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겨진 차원 (The Hidden Dimension) 요약 및 정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숨겨진 차원 (The Hidden Dimension) 요약 및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머리말
2.커뮤니케이션의 문화
3.동물의 거리 조정
4. 밀집과 동물의 사회적 행동
5.공간지각 : 원격수용기관-눈, 귀, 코
6.공간지각 : 근접 수용기관 - 피부와 근육
 6.1 열공간
 6.2 촉각 공간
7. 시각 공간
 7.1 종합체로서의 시각
 7.2 입체적 시각
8. 지각의 단서로서의 예술
9.공간의 언어
10.공간의 인류학 : 조직화의 모델
11.인간관계의 다양한 거리
 11.1 밀접한 거리
 11.2 개인적 거리
 11.3 사회적 거리
 11.4 공적인 거리
12.문화적 맥락의 프록세믹스 : 독일, 영국, 프랑스
 12.1 독일인
 12.2 영국인
 12.3 프랑스인
13.문화적 맥락의 프록세믹스 : 일본과 아랍세계
 13.1 일본
 13.2 아랍세계
14.도시와 문화
15. 프록세믹스와 인간의 미래
16.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카페와 개방된 장소들을 가능하게 했다.
13.문화적 맥락의 프록세믹스 : 일본과 아랍세계
13.1 일본
① 혼잡에 대한 견해
바닥에 함께 누워 자는 것 - 다정하다고 느끼고 ‘일본 스타일’이라고 말함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 주변에 사람들이 얼씬거려도 개의치 않는 반면,
다른 사람들과 집이나 아파트 담벽을 공유하는 데에는 강력한 거부감을 갖는다.
②일본인의 공간 개념과 마
공간의 형태와 배열을 지각 하는 고유한 단어 - ‘마’
‘마’ - 일본의 모든 공간 경험에 기본적인 구성요소
정원을 조성하는 일본인의 기술은 일본인들이 공간을 지각하는데 시각과 더불어 다른 모든 감각을 동원한다는 사실에 일부 기인한다. 후각, 온도변화, 습도, 빛, 명암, 색체 가 온몸을 감각 기관으로 사용하도록 고양시키는 식으로 한데 작용 한다.
공간을 연구해 보면 스스로 무언가를 발견할 수 있는 지점으로 개개인을 이끄는 그들의 습관이 잘 나타나 있다.
13.2 아랍세계
① 공공장소에서의 행동
공공장소에서 밀고 제치는 것이 중동문화의 특징이다.
억센 사람들만이 극장 맨 뒷줄에 앉는데, 서 있는 사람들이 자리를 차지하려고 밀쳐 대서 대부분이 그 성가심을 못 견디고 자리를 포기하는 일이 다반 이다.
움직이고 있는 공간에 누군가 끼어드는 것은 권리의 침범이다.
②프라이버시의 개념
프라이버시라는 말 자체가 없기 때문에 아랍인들은 혼자 있기 위해 다른 수단을 이용한다.
혼자 있을 수 있는 길은 바로 입을 다무는 것이다. 입을 다무는 행위가 무언가 잘못되었다거나 위축되었다거나 하는 표시가 아니라 자시만의 생각에 잠겨 방해 받고 싶지 않다는 표시다.
③아랍인의 개인적 거리
후각 - 생활에 현저한 위치 차지
대화 시-상대방에 대고 숨을 내뿜는다.
좋은 냄새는 기분 좋은 것이며 서로관계를 맺는 한 방법이다.
친구의 냄새를 맡는 행위 -기분 좋고 바람직한 일
숨결을 보내지 않는 행위 - 수치심을 느낄 때의 행동
냄새와 성격이 연관성이 있다고 생각 한다.
14.도시와 문화
①심리학과 건축
도시를 계획하고 마을과 주택을 설계 하는데 핵심요소 - 규모
도시의 규모 는 각 민족 집단의 규모와 조화를 이루어야한다.
②병리학과 과밀
주거 단위 1인당 차지하는 면적의 수치를 이용하여 과밀측정
1인당 8~10제곱미터 미만 일 경우 사회적육체적 병리현상이 배가 된다.
