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잔여적 개념
2.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제도적(보편적) 개념
3.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필요한 서비스 관점 - 제도적(보편적) 개념
1) 평등한 기본적 권리
2) 불평등 관점
3) 사회적 연대와 공공선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잔여적 개념
2.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제도적(보편적) 개념
3.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필요한 서비스 관점 - 제도적(보편적) 개념
1) 평등한 기본적 권리
2) 불평등 관점
3) 사회적 연대와 공공선
4.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이 두 개념을 결합시키는 사회복지를 발전시키려고 노력해 왔으며, 현재에도 중간노선을 걷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근 사회복지의 개념이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지금까지의 사회복지는 근대 시민사회의 자조원칙을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가족이나 사적인 시장의 붕괴나 부조화를 보충하는 제도로서 발전해 왔던 것이 사실이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의 주체는 주로 정부여야 했고, 국가는 최저한도의 국민생활을 보장했으며, 완전고용의 실현을 위한 경제성장 정책이 복지정책의 중심축을 이루어왔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사회복지의 개념은 변화되고 있다. 복지국가보다는 복지사회, 혹은 다원적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방식과 보다 자유롭고 선택적인 삶의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의 개성적이고 다양화된 삶의 가치에 의해서 자유롭게 선택적인 삶의 방식이 실현될 수 있는 복지체계의 재편성을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는 특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사회의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인간적인 생활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 등과 같은 새로운 방향을 추구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복지시스템을 확보하고 발전시키려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잔여적 개념과 제도적(보편적) 개념의 어느 관점으로 서비스가 행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지를 이유와 함께 논의해 보았다. 로만신(Romanyshyn)은 사회복지의 개념을 복합적 개념으로서 적극적 의미와 한정적인 의미를 공히 내포하고 있다고 본다. 즉, 한정적으로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재정적 원조나 서비스를 의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민의 보편적 욕구에 대한 공동적 책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어서 그는 사회복지는 사회문제의 조치와 예방, 인적 자원의 개발, 생활의 질적 향상 등에 일차적으로 또는 직접적 관심을 갖는 복지서비스나 과정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사회복지는 개인과 전체로서의 사회의 복리를 공히 증진시키는 일에 사회제도의 강화나 수정에 대한 노력은 물론 개인이나 가족의 서비스를 포괄한다고 주장한다.
참고문헌
김만두. 한혜경. 『현대사회복지개론』. 홍익제, 2000.
양옥경 외 지음.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2002.
박광준, 2013.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양서원.
신광영, 2016, “한국의 불평등과 기회 불평등”, 한국사회학회.
그러나 최근 들어 사회복지의 개념은 변화되고 있다. 복지국가보다는 복지사회, 혹은 다원적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방식과 보다 자유롭고 선택적인 삶의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의 개성적이고 다양화된 삶의 가치에 의해서 자유롭게 선택적인 삶의 방식이 실현될 수 있는 복지체계의 재편성을 필요로 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사회복지는 특정한 사람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사회의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인간적인 생활의 가치를 실현하는 것 등과 같은 새로운 방향을 추구하면서 이에 대응하는 복지시스템을 확보하고 발전시키려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잔여적 개념과 제도적(보편적) 개념의 어느 관점으로 서비스가 행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지를 이유와 함께 논의해 보았다. 로만신(Romanyshyn)은 사회복지의 개념을 복합적 개념으로서 적극적 의미와 한정적인 의미를 공히 내포하고 있다고 본다. 즉, 한정적으로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재정적 원조나 서비스를 의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국민의 보편적 욕구에 대한 공동적 책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어서 그는 사회복지는 사회문제의 조치와 예방, 인적 자원의 개발, 생활의 질적 향상 등에 일차적으로 또는 직접적 관심을 갖는 복지서비스나 과정을 포함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사회복지는 개인과 전체로서의 사회의 복리를 공히 증진시키는 일에 사회제도의 강화나 수정에 대한 노력은 물론 개인이나 가족의 서비스를 포괄한다고 주장한다.
참고문헌
김만두. 한혜경. 『현대사회복지개론』. 홍익제, 2000.
양옥경 외 지음. 『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2002.
박광준, 2013.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 양서원.
신광영, 2016, “한국의 불평등과 기회 불평등”, 한국사회학회.
추천자료
사회복지를 보는 시각인 잔여적관점과 제도적관점을 비교분석하시오
사회복지의 잔여적 개념과 제도적 개념의 비교 및 분석
Wilensky와 Lebeaux가 제기한 잔여적 복지와 제도적 복지에 대해 설명하고 잔여적 복지에서 ...
제도적 사회복지와 잔여적 사회복지의 개념을 비교 정리하고 우리나라는 어느 복지개념에 해...
아동복지의 급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중 어느 원칙에 입각...
아동복지의 급여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보편성과 선별성의 원칙 중 어느 원칙에 입각...
보편적 복지와 잔여적(선별적)복지의 장단점을 기술하시고, 본인의 생각은 앞으로 어떤 복지...
사회복지정책론)잔여적(선별적) 복지제도와 제도적(보편적) 복지제도를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
[사회복지의 의의] 사회복지를 보는 관점 - 사회복지의 미시적-거시적 관점 잔여적 복지와 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