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집단놀이치료(치료놀이)
I. 놀이치료의 원리 및 요소
1. 구조
2. 개입하기
3. 양육하기
4. 도전
5. 즐거움
II. 집단놀이치료
1. 집단치료놀이
2. 집단치료놀이의 구성
1) 집단치료놀이 환경
(1) 장소
(2) 도구
(3) 세션의 길이
2) 집단치료놀이 규칙
(1) 상처 주지 않기
(2) 다 함께하기
(3) 재미있게 지내기
(4) 성인이 책임지기
3) 문제 유형별 집단치료놀이
III. 집단놀이치료 활동의 실제
1. 손도장 찍기
2. 이불 썰매
3. 터널 통과하기
4. 안마하기
5. 신문지 펀치
6. 방석 썰매
7. 미라 되어보기
* 참고문헌
I. 놀이치료의 원리 및 요소
1. 구조
2. 개입하기
3. 양육하기
4. 도전
5. 즐거움
II. 집단놀이치료
1. 집단치료놀이
2. 집단치료놀이의 구성
1) 집단치료놀이 환경
(1) 장소
(2) 도구
(3) 세션의 길이
2) 집단치료놀이 규칙
(1) 상처 주지 않기
(2) 다 함께하기
(3) 재미있게 지내기
(4) 성인이 책임지기
3) 문제 유형별 집단치료놀이
III. 집단놀이치료 활동의 실제
1. 손도장 찍기
2. 이불 썰매
3. 터널 통과하기
4. 안마하기
5. 신문지 펀치
6. 방석 썰매
7. 미라 되어보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성인이 책임지기
성인이 책임감을 가지고 집단을 이끌고 세션을 이끌어 나간다는 것에 대해 아동들은 자신들의 세상에 대해 안정감을 갖게 되며, 아동들 스스로가 안전에 대한 의식을 갖게 된다. 또한 아동들은 자신이 요청을 했건 하지 않았건 상관없이 성인이 자신을 위해서 진심으로 보살펴 준다는 것을 배운다. 책임을 지고 있는 성인은 활동을 소개하며 집단을 안정시키고 확고하게 이끌어 나가야 한다. 아동들은 성인들에게 안도감과 신뢰를 갖게 되며 집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3) 문제 유형별 집단치료놀이
집단치료놀이는 개별치료 놀이에서처럼 구조, 도전, 개입, 양육활동들을 대상에 따라 적절하고 융통성 있게 적용한다. 이러한 재미, 보살핌, 수용과 격려의 분위기 속에서 유아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상을 구축할 뿐 아니라 학인과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루빈과 트리게이(1989)는 유아들의 문제 유형과 각 유아에게 적절하게 그들의 욕구를 자연스럽게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III. 집단놀이치료 활동의 실제
1) 손도장 찍기
* 차원 : 개입, 양육
* 활동목표 :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 긴장감을 완화하고 감각적 경험을 통해 상호 친밀감을 증진할 수 있다.
* 준비물 : 로션, 물감, 팔레트, A4용지, 물티슈, 물대야, 걸레
* 활동방법 : 1) 로션을 팔레트에 다섯 개 정도 따로 짜둔 뒤, 그 위에 아동이 좋아하는 물감을 다섯 개 정도 고르게 한 것을 판다.
2) 성인은 아이가 손바닥을 펴게 한 후에 물감과 로션을 섞은 것을 발라 준다.
3) A4용지에 손도장을 책고 부드럽고 편안하게 눌러 준 후에 손도장 적힌 것을 보게 한다.
4) 아동의 손을 물에 씻어 준다.
2) 이불 썰매
* 차원 : 양육, 개입
* 치료목표 : 신체 접촉을 통해서 친밀감을 증진시키고 양육에 대한 욕구를 다루어 준다.
* 준비물 : 담요
* 활동방법 : 1) 큰 담요 한 장을 바닥에 놓아두고 순서를 정하여 3-4명의 아동을 담요 위에 눕힌다.
2) 나머지 아동은 담요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담자의 다양한 지시(속도, 방향 등 설정)에 따라 담요를 천천히 또는 빠르게 끌어당긴다.
3) 담요에 함께 있는 아동들은 서로 담요 밖의 얼음(물)속에 빠지지 않으려고 서로 부둥켜 안는다.
그림. 이불썰매 놀이
3) 터널 통과하기
* 차원 : 개입, 구조
* 활동목표 : 활동에 대한 즐거움을 경험하고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 서로 친밀감을 증진시키고 협동심과 신체순발력을 기를 수 있다.
* 준비물 : 없음
* 활동방법 : 1) 두 명의 아동을 정하고 나머지 아동들은 서로의 허리를 잡아 한 줄로 선다.
2) 정해진 두 명의 아동은 서로 양손을 맞잡고 위로 올려 터널을 만든다.
3) 다 같이 '동대문을 열어라' 노래를 부르며 터널 밑을 통과하다가, 노래가 끝나는 동시에 터널이 된 두 사람은 터널 문을 닫는다.
4) 문 사이에 갇힌 아동은 다시 터널 역할을 맡게 된다.
