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보건의료정책 (한국과 쿠바의 보건의료정책 비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내외 보건의료정책 (한국과 쿠바의 보건의료정책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rimary health Care: COPHC)와 다른 점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다른 의료 인력들보다는 주로 의사들이었다는 점이다. 의사 인력에 대한 이런 의존성의 결과 쿠바는 모자란 의사 수를 보충하기 위해 가족주치의 배출에 박차를 가했고, 그 결과 2001년에는 인구 1만 명당 의사 수가 58.2명이 되었다(미국은 1만 명당 27.9명, 영국은 16.4명). 혁명 직후 많은 의사들이 쿠바를 떠나서 초기에 의사 수가 부족했음을 감안하면 놀랄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쿠바의 의과대학 교육은 무료이다. 대신 의사들은 농촌지역에서 인턴과정을 수료해야 하며 정부가 지정한 지역에서 진료해야 한다. 의사들의 수입은 한 달에 30~40달러 정도에 해당하며, 오랜 기간 부업이 금지되었다. 정부는 의사들에게 본연의 임무에만 충실하도록 요구한 것이다. 동시에 정부는 의사와 그 가족들에게 물자부족 상황에서도 교육, 의료, 생활설비, 주택 등을 제공하고 어떤 경우에는 순회 진료용 차량과 연료배급표도 지불했다. 다른 주민들과 똑같이 의사들도 배급표로 식품을 구입한다.
3. 쿠바의 일차의료체계 운용
3.1. 지역사회 가정의 제도
쿠바 국민들이 보건의료 서비스를 만나는 1단계는 1984년부터 시작된 가족주치주의이다. ‘기초진료팀’이라 불리는 이 제도는 쿠바 전역의 모든 마을에 가족주치의-간호사 팀을 파견하여 지역사회에서 질병, 사망, 장애를 예방하고 환자들의 상태를 꾸준히 관리하는 등 일차 관리 서비스를 수행한다. 그리고 매년 개개인의 사회적, 심리적 상태와 문제점을 평가하여 <정기 건강위험성 평가서>를 작성한다.
가족주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2.19
  • 저작시기201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