즉 질병, 범죄와 과밀은 연관되어 있다.
사람들이 감각적으로 서로 연루되어 있는 정도나 시간을 사용하는 방법은 과밀이 되는 한계점뿐 아니라 과밀을 해소하는 방법까지 결정 한다.
밀접하게 연루되어 있는 민족은 그렇지 않은 민족보다 인구밀도가 높아야 하며 외부인으로부터의 보호와 방어가 요구된다.
③자동차증후군
자동차-인간이 만들어낸 최고의 공적개인적 공간 소비품
차는 사람들이 만날 만한 공간마저 차지해버리고 공원, 보도 등 모든 곳을 점유한다.
결국 사람들이 더 이상 걷고 싶어 하지 않고 걷고 싶은 사람들도 걸을만한 장소를 찾을 수 없다. 자동차는 외부환경뿐 아니라 다른 인간과의 접촉까지 차단한다. 자동차를 통해 극히 제한적인 상호작용, 그것도 경제적이고 공격적이며 파괴적인 유형만 가능해진다.
사람들과의 관계와 자연과 친밀도를 높이기 위해선 자동차가 야기하는 문제를 모색해야 된다.
15. 프록세믹스와 인간의 미래
인간이 존재하고 행동하는 모든 것들이 사실상 공간의 경험과 연관 되어 있다.
우리는 문화를 연구함으로써 지각세계의 패턴화가 문화의 기능뿐 아니라 인간관계, 행동, 정서의 기능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렇기에 문화가 다른 사람끼리 만나서 상대방의 행동을 해석할 경우 서로의 인간관계, 행동, 정서를 오해하기 쉽고 의사소통이 왜곡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화를 프록세믹스적 감각으로 연구한다는 것은 사람들이 다른 행동, 관계 배경과 맥락에 처하여 정서적 상태가 달라질 때 각자의 감각기관을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① 요구되는 답변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대규모의 조직적인 연구에 서명하고 참여해야 한다.
생물체 중에 환경 없이 존재 하거나 예외적으로 만들어낸 환경에만 존재 할 수 있는 종이 없다. 모든 구성원은 생존을 위해 생태계의 다른 구성원과 환경에 적응하지 않으면 안 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 - 흥분과 이상이며 이는 사물보다는 사람 , 내용 보다는 구조에, 삶을 벗어나서가 아닌 적극 참여함으로써 보다 쉽게 발견된다.
②문화를 벗어나랴
인간이 제아무리 애써도 자신의 문화에서 벗어날 수 없다. 왜냐하면 문화는 인간 신경조직의 뿌리에 침투되어 인간이 세계를 지각하는 방식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문화는 인간존재의 씨실, 날실로 이루면서 숨겨져 있고 자유의지에 의한 조절이 벗어난다.
문화의 작은 단편들이 의식 상태에 떠오른다 해도 이를 변화시키기가 힘들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문화를 매개로 하지 않고는 의미 있는 어떤 방식으로도 행동하거나 상호작용 할 수 없기 때문이다.
16.맺음말
인간이란 자신의 연장물들을 계발하고 정교화 시켜 신속하게 대체시킴으로써 자연을 지배하는 수준까지 이른 유기체로 보는 게 합당하다. 다시 말해서 인간은 하나의 새로운 차원,
즉 문화적 차원을 창조해왔고 인간과 문화적 차원의 관계는 인간과 그의 환경이 서로를 만들어내는데 참여하는 관계이다.
인간이 처한 상황에 대한 우리의 안목을 수정하고 확장해야 할 필요성, 타인에 대해서만 아니라 우리 자신에 대해 서로 보다 포용력 있고 현실적일 필요성이 크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활자화되고 언표 되는 커뮤니케이션 못지않게 무언중에 주고받는 커뮤니케이션을 수월히 읽어내는 법을 익혀야 될 것이다. 그렇게 하지 않고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른 민족과의 접촉이 늘어나면 그러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이때 그들을 이해할 길이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Hall, E.T.:The Hidden Dimension, Doubleday & Company, Inc., Garden City, N.Y., 1966.
Birdkeley, George, A New Theory of vision and other writing New York : E. P.Dutton, 1922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9.01.14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