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사회 경제적 접근
3. 서상륜의 선유사 활동에 대하여
4. 70년사, 85년사와의 비교
5. 나가며
2. 사회 경제적 접근
3. 서상륜의 선유사 활동에 대하여
4. 70년사, 85년사와의 비교
5. 나가며
본문내용
과 밖
1. 일제의 멍에가 씌워지던 날
2. 교회의 치리와 신앙의 훈련
3. 서경조의 사직과 언더우드의 서거
Ⅳ. 중흥과 갈등의 20년
(1916-1937)
Ⅰ) 선교사 군예빈목사의 목회
1. 군예빈 목사의 시무 경로
2. 3·1 운동: 선교사와 한국 교회
3. 선교사에 대한 한국 교회의 반발
Ⅱ) 한국인 목사 차재명의 시무와
교회의 중흥
1. 1920년대의 한국과 한국 교회
2. 차재명 목사 목회의 특징
Ⅲ) 경성노회의 분립 문제
1. 문제의 발단
2. 분립의 경과의 그 병행 현상
3. 경성노회의 차재명 목사 제적 처분
4. 서울 시내 교회들과 새문안 교회의
관계-서울 교회들의 신앙 생태
분석
제4장 다듬어 정비해 간 새문안
(1916~1930)
1. 1920년대의 상황과 한국교회
1) 3·1 운동과 한국교회
2) 새문안과 3·1 운동
3) ‘문화정치’의 실상과 일제의
기독교 정책
4) ‘반기독교운동’의 대두와 교회의
입장
2. 언더우드 목사의 소천과 그의 공적
1) 서경조 목사 사임
2) 언더우드 목사 소천
3) 언더우드 목사의 목회상의 특징과
공적
4) 교회의 동요와 쿤스 목사의 부임
3. 차재명 목사의 시무와 교회 행정의
쇄신
1) 차재명 목사의 부임
2) 교회 기구의 정비와 교회연합운동
3) 유치원 개원과 찬양대 창설
4. 1930년대 활발한 전도운동과
여전도회 활동
제3편 교회의 활동시기
(1919-1937)
제5장 교회내의 활동
(1) 3·1 운동과 우리 교회
(2) 차재명 목사의 시무
(3) 주일학교의 조직과 그 활동
(4) 면려회의 조직과 그 활동
(5) 전도회의 조직과 그 활동
(6) 신앙과 실천적 생활
(7) 교회 운영과 재정
제6장 교회외의 활동
(1) 연합 전도 사업
(2) 타교회 타교파와의 관계
(3) 노회와 우리 교회
제4편 교회의 박해시기
(1937-1945)
제7장 한국교회와 일제의 탄압
(1) 태평양 전쟁의 발발
(2) 제1계명의 침범
(3) 제4계명의 침범
(4) 새 교단의 형성
제8장 새문안교회의 수난
(1) 교역자들의 변동
(2) 일제의 교회 간섭
Ⅴ. 십자가 밑에서 형극의
길을 가는 교회 (1938-1945)
Ⅰ) 난시를 대처한 신앙의 강화
1. 교회 목회의 정비
2. 신앙 생활의 쇄신
Ⅱ) 일제의 박해에 시달리는 교회
1. 장로교 총회의 이질화의 위기
2. 우리 교회가 겪은 일제의 박해
Ⅲ) 총회 분열의 두 번째 위기와 새문안 교회
1. 경성노회의 총회 탈퇴와 이에 대한 새문안 교회의 반발
2. 새문안 제직회의 장로 일괄
Ⅳ) 목회자의 변동-일제말의 마지막 시련
1. 차재명 목사 새문안을 떠나다
2. 박화선 목사의 임시 목사 목회
3. 김영주 목사의 취임
제5장 시련과 어두음을 헤쳐간
새문안 (1931~1944)
1. 일제의 박해와 한국교회의 시련
1) 일제의 대륙 침략과 황국신민화
