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1. 목회적 돌봄
1). 사회적 돌봄
2). 치료적 돌봄
3). 사역적 돌봄
2. 목회적 상담
1). 종교적 접근
2). 관계중심적 접근
3). 의식중심적 접근
3. 목회적 실천
1). 사회적 구심점
2). 정체성
3). 전인적 변화
나가는 글
1. 목회적 돌봄
1). 사회적 돌봄
2). 치료적 돌봄
3). 사역적 돌봄
2. 목회적 상담
1). 종교적 접근
2). 관계중심적 접근
3). 의식중심적 접근
3. 목회적 실천
1). 사회적 구심점
2). 정체성
3). 전인적 변화
나가는 글
본문내용
대하여 예수그리스도의 대한 신앙의 뚜렷한 구원의 경험이 있어야 하고,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어 온전한 상태를 넘어 교재를 이루면서 하나님의 말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자가 되어야 할 것이다.
여러 모양과 위치에서 만나게 되는 내담자들은 갖가지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방종교에서 가지는 신비주의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내적인 갈등을 가질 수 있으며 외적으로는 병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 높은 전문적 지식을 가진 자와 자신의 정체성도 없는 빈약한 자들도 만나게 된다. 이러한 자들에 대한 목회적 사역이 원할 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담자 자신의 뚜렷한 의식이 필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상담의 접근적 여러 방법과 함께 문화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서술하고 있으며, 이방종교에 대한 견해를 말하고 있다. 이럴 때 목회자는 어떤 접근적 방법을 취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하고 있으며, 또 그들에게 기독교적 신앙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어떻게 이끌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필력하고 있는 것이다. 분명 이것에 대한 뚜렷한 답은 하나님만이 아시고 계실 것이며, 구원자 이신 예수님만이 그 답을 주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하나님의 사역의 도구로써 하나님께서 내담자들에 대한 치유의 도구로 사용되어 질 것에 대한 뚜렷한 확신과 신앙의 터 위에 자신이 분명한 하나님의 치유의 손길로 사용되어짐을 믿는 믿음의 정체성을 가질 필요가 반드시 있다. 그러므로 목회적 사역자들은 자신을 계속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통하여 내담자의 문화와 종교 그리고 그들의 가치관을 이해하는 노력이 분명히 필요하다.
. - 끝 -
여러 모양과 위치에서 만나게 되는 내담자들은 갖가지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방종교에서 가지는 신비주의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내적인 갈등을 가질 수 있으며 외적으로는 병에 시달리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 높은 전문적 지식을 가진 자와 자신의 정체성도 없는 빈약한 자들도 만나게 된다. 이러한 자들에 대한 목회적 사역이 원할 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담자 자신의 뚜렷한 의식이 필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상담의 접근적 여러 방법과 함께 문화적 접근에 대한 이해를 서술하고 있으며, 이방종교에 대한 견해를 말하고 있다. 이럴 때 목회자는 어떤 접근적 방법을 취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하고 있으며, 또 그들에게 기독교적 신앙과 하나님과의 관계를 어떻게 이끌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필력하고 있는 것이다. 분명 이것에 대한 뚜렷한 답은 하나님만이 아시고 계실 것이며, 구원자 이신 예수님만이 그 답을 주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하나님의 사역의 도구로써 하나님께서 내담자들에 대한 치유의 도구로 사용되어 질 것에 대한 뚜렷한 확신과 신앙의 터 위에 자신이 분명한 하나님의 치유의 손길로 사용되어짐을 믿는 믿음의 정체성을 가질 필요가 반드시 있다. 그러므로 목회적 사역자들은 자신을 계속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통하여 내담자의 문화와 종교 그리고 그들의 가치관을 이해하는 노력이 분명히 필요하다.
. - 끝 -
추천자료
성경적 목회상담의 필요성 연구
목회상담과 영성 지도의 새로운 전망(리포트)
[목회상담][목회상담 의미][목회상담 발전 과정][목회상담 전망][목회상담 활성화 방안][목회...
[목회상담][목회상담 모델][목회상담 방향]목회상담의 개념, 목회상담의 필요성, 목회상담의 ...
[목회상담][인간관][목회자][성차별]목회상담의 의미, 목회상담의 목적, 목회상담의 원칙, 목...
[목회상담]목회돌봄의 형태 - 부상적 돌봄, 산파적 돌봄, 예언자적 돌범, 상호 돌봄
[목회상담]한국문화와 목회상담 - 문화와 삶, 문화와 상담, 목회상담은 그 자체로 문화 교류
[목회상담]목회상담과 연관한 한국문화의 특성들 - 정(情), 한(恨), 효(孝), 예(禮), 명(命)
[목회상담] 한국 여성주의 목회상담(牧會相談)의 이해 - 한국여성목회상담의 역사, 성서적 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