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토리텔링의 개념 및 정의
2. 스토리(Story:이야기)의 가치
3.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목적
4. 스토리텔링과 플롯 그리고 내러티브의 차이
5.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기술
6.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구성요소
7.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활용
2. 스토리(Story:이야기)의 가치
3.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목적
4. 스토리텔링과 플롯 그리고 내러티브의 차이
5.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기술
6.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구성요소
7.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활용
본문내용
다. 역동적인 목소리, 극적인 멈춤 효과, 알맞은 숨 조절, 적절한 몸짓, 청중과 눈맞춤 등을 스토리텔링하는 교사가 지녀야하는 수업 기술로 본 Sobut(1995)는 아동들과 이야기를 공유하는 데는 이러한 특별한 기술보다는 여유 있게 아동들과 이야기를 공유하려고 하는 교사의 마음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교사는 어린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줄 때 교사와 아동 모두에게 흥미 있고 가치 있는 이야기를 선정한 후 이야기의 내용을 얼굴 표정, 억양, 소리의 변화 등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도록 기술을 익혀 아동과 마주보며 서로 친밀감을 형성하면서 이야기해야 한다.
6.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구성요소
스
토리텔링은 일반적으로 4개의 구성요소, 즉 메시지, 갈등, 등장인물, 플롯으로 구성된다(교육부).
① 메시지
스토리텔링은 단순히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이야기를 수단으로 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예를 들어 소가 된 게으름뱅이라는 동화에서도 ‘게으르면 실패 한다’라는 교훈을 주기 위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학습에서의 스토리텔링의 주요 메시지는 학습의 내용에 대한 이해(의미)와 관련된 그 무엇이다.
② 갈등
스토리텔링은 주제와 관련하여 적절한 갈등 상황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갈등이 없으면 스토리는 밋밋하고 상황 전개가 지루하여 호기심과 상상력이 끼어들 여지를 주지 못하게 된다. 갈등의 해소 과정을 거치면서 주요한 메시지를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 학습 과정에서의 갈등은 이야기를 보다 생동감 있고 실제적이라는 생명력을 느끼게 한다. 갈등은 학습자의 정서를 자극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상황에 몰입하게하고 이는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스토리의 갈등에 기인하여 반전, 아이러니, 놀라움, 호기심, 복선 등의 요소가 발생할 수 있다.
③ 등장인물
스토리텔링에서는 스토리의 메시지와 플롯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정해진 역할을 수행하는 등장인물(캐릭터)이 있어야 한다. 등장인물은 독자나 청자로 하여금 실제 인물로 느끼게 하여 스토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이다. 성격이 다른 등장인물들은 메시지나 플롯을 강력하고 호소력 있게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④ 플롯
플롯은 이야기의 뼈대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이야기의 전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를 의미한다. 이는 청자들이 흥미를 잃지 않도록 치밀하고 꼼꼼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플롯을 느슨하게 구성하여 화자와 청자가 쌍방향으로 이야기를 구성해나가는 방식도 효과적일 수 있다. 플롯은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갈등 상황을 적절하게 제시하면서 등장인물이 과업을 수행하도록 개연성과 전체적인 통일성을 가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7.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활용
스
토리텔링 교육은 정보를 기억하게 하고 다른 삶을 경험하도록 한다. 이야기를 통해 다른 삶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의미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를 통해 학습자를 몰입하도록 하며, 사회적 문화적 발달적 차이를 줄여 공동체에 참여하도록 하고 공동체의식을 갖도록 하며, 이야기를 통해 학습을 이해하도록 하며, 일정한 과정이나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스토리는 효과적인 교육도구로 행동방법에 대한 지식인 시뮬레이션과 행동의 동기인 영감을 제공한다. 스토리는 수동적인 청중이 아니라 시뮬레이션을 통해 능동적인 참여자 역할을 하도록 하고, 인지하지 못했던 부분을 재조명하도록 하며, 문제 해결을 하는 행동을 촉진한다. 스토리는 구체적이며 핵심에 접근하는 단순성으로 메시지를 이해하고 기억하도록 하여 행동에 이르게 한다.
스토리 제시방법에 따라 판결이 달라지는 실험에 따르면, 배심원들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스토리를 구성하고 정신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판결을 한다. 편견에 의한 증언은 기록의 공백이 심하고 순차적이 아닌 정보를 제공한다. 피고만 스토리로 구성된 정보를 제공하고, 원고는 편견에 의한 정보를 제공했을 때 배심원 중 31%만 피고에게 유죄를 선고했다. 반대로 원고만 스토리로 구성한 정보를 제공하고, 피고는 편견에 의한 정보를 제공했을 때 78%의 배심원이 유죄를 선고했다. 이처럼 스토리는 배심원이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판결에 확신을 갖도록 한다.
스토리는 감정이입하여 정신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동적 청중이 아닌 적극적인 청중으로 참여에 이르도록 하며, 의사소통을 위해 직접적 개념을 전달하지 않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설득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행동에 이르도록 한다. 그 이유는 직접적인 전달은 분석적 사고체계를 활성화시켜 평가 및 판단을 하여 토론하고 비판하여 반론을 제기하도록 하는 데 반해, 스토리텔링은 감정을 활성화시켜 이야기에 동화되어 설득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이야기는 단순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예를들어, 변호사의 10가지 주장이 훌륭해도 배심원은 하나도 기억하지 못하므로 곁가지를 쳐내어 구체적인 이야기로 전달해야 한다.