4) 안마하기
* 차원 : 양육, 구조
* 활동목표 : 상호 신체적 접촉을 통해 친밀감을 느끼고 양육적인 경험을 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으며 신체조절능력을 키울 수 있다.
* 준비물 : 없음
* 활동방법 : 1) 모두 둥글게 앉아서 앞사람의 등에 안마하듯이 앉아서 어깨, 등을 주물러 준다.
2) 상담자가 '가랑비' 라고 말을 하면 손가락으로 토닥토닥 하듯이 가볍게 앞사람의 등을 두드려 주기 '태풍' 이라고 하면 뒷사람은 양 손바닥으로 8곡선을 그리듯이 손바닥을 흘려내리며 안마한다. '태양'이라고 하면 뒷사람은 두 손바닥을 가볍게 앞사
람의 태양이 비치듯이 앞사람의 등을 눌러 준다.
3) 다음은 반대로 방향을 바꿔서 활동을 반복한다.
그림. 안마하기
5) 신문지 펀치
* 차원 : 도전, 구조
* 활동목표 :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감정을 해소할 수 있고 신문지 장수를 늘려나감으로써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한다.
* 준비물 : 다양한 크기의 신문지 여러 장
* 활동방법 : 1) 치료사와 보조치료사(부모, 아동)가 신문지를 양쪽으로 잡아 펼쳐 들고 다른 아이는 신문지의 가운데를 주먹으로 쳐서 뚫는다.
2) 점점 장수를 늘려가며 신문지 펀치를 한다.
* 주의 : 신문지를 잡는 아동이 다치지 않도록 상담자는 신문지 쥐는 방법을 알려 주고 시범을 보여 주는 것이 좋다.
6) 방석 썰매
* 차원 : 개입, 구조, 도전
* 치료목표 : 방석에 앉아서 앞사람의 허리를 잡으며 친밀감을 경험하고, 자기 신체 조절을 통해 협동심과 유능감을 맛볼 수 있다.
* 준비물 : 방석 여러 개
* 활동방법 : 1) 두 팀으로 나눠서 출발선에 모두 같이 앉는다.
2) 모두 방석에 않아서 앞사람의 허리를 잡는다.
3) 상담자가 '출발'이라고 말을 하면 앞사람의 허리를 놓지 않고 엉덩이와 양발에 힘을 주어서 모두 함께 앞으로 이동한다.
그림. 방석 썰매
7) 미라 되어 보기
* 차원 : 도전, 양육
* 치료목표 : 휴지를 감으며 가볍게 터치하는 양육적인 경험을 통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고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감정을 해소한다.
* 준비물 : 두루마리 화장지, 전신거울
* 활동방법 : 1) 짝을 지어 팀을 나눈다.
2) 가위바위보를 하여 순번을 정한 뒤 미라가 될 아동에게 원하는 자세로 서고 동상처럼 움직이지 많게 한다.
3) 나머지 아동은 두루마리 화장지로 미라가 될 아동을 미라가 될 때까지 빙빙 둘러 감싼다.
4) 미라가 완성되면 미라가 된 아동을 향해 "탈출!"이라고 주문을 외치면 미라가 된 아동이 몸을 활짝 펼치면서 휴지로부터 탈출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성인이 책임감을 가지고 집단을 이끌고 세션을 이끌어 나간다는 것에 대해 아동들은 자신들의 세상에 대해 안정감을 갖게 되며, 아동들 스스로가 안전에 대한 의식을 갖게 된다. 또한 아동들은 자신이 요청을 했건 하지 않았건 상관없이 성인이 자신을 위해서 진심으로 보살펴 준다는 것을 배운다. 책임을 지고 있는 성인은 활동을 소개하며 집단을 안정시키고 확고하게 이끌어 나가야 한다. 아동들은 성인들에게 안도감과 신뢰를 갖게 되며 집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3) 문제 유형별 집단치료놀이
집단치료놀이는 개별치료 놀이에서처럼 구조, 도전, 개입, 양육활동들을 대상에 따라 적절하고 융통성 있게 적용한다. 이러한 재미, 보살핌, 수용과 격려의 분위기 속에서 유아는 자신에 대한 긍정적 상을 구축할 뿐 아니라 학인과의 긍정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루빈과 트리게이(1989)는 유아들의 문제 유형과 각 유아에게 적절하게 그들의 욕구를 자연스럽게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III. 집단놀이치료 활동의 실제
1) 손도장 찍기
* 차원 : 개입, 양육
* 활동목표 :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 긴장감을 완화하고 감각적 경험을 통해 상호 친밀감을 증진할 수 있다.
* 준비물 : 로션, 물감, 팔레트, A4용지, 물티슈, 물대야, 걸레
* 활동방법 : 1) 로션을 팔레트에 다섯 개 정도 따로 짜둔 뒤, 그 위에 아동이 좋아하는 물감을 다섯 개 정도 고르게 한 것을 판다.
2) 성인은 아이가 손바닥을 펴게 한 후에 물감과 로션을 섞은 것을 발라 준다.
