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개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선정이유


본론
1. 콜버그 이론의 개관
󰊱도덕성 발달 단계의 정의
󰊲도덕 발달단계의 특징
󰊳인지 도덕성 발달 이론
2. 콜버그 이론과 관련된 나의 경험사례
3. 도덕과 교육에의 적용


결론
1. 마무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부방을 나가는 다른 선생님들이 나를 이기적으로 볼 것이다.
4단계
(양심유지)
내가 공부방에 나가지 않더라도 누군가는 나올 것이고 아이들은 공부를 할 것이고 공부방의 규칙은 유지 될 것이다.
시험기간이라고 모든 공부방 선생님들이 수업을 빠져 버린다면 공부방의 여러 규칙이 흐지부지 되어버리고 말 것이다.
5단계
(일반화)
시험기간아 겹친다면 서로간의 의사소통을 통하여 다른 선생님들과 나가는 요일을 바꿈으로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유시간을 통해서 나의 학업이 잘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전체적인 관점에서 볼 때 아이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시험기간이라고 이야기를 하고 빠질 수 있다고 하더라도 내가 직접 가르치는 아이들이 그 시기에 나의 도움을 꼭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본다면 규칙을 바꾸지 않는 것이 좋다.
6단계
(궁극화)
한 개인으로서 나는 내가 원하는 선택을 함으로서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고 이 행복 추구권은 아이들이 교육을 평등하게 받을 수 있는 권리와 마찬가지로 존중 받아야 하는 것이기에 이에 더 큰 가치를 두고 스스로 선택하여 이에 따른다.
누구나 평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기에 시험공부보다 이 권리를 찾아 주는 것이 더 큰 의무임을 깨닫고 이에 더 가치를 두고 스스로 선택하여 이를 따른다.
하인즈가 약을 훔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딜레마에서는 생명존중과 남의 것을 훔치면 안된다는 사이의 딜레마가 팽팽하게 대립하는 느낌인데 공부방의 사례에서는 5,6단계에 가면 괜찮지 않다 쪽이 나에게는 훨씬 더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공부방을 간 목적 그 자체는 5단계를 지향하고 있는 것임을 깨달았기 때문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물론 현실에서의 나는 3단계의 이유로 시험기간에 공부방을 가기도 하고, 4단계의 이유로 공부방을 가기도 한다. 하지만 도덕적으로 무엇을 우선시해야하는지에 대한 도덕판단에 대한 조망능력이 어린 시절 나보다는 성큼 자랐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순간적인 감정에 이끌리기 보다는 이성에 의해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 판단인지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옳은 판단에 대한 책임감도 더 느끼게 되었다는 생각도 든다.
콜버그가 주장하듯 도덕 판단이 곧바로 도덕 행위와 연관지어지지는 않지만, 도덕 판단의 단계가 높으면 높을 수록 이를 행동으로 옮길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높은 단계의 도덕성 수준을 가진 사람은 도덕적 판단에 이 보다 더 나은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깨닫고 있기 때문이고 이 것은 의무를 동반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이 의무에 초점을 맞추어 의무를 적용하는 범위를 확대 시킬 때 사회는 보다 정의로워 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3. 도덕과 교육에의 적용
초등학교 5학년 도덕
1. 정직한 행동
▣제재의 목표: 정직한 행동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평소의 생활을 반성하며 이를 실천하는 태도를 가진다.
▣제재의 구성과 흐름
정직한 행동
정직의 중요성 알기
은진이의 걱정
정직하게 행동하려는 마음 다지기
의사의 위로
민태의 약속
칭찬
정직한 행동 실천하기
모범 사례 알기(선택활동)
마음에 새겨둡시다
수업을 들어 가기 앞서 도덕과 수업을 하기 위하여 우선해야할 몇가지 것들이 있다.
⑴신뢰감을 주는 교실 분위기 형성
⑵인지적 도덕 갈등을 확인하고 명료화하기
⑶도덕적 추론 과정에 초점 맞추기
⑷관점채택을 자극하기
⑸학생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와 같은 것들을 고려해가면서 수업을 진행 하도록 한다.
▣실제 수업 시간에 적용하기
<은진이의 걱정 사례 제시>
은진이는 쉬는 시간에 동수가 우유가 먹기 싫어 우유갑을 창밖으로 떨어뜨리는 장면을 목격한다. 우유갑을 떨어뜨릴 때 마침 교장선생님이 화단을 지나가고 계셨고 동수는 교장선생님과 눈이 마주치고 교실을 빠져나간다. 교장선생님은 교실로 찾아오셔서 우유를 떨어뜨린 학생을 찾으시고 그 때, 담임선생님이 교실로 들어오신다. 동수도 슬며시 뒤를 따라온다. 하지만 동수는 모른 척 하면서 교장선생님의 눈을 피한다. 교장선생님께서 나가시고 난 뒤 담임선생님은 반의 학생들을 타이르신다. 은진이는 마음이 불편해진다. 그리고 나중에 동수에게 우유갑을 던진 일에 대해 넌지시 물어본다. 하지만 동수는 오히려 은진이에게 화를 버럭 내며 자신에게 왜 그런 것을 묻느냐고 이야기한다. 은진이는 오늘 일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고 있지 않으면 자신도 정직하지 못한 사람이 되는 것이기에 마음이 불편하다.
\'은진이의 걱정\'은 아이들이 가깝게 생각하는 \'우정\' 이라는 가치와 \'정직\' 이라는 가치가 대립하는 좋은 딜레마 사례이다. 문제 사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답을 통하여 가치 규범의 중요성을 알아가도록 한다.
교사: 동수는 쉬는 시간에 무엇을 하고 있었나요?
학생: 우유가 먹기 싫어 우유를 밖으로 던졌습니다.
교사: 우유를 던진 동수의 행동은 잘한 행동일까요?
학생: 아니요.
교사: 왜그렇다고 생각합니까?
학생: 선생님께 혼날수도 있는 행동이기 때문입니다.(1단계)
학생: 화단을 청소하는 반 친구가 힘들수도 있기 때문입니다.(3단계)
교사: 그렇군요. 좋은 생각이에요, 또 다른 의견이 있는 친구 있나요? 만약 동수네 반 여러 친구들이 우유를 먹기 싫다고 동수처럼 행동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학생: 우유를 쉬는 시간에 먹고 우유통에 넣는 것은 정해져있는 규칙이에요. 반 친구들끼리 정해놓은 약속이니까 이를 함부러 어겨서는 안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단계)
교사: 그렇지요, 규칙을 바르게 지키는 것은 중요한 것입니다. 이 이야기에서 동수가 잘못한 것은 우유를 던진 것 뿐인가요?
학생: 아니요. 우유를 던지고 교장선생님이 올라오셨을 때 자신이 한 일이 아닌 척 하였습니다.
교사: 동수의 이런 행동을 우리는 어떤 행동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학생: 정직하지 못한 행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사: 그렇습니다. 정직하지 못한 행동이란 동수처럼 자신이 잘못한 행동을 용 그렇다면 은진이는 어떤 일로 걱정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학생: 사실대로 선생님께 이야기한다면 동수가 은진이를 괴롭힐 수도 있기 때문에 은진이가 걱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1단계)
학생: 반 친구들이 은진이를 고자질하는 아이라고 볼 수도 있기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9.01.05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2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