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제장애분류기준 (ICIDH)-2에 의한 장애의 개념(손상, 활동, 참여 등)
2. ICIDH-1에 의한 장애 개념
3. ICIDH-2와ICIDH-1를 비교하여 ICIDH-2가 지니는 의의에 대해 설명
4. ICIDH-2에 근거하여 우리사회의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설명
5. 참고문헌
2. ICIDH-1에 의한 장애 개념
3. ICIDH-2와ICIDH-1를 비교하여 ICIDH-2가 지니는 의의에 대해 설명
4. ICIDH-2에 근거하여 우리사회의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설명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국제장애분류기준 (ICIDH)-2에 의한 장애의 개념(손상, 활동, 참여 등)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997년부터 장애(disablement)의 새로운 개념과 분류기준(ICIDH-2)을 제시하고 있다. 장애는 기본적으로 환경과 개인이라는 상황적 요인을 포함한 장애 개념을 채택하고 있으며, 크게 손상
(impairment), 활동장애(activities), 참여(participation)의 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이 분류의 주요한 특징은 질병이나 손상(1차)을 전제로 기능장애(2차)나 사회적 불리(3차)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적인 관계성 속에서보다 포괄적인 장애를 규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장애의 개념 확대, 환경적 맥락이 더욱 강조, 의도적 따돌림, 사회적 오명 등에 의해 적절한 사회적 관계를 제한 받는 경우에도 참여의 제한이라는 측면에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개별적인 장애의 범위도 지금보다는 훨씬 늘어나게 되며 장애인을 위한 정책도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보다 다양 한 접근을 요하게 된다
활동 및 활동제한의 경우 일상의 과업에서 기대되는 개인의 통합된 활동으로서 단순한 행위의 차원을 넘어 그 이상의 것과 관련 있다.
참여 및 참여제약 : 개인의 참여의 정도, 참여를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사회적 반응을 의미한다.
참여 : 환경과 장애를 가진 사람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규정한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1997년부터 장애(disablement)의 새로운 개념과 분류기준(ICIDH-2)을 제시하고 있다. 장애는 기본적으로 환경과 개인이라는 상황적 요인을 포함한 장애 개념을 채택하고 있으며, 크게 손상
(impairment), 활동장애(activities), 참여(participation)의 장애로 구분하고 있다. 이 분류의 주요한 특징은 질병이나 손상(1차)을 전제로 기능장애(2차)나 사회적 불리(3차)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의 상호적인 관계성 속에서보다 포괄적인 장애를 규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장애의 개념 확대, 환경적 맥락이 더욱 강조, 의도적 따돌림, 사회적 오명 등에 의해 적절한 사회적 관계를 제한 받는 경우에도 참여의 제한이라는 측면에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개별적인 장애의 범위도 지금보다는 훨씬 늘어나게 되며 장애인을 위한 정책도 환경적 요인을 포함한 보다 다양 한 접근을 요하게 된다
활동 및 활동제한의 경우 일상의 과업에서 기대되는 개인의 통합된 활동으로서 단순한 행위의 차원을 넘어 그 이상의 것과 관련 있다.
참여 및 참여제약 : 개인의 참여의 정도, 참여를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사회적 반응을 의미한다.
참여 : 환경과 장애를 가진 사람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규정한다.
추천자료
[사회복지] 외국의 장애범주와 한국과의 비교 차이점
정신지체의 정의, 분류, 특성, 원인과 정신지체아의 사회발달, 정서발달, 사회적 기술 습득 ...
장애아동복지사업에 대한 심층 고찰
장애아동복지서비스 개념, 현황, 문제점
장애인 관련 기사에 대한 비평, 견해
국제장애분류기준(ICIDH)-2에 의한 장애의 개념을 서술하고 ICIDH-1과 비교하여 ICIDH-2가 지...
국제장애분류기준(ICIDH)-2에 의한 장애의 개념을 서술하고 ICIDH-1과 비교하여 ICIDH-2가 지...
[아동발달장애] 아동기 이상행동(아동 정신분열증 조울증 신경증 자폐증 아동 ADHD아동 아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