정책
2) ‘신사참배’의 강요와 ‘일본적
기독교’ 획책
3) 한국교회의 수난과 대응
2. 시련과 어둠을 헤쳐간 새문안공동체
1) 1930~1940년대 새문안의 시련
2) 선교사 추방과 언더우드비 철거
3) 시련 속에 위축된 새문안공동체
4) 총회·노회의 분열을 막은 새문안
3. 교회 내분과 목회자의 잦은 이동
1) 차재명 목사 교회 사임
2) 박화선 목사 임시 시무
3) 교회 내 갈등과 박용진 장로 사임
4) 김영주 목사 취임과 교회 정비
제5편 교회의 재건시기
(1945-1957)
제9장 해방과 교회 재건
(1) 해방된 우리나라
(2) 한국교회의 재건
(3) 새문안교회의 재건
(4) 새 교단의 형성
제10장 6·25 사변과 피난시기
(1) 사변과 수난
(2) 1·4 후퇴와 피난교회
(3) 환도와 교회 재건
제11장 오늘의 새문안교회
(1) 새로운 조직
(2) 새로운 활동
(3) 오늘의 교회 현황
제12장 70주년 기념행사
(1) 행사의 준비
(2) 70주년 축하예배
(3) 70주년 기념행사
Ⅵ. 해방과 사변의 와중에서
(1945-1955)
Ⅰ) 해방된 교회의 재건
1. 혼란 속에서 모색한 재건
2. 새문안 교회의 재건
Ⅱ) 6·25 사변을 겪으면서
1. 사변을 겪는 서울의 새문안
교회
2. 부산 피난민들 속에서
Ⅲ) 환도한 교회의 재정비
1. 각기관이 재건과 강화
2. 기독교 장로교의 분립과 우리
교회
3. 강태국, 최화정 목사의 사임
제6장 다시 서는 새문안
(1945~1954)
1. 8·15 해방과 한국교회
1) 8·15 해방과 한국교회
2) 북한교회의 재건과 수난
3) 남한교회의 재건과 분열
2. 해방 직후 새문안의 재건과 교회
일꾼들
1) 해방 직후 새문안의 변화와
김영주 목사의 활약
2) 광복과 함께 교회를 다시 찾아
봉사한 ‘일꾼들’
3) 성전 증축과 활발한 청년회 활동
3. 6·25 전쟁과 새문안의 새련
1) 한국교회의 피해상황과 전쟁의 영향
2) 새문안의 수난과 ‘부산피난교회’
3) 강태국 목사의 부임과 환도 준비
4. 서울 환도와 새문안의 재건
1) 서울 환도와 각 기관의 정비
2) 최화정 목사의 부임
3) 교단 분열과 새문안의 선택
Ⅶ. 대발전기의 새문안 교회
(1956-1972)
Ⅰ) 교회 대발전의 정지
1. 강신명 목사의 목회 시작
2. 70주년을 맞는 역사적 교회
Ⅱ) 통합 합동파의 분열 속에 선
새문안 교회
1. 분열의 명분과 내력
2. 새문안 교회의 통합장로교 가담
3. 강목사의 사의와 그 주변과 4·19
와 일부 교인의 이탈
Ⅲ) 건설의 행진
1. 눈부신 새 사업들
2. 신앙의 강화와 치리
3. 역사적 교회의 의식
Ⅳ) 오늘의 새문안 교회-자기비판
속에서 개혁해 나가는 주의 교회
제7장 새롭게 발전해 간 새문안
(1955~1970)
1. 강신명 목사의 부임과 새문안 정신의
고양
1) 강신명 목사의 이려고가 청빙 경위
2) 70주년 개념행사와 교회 지도력
확장
3) 교회연합과 일치운동의 구현
2. ‘통합’·‘합동’의 분열과 새문안의 선택
1) 1950~1960년대 정치 사회적
상황과 한국교회
2) ‘통합’·‘합동’ 분열 발단과 경휘
3) 새문안의 ‘통합’측 선택과 그 여파