3) A4용지에 손도장을 책고 부드럽고 편안하게 눌러 준 후에 손도장 적힌 것을 보게 한다.
4) 아동의 손을 물에 씻어 준다.
2) 이불 썰매
* 차원 : 양육, 개입
* 치료목표 : 신체 접촉을 통해서 친밀감을 증진시키고 양육에 대한 욕구를 다루어 준다.
* 준비물 : 담요
* 활동방법 : 1) 큰 담요 한 장을 바닥에 놓아두고 순서를 정하여 3-4명의 아동을 담요 위에 눕힌다.
2) 나머지 아동은 담요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상담자의 다양한 지시(속도, 방향 등 설정)에 따라 담요를 천천히 또는 빠르게 끌어당긴다.
3) 담요에 함께 있는 아동들은 서로 담요 밖의 얼음(물)속에 빠지지 않으려고 서로 부둥켜 안는다.
그림. 이불썰매 놀이
3) 터널 통과하기
* 차원 : 개입, 구조
* 활동목표 : 활동에 대한 즐거움을 경험하고 신체적인 접촉을 통해 서로 친밀감을 증진시키고 협동심과 신체순발력을 기를 수 있다.
* 준비물 : 없음
* 활동방법 : 1) 두 명의 아동을 정하고 나머지 아동들은 서로의 허리를 잡아 한 줄로 선다.
2) 정해진 두 명의 아동은 서로 양손을 맞잡고 위로 올려 터널을 만든다.
3) 다 같이 '동대문을 열어라' 노래를 부르며 터널 밑을 통과하다가, 노래가 끝나는 동시에 터널이 된 두 사람은 터널 문을 닫는다.
4) 문 사이에 갇힌 아동은 다시 터널 역할을 맡게 된다.
4) 안마하기
* 차원 : 양육, 구조
* 활동목표 : 상호 신체적 접촉을 통해 친밀감을 느끼고 양육적인 경험을 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감을 얻을 수 있으며 신체조절능력을 키울 수 있다.
* 준비물 : 없음
* 활동방법 : 1) 모두 둥글게 앉아서 앞사람의 등에 안마하듯이 앉아서 어깨, 등을 주물러 준다.
2) 상담자가 '가랑비' 라고 말을 하면 손가락으로 토닥토닥 하듯이 가볍게 앞사람의 등을 두드려 주기 '태풍' 이라고 하면 뒷사람은 양 손바닥으로 8곡선을 그리듯이 손바닥을 흘려내리며 안마한다. '태양'이라고 하면 뒷사람은 두 손바닥을 가볍게 앞사
람의 태양이 비치듯이 앞사람의 등을 눌러 준다.
3) 다음은 반대로 방향을 바꿔서 활동을 반복한다.
그림. 안마하기
5) 신문지 펀치
* 차원 : 도전, 구조
* 활동목표 :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감정을 해소할 수 있고 신문지 장수를 늘려나감으로써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한다.
* 준비물 : 다양한 크기의 신문지 여러 장
* 활동방법 : 1) 치료사와 보조치료사(부모, 아동)가 신문지를 양쪽으로 잡아 펼쳐 들고 다른 아이는 신문지의 가운데를 주먹으로 쳐서 뚫는다.
2) 점점 장수를 늘려가며 신문지 펀치를 한다.
* 주의 : 신문지를 잡는 아동이 다치지 않도록 상담자는 신문지 쥐는 방법을 알려 주고 시범을 보여 주는 것이 좋다.
6) 방석 썰매
* 차원 : 개입, 구조, 도전
* 치료목표 : 방석에 앉아서 앞사람의 허리를 잡으며 친밀감을 경험하고, 자기 신체 조절을 통해 협동심과 유능감을 맛볼 수 있다.
* 준비물 : 방석 여러 개
* 활동방법 : 1) 두 팀으로 나눠서 출발선에 모두 같이 앉는다.
2) 모두 방석에 않아서 앞사람의 허리를 잡는다.
3) 상담자가 '출발'이라고 말을 하면 앞사람의 허리를 놓지 않고 엉덩이와 양발에 힘을 주어서 모두 함께 앞으로 이동한다.
그림. 방석 썰매
7) 미라 되어 보기
* 차원 : 도전, 양육
* 치료목표 : 휴지를 감으며 가볍게 터치하는 양육적인 경험을 통해서 정서적인 안정감을 갖고 부정적이고 공격적인 감정을 해소한다.
* 준비물 : 두루마리 화장지, 전신거울
* 활동방법 : 1) 짝을 지어 팀을 나눈다.
2) 가위바위보를 하여 순번을 정한 뒤 미라가 될 아동에게 원하는 자세로 서고 동상처럼 움직이지 많게 한다.
3) 나머지 아동은 두루마리 화장지로 미라가 될 아동을 미라가 될 때까지 빙빙 둘러 감싼다.
4) 미라가 완성되면 미라가 된 아동을 향해 "탈출!"이라고 주문을 외치면 미라가 된 아동이 몸을 활짝 펼치면서 휴지로부터 탈출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