이로 완전한 별거에 들어감. 이후 어머니는 혼자서 세 아이를 데리고 가정을 이끌어 감. 이로 인해 랭보의 유년 시절부터 아버지의 부재에 대한 그리움과 어머니의 기독교적 엄격함에 대한 반항과 저항이 나타나기 시작. 초기 시에 이러한 경향이 드러남.
1860년 10월 아르튀르 랭보 샤를르빌에 있는 로사 학원에 입학하다. 라틴어 문법, 라틴어 작문, 역사, 고전 암송 등에서 재능을 발휘해 많은 상을 받음.
1862년(8세) 꾸르 도를레앙으로 이사.
1863~1864년(9~10세) - 이 시기의 랭보가 작성한 노트에는 그림이나 작문 그리고 시 작품들이 있음. 이것을 『열 살의 노트(Cahier des dix ans)』라고 하는데 특히 「서문(Prologue)」라는 시가 수록되어 있음.
1865년 4월(11세) 독실한 기독교 신자인 어머니는 로사 학원의 진보적인 교육방식에 불만을 가지고 랭보와 그의 형을 샤를르빌의 공립학교인 꼴레쥬에 전학시킴. 특히 이 시기에는 라틴어로 된 시들을 쓰기 시작했는데 1868년 5월에는 나폴레옹 3세의 왕자 첫 영성체를 위해 몰래 운문으로 된 편지를 보냄.
1866년~1867년(12세~13세) - 프 랑스어, 그리스어, 라틴어에 재능을 나타냄. 이 당시에는 신앙심이 깊 었다고 함.
1868년 5월(14세) 영성체를 받 은 황태자에게 라틴시를 바침.
1869년 1월(15세) - 라틴어로 된 세 편의 시를 발표. 『두에 아카데 미 공식 회보』에 랭보의 라틴시 숙 제가 실리게 됨.
첫 영성체를 받는 12살의 랭보(1866)
1869년 7월 두에 아카데미 콩쿠르에서 라틴시를 지어 수상하다. 이 시는 『두에 아카데미 공식 회보』에 실림.
1870년 1월(16세) - 랭보의 생애에 의미 있는 해. 1월에 전년도에 쓴 프랑스어로 된 랭보의 첫 시 작품 「고아들의 새해 선물」이『모두를 위한 잡지』에 발표됨. 또 수사학 교수인 조르주 이장바르가 부임. 이장바르는 랭보의 재능을 인정하고 위고, 방빌 등 작품들을 빌려줌. 이후 랭보의 시적 세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면서 스승이자 친구로 지내게 됨.
1870년 5월 24일 파르나스파의 거장인 시인 테오르드 드 방빌에게 「사도신경」,「감각」(당시에는 제목이 없었음), 「오필리아」, 「일체의 믿음(Credo in unam)」, 「태양과 육체(Soleil et chair)」등을 보내 잡지『파르나스』에 게재를 의뢰하였으나 방빌의 거부로 뜻을 이루지 못함.
1870년 7월 프랑스와 독일 사이에 전쟁이 일어나자 이장바르가 두에로 떠남.
1870년 8월 29일 파리로 첫 번째 가출을 함. 벨기에를 거쳐 파리로 가다가 기차삯 부족으로 체포되어 마자스에 수감. 9월 초 이장바르의 도움으로 풀려나 스승의 친척집에 머무는데 이때 스승 친구인 시인 폴 드메니를 알게 되고 고향으로 돌아갈 때 그에게 이전에 쓴 시를 맡김.
1870년 9월 5일 이장바르에게 편지를 써 도움을 청함
1870년 9월 8일 이장바르의 도움으로 석방되어 두에로 감. 두에에서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시를 쓰며 지냄.
1870년 10월 7일 - 두 번째 가출. 걸어서 샤를르르와 브뤼셀 등을 돌아보고 다시 두에로 감. 그동안 쓴 22편의 시를 다시 정리해 드메니에게 주는데 이 시들이 일명 『드메니 모음집(Recueil Demeny)』 또는 『두에 노트(Cahiers de Douai)』임. 11월에 어머니의 요구로 경찰에 의해 고향으로 돌아온 랭보는 전쟁으로 학교가 문을 닫자 도서관 출입과 친구인 들라에와의 산책으로 시간을 보냄. 12월에 장 보드리라는 가명으로 잡지사에 작품을 보내지만 작지사의 사정으로 발표되지 않음.
1871년 1월(17세) - 독일군이 샤를르빌 메지에르를 점령.
1871년 2월 세 번째 가출. 파리를 돌아보고 고향까지 걸어서 돌아옴. 도서관에서 티에르, 미슐레, 피루동 등의 책을 읽으며 지냄.
1871년 3월 18일 파리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