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신문화사적 접근방법
3. 신문화사에서 사료의 문제
4. 신문화사로 개교회사 서술하기
5. 결 론
○ 참고문헌
2. 신문화사적 접근방법
3. 신문화사에서 사료의 문제
4. 신문화사로 개교회사 서술하기
5.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와 삶에 있는 일상사 알프 뤼트케 외, 나종석 외 옮김, 『일상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2002, 15.
라는 점에서 그동안 거시사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사람들에 대한 배려를 하고 있다. 이것은 주로 왕, 영웅, 위대한 지도자 등의 이야기를 다루어왔던 기존의 거시사의 편향성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한 것이라 할 수 있기에 거시사와 마찬가지로 특정 집단에 대한 편향성을 갖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제적으로 특정 집단에 대한 편향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가 간과했던 부분인 일상사, 미시사 등을 역사학의 주체로 가져온 것은 큰 공헌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개교회사를 쓸 때도 제왕적 목사중심, 기득권 중심이 아닌 일반 신자의 삶을 개교회사의 중심에 옮겨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신문화사 접근방법은 미시적이고 일상적인 하층민의 생활을 교회사 및 개교회사에서 생생하게 복원시킴으로써 진정한 ‘아래로부터의 역사’로 나아가는데 일조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개교회사를 집필할 때, 신문화사적 접근방법을 접목시켜 봄이 어떨까?......
○ 참고문헌
조한욱,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책세상, 2000
알프 뤼트케 외, 나종석 외 옮김, 『일상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2002
서의식, “포스트모던시대 한국사 인식과 교육의 방향”,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2
김기봉 외,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2
클리포드 기어츠, 문옥표 옮김, 『문화의 해석』, 까치, 1998
김동진, “내러티브적 역사서술의 흐름”, 『국사 내러티브 수업자료』, 교육부전국단위 교과연구회
보고자료, 2003
곽차섭,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0
조한욱, “미시사의 이론과 실제”, 『한국사론32; 지역사 연구의 이론과 실제』, 국사편찬위원회, 2001
최현정, 『미시사의 방법론과 그 가능성』,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차용구, “서양 중세사 학계의 최근 연구 동향-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 중세사 연구』, 한국중세사학회, 2005
안병직, “일상의 역사란 무엇인가?”, 『오늘의 역사학』, 서울:한겨레신문사, 1998
윤선자, “일제시대 가정주부들의 일상문화 연구를 위한 방법론 고찰:신문화사”, 『비교문화연구』,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2
라는 점에서 그동안 거시사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던 사람들에 대한 배려를 하고 있다. 이것은 주로 왕, 영웅, 위대한 지도자 등의 이야기를 다루어왔던 기존의 거시사의 편향성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한 것이라 할 수 있기에 거시사와 마찬가지로 특정 집단에 대한 편향성을 갖고 있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실제적으로 특정 집단에 대한 편향성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정적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가 간과했던 부분인 일상사, 미시사 등을 역사학의 주체로 가져온 것은 큰 공헌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개교회사를 쓸 때도 제왕적 목사중심, 기득권 중심이 아닌 일반 신자의 삶을 개교회사의 중심에 옮겨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신문화사 접근방법은 미시적이고 일상적인 하층민의 생활을 교회사 및 개교회사에서 생생하게 복원시킴으로써 진정한 ‘아래로부터의 역사’로 나아가는데 일조할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개교회사를 집필할 때, 신문화사적 접근방법을 접목시켜 봄이 어떨까?......
○ 참고문헌
조한욱,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책세상, 2000
알프 뤼트케 외, 나종석 외 옮김, 『일상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2002
서의식, “포스트모던시대 한국사 인식과 교육의 방향”,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2
김기봉 외, 『포스트모더니즘과 역사학』, 푸른역사, 2002
클리포드 기어츠, 문옥표 옮김, 『문화의 해석』, 까치, 1998
김동진, “내러티브적 역사서술의 흐름”, 『국사 내러티브 수업자료』, 교육부전국단위 교과연구회
보고자료, 2003
곽차섭, 『미시사란 무엇인가』, 푸른역사, 2000
조한욱, “미시사의 이론과 실제”, 『한국사론32; 지역사 연구의 이론과 실제』, 국사편찬위원회, 2001
최현정, 『미시사의 방법론과 그 가능성』,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7
차용구, “서양 중세사 학계의 최근 연구 동향-문화사적 전환과 신문화사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 중세사 연구』, 한국중세사학회, 2005
안병직, “일상의 역사란 무엇인가?”, 『오늘의 역사학』, 서울:한겨레신문사, 1998
윤선자, “일제시대 가정주부들의 일상문화 연구를 위한 방법론 고찰:신문화사”, 『비교문화연구』,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