3. 교회 행정부서의 쇄신과 활발한
위원회 활동
1) 교회 행정부서의 쇄신과 확장
2) 교육위언회의 활동과 ‘언더
1. 일제의 멍에가 씌워지던 날
2. 교회의 치리와 신앙의 훈련
3. 서경조의 사직과 언더우드의 서거
Ⅳ. 중흥과 갈등의 20년
(1916-1937)
Ⅰ) 선교사 군예빈목사의 목회
1. 군예빈 목사의 시무 경로
2. 3·1 운동: 선교사와 한국 교회
3. 선교사에 대한 한국 교회의 반발
Ⅱ) 한국인 목사 차재명의 시무와
교회의 중흥
1. 1920년대의 한국과 한국 교회
2. 차재명 목사 목회의 특징
Ⅲ) 경성노회의 분립 문제
1. 문제의 발단
2. 분립의 경과의 그 병행 현상
3. 경성노회의 차재명 목사 제적 처분
4. 서울 시내 교회들과 새문안 교회의
관계-서울 교회들의 신앙 생태
분석
제4장 다듬어 정비해 간 새문안
(1916~1930)
1. 1920년대의 상황과 한국교회
1) 3·1 운동과 한국교회
2) 새문안과 3·1 운동
3) ‘문화정치’의 실상과 일제의
기독교 정책
4) ‘반기독교운동’의 대두와 교회의
입장
2. 언더우드 목사의 소천과 그의 공적
1) 서경조 목사 사임
2) 언더우드 목사 소천
3) 언더우드 목사의 목회상의 특징과
공적
4) 교회의 동요와 쿤스 목사의 부임
3. 차재명 목사의 시무와 교회 행정의
쇄신
1) 차재명 목사의 부임
2) 교회 기구의 정비와 교회연합운동
3) 유치원 개원과 찬양대 창설
4. 1930년대 활발한 전도운동과
여전도회 활동
제3편 교회의 활동시기
(1919-1937)
제5장 교회내의 활동
(1) 3·1 운동과 우리 교회
(2) 차재명 목사의 시무
(3) 주일학교의 조직과 그 활동
(4) 면려회의 조직과 그 활동
(5) 전도회의 조직과 그 활동
(6) 신앙과 실천적 생활
(7) 교회 운영과 재정
제6장 교회외의 활동
(1) 연합 전도 사업
(2) 타교회 타교파와의 관계
(3) 노회와 우리 교회
제4편 교회의 박해시기
(1937-1945)
제7장 한국교회와 일제의 탄압
(1) 태평양 전쟁의 발발
(2) 제1계명의 침범
(3) 제4계명의 침범
(4) 새 교단의 형성
제8장 새문안교회의 수난
(1) 교역자들의 변동
(2) 일제의 교회 간섭
Ⅴ. 십자가 밑에서 형극의
길을 가는 교회 (1938-1945)
Ⅰ) 난시를 대처한 신앙의 강화
1. 교회 목회의 정비
2. 신앙 생활의 쇄신
Ⅱ) 일제의 박해에 시달리는 교회
1. 장로교 총회의 이질화의 위기
2. 우리 교회가 겪은 일제의 박해
Ⅲ) 총회 분열의 두 번째 위기와 새문안 교회
1. 경성노회의 총회 탈퇴와 이에 대한 새문안 교회의 반발
2. 새문안 제직회의 장로 일괄
Ⅳ) 목회자의 변동-일제말의 마지막 시련
1. 차재명 목사 새문안을 떠나다
2. 박화선 목사의 임시 목사 목회
3. 김영주 목사의 취임
제5장 시련과 어두음을 헤쳐간
새문안 (1931~1944)
1. 일제의 박해와 한국교회의 시련
1) 일제의 대륙 침략과 황국신민화
정책
2) ‘신사참배’의 강요와 ‘일본적
기독교’ 획책
3) 한국교회의 수난과 대응
2. 시련과 어둠을 헤쳐간 새문안공동체
1) 1930~1940년대 새문안의 시련
2) 선교사 추방과 언더우드비 철거
3) 시련 속에 위축된 새문안공동체
4) 총회·노회의 분열을 막은 새문안
3. 교회 내분과 목회자의 잦은 이동
1) 차재명 목사 교회 사임
2) 박화선 목사 임시 시무
3) 교회 내 갈등과 박용진 장로 사임
4) 김영주 목사 취임과 교회 정비
제5편 교회의 재건시기
(1945-1957)
제9장 해방과 교회 재건
(1) 해방된 우리나라
(2) 한국교회의 재건
(3) 새문안교회의 재건
(4) 새 교단의 형성
제10장 6·25 사변과 피난시기
(1) 사변과 수난
(2) 1·4 후퇴와 피난교회
(3) 환도와 교회 재건
제11장 오늘의 새문안교회
(1) 새로운 조직
(2) 새로운 활동
(3) 오늘의 교회 현황
제12장 70주년 기념행사
(1) 행사의 준비
(2) 70주년 축하예배
(3) 70주년 기념행사
Ⅵ. 해방과 사변의 와중에서
(1945-1955)
Ⅰ) 해방된 교회의 재건
1. 혼란 속에서 모색한 재건
2. 새문안 교회의 재건
Ⅱ) 6·25 사변을 겪으면서
1. 사변을 겪는 서울의 새문안
교회
2. 부산 피난민들 속에서
Ⅲ) 환도한 교회의 재정비
1. 각기관이 재건과 강화
2. 기독교 장로교의 분립과 우리
교회
3. 강태국, 최화정 목사의 사임
제6장 다시 서는 새문안
(1945~1954)
1. 8·15 해방과 한국교회
1) 8·15 해방과 한국교회
2) 북한교회의 재건과 수난
3) 남한교회의 재건과 분열
2. 해방 직후 새문안의 재건과 교회
일꾼들
1) 해방 직후 새문안의 변화와
김영주 목사의 활약
2) 광복과 함께 교회를 다시 찾아
봉사한 ‘일꾼들’
3) 성전 증축과 활발한 청년회 활동
3. 6·25 전쟁과 새문안의 새련
1) 한국교회의 피해상황과 전쟁의 영향
2) 새문안의 수난과 ‘부산피난교회’
3) 강태국 목사의 부임과 환도 준비
4. 서울 환도와 새문안의 재건
1) 서울 환도와 각 기관의 정비
2) 최화정 목사의 부임
3) 교단 분열과 새문안의 선택
Ⅶ. 대발전기의 새문안 교회
(1956-1972)
Ⅰ) 교회 대발전의 정지
1. 강신명 목사의 목회 시작
2. 70주년을 맞는 역사적 교회
Ⅱ) 통합 합동파의 분열 속에 선
새문안 교회
1. 분열의 명분과 내력
2. 새문안 교회의 통합장로교 가담
3. 강목사의 사의와 그 주변과 4·19
와 일부 교인의 이탈
Ⅲ) 건설의 행진
1. 눈부신 새 사업들
2. 신앙의 강화와 치리
3. 역사적 교회의 의식
Ⅳ) 오늘의 새문안 교회-자기비판
속에서 개혁해 나가는 주의 교회
제7장 새롭게 발전해 간 새문안
(1955~1970)
1. 강신명 목사의 부임과 새문안 정신의
고양
1) 강신명 목사의 이려고가 청빙 경위
2) 70주년 개념행사와 교회 지도력
확장
3) 교회연합과 일치운동의 구현
2. ‘통합’·‘합동’의 분열과 새문안의 선택
1) 1950~1960년대 정치 사회적
상황과 한국교회
2) ‘통합’·‘합동’ 분열 발단과 경휘
3) 새문안의 ‘통합’측 선택과 그 여파
3. 교회 행정부서의 쇄신과 활발한
위원회 활동
1) 교회 행정부서의 쇄신과 확장
2) 교육위언회의 활동과 ‘언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