Sadoski는 구체적인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에 비해 이해하고 기억하기 쉽고 흥미를 유발하며, 학생들은 교재내용이 활동을 자극하고 구체적인 이미지와 감정적인 요소가 포함되었을 때 관심을 보인다고 주장한다. 즉 감정적인 요소가 포함된 이야기는 관심을 갖도록 하고 행동으로 이끈다.
Matthew는 광고를 이용한 연구에서 분석적 사고를 하도록 하는 것보다 감정에 호소할 때 기억하고 행동에 이르게 한다고 하였으며 그 예로 금연광고에 대해 분석적 사고를 하는 「생각해 보세요」와 감정적 사고를 하는 「진실게임」을 보여주었을 때, 학생들은 「진실게임」을 더 많이 기억하고 금연을 실천하였다고 하였다.
글도 감정적 요소가 포함되었을 때 쉽게 기억하며, 구체적으로 시각화하여 보여준 것이 기억하기 쉽고 사람의 감정을 자극하여 행동에 이르도록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기후변화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객관적이고 설명적인 전통적인 수업보다 북극곰과 투발로 사람들의 이야기를 요소로 하여 감정이입하도록 하는 스토리텔링 수업은 감정을 자극하여 환경행동을 강화시킬 것이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교사는 어린이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줄 때 교사와 아동 모두에게 흥미 있고 가치 있는 이야기를 선정한 후 이야기의 내용을 얼굴 표정, 억양, 소리의 변화 등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도록 기술을 익혀 아동과 마주보며 서로 친밀감을 형성하면서 이야기해야 한다.
6.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구성요소
스
토리텔링은 일반적으로 4개의 구성요소, 즉 메시지, 갈등, 등장인물, 플롯으로 구성된다(교육부).
① 메시지
스토리텔링은 단순히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이야기를 수단으로 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예를 들어 소가 된 게으름뱅이라는 동화에서도 ‘게으르면 실패 한다’라는 교훈을 주기 위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학습에서의 스토리텔링의 주요 메시지는 학습의 내용에 대한 이해(의미)와 관련된 그 무엇이다.
② 갈등
스토리텔링은 주제와 관련하여 적절한 갈등 상황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갈등이 없으면 스토리는 밋밋하고 상황 전개가 지루하여 호기심과 상상력이 끼어들 여지를 주지 못하게 된다. 갈등의 해소 과정을 거치면서 주요한 메시지를 전달된다고 할 수 있다. 학습 과정에서의 갈등은 이야기를 보다 생동감 있고 실제적이라는 생명력을 느끼게 한다. 갈등은 학습자의 정서를 자극하여 보다 능동적으로 상황에 몰입하게하고 이는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스토리의 갈등에 기인하여 반전, 아이러니, 놀라움, 호기심, 복선 등의 요소가 발생할 수 있다.
③ 등장인물
스토리텔링에서는 스토리의 메시지와 플롯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정해진 역할을 수행하는 등장인물(캐릭터)이 있어야 한다. 등장인물은 독자나 청자로 하여금 실제 인물로 느끼게 하여 스토리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 요소이다. 성격이 다른 등장인물들은 메시지나 플롯을 강력하고 호소력 있게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④ 플롯
플롯은 이야기의 뼈대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이야기의 전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를 의미한다. 이는 청자들이 흥미를 잃지 않도록 치밀하고 꼼꼼하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플롯을 느슨하게 구성하여 화자와 청자가 쌍방향으로 이야기를 구성해나가는 방식도 효과적일 수 있다. 플롯은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갈등 상황을 적절하게 제시하면서 등장인물이 과업을 수행하도록 개연성과 전체적인 통일성을 가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7.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의 활용
스
토리텔링 교육은 정보를 기억하게 하고 다른 삶을 경험하도록 한다. 이야기를 통해 다른 삶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고 의미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를 통해 학습자를 몰입하도록 하며, 사회적 문화적 발달적 차이를 줄여 공동체에 참여하도록 하고 공동체의식을 갖도록 하며, 이야기를 통해 학습을 이해하도록 하며, 일정한 과정이나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스토리는 효과적인 교육도구로 행동방법에 대한 지식인 시뮬레이션과 행동의 동기인 영감을 제공한다. 스토리는 수동적인 청중이 아니라 시뮬레이션을 통해 능동적인 참여자 역할을 하도록 하고, 인지하지 못했던 부분을 재조명하도록 하며, 문제 해결을 하는 행동을 촉진한다. 스토리는 구체적이며 핵심에 접근하는 단순성으로 메시지를 이해하고 기억하도록 하여 행동에 이르게 한다.
스토리 제시방법에 따라 판결이 달라지는 실험에 따르면, 배심원들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스토리를 구성하고 정신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해 판결을 한다. 편견에 의한 증언은 기록의 공백이 심하고 순차적이 아닌 정보를 제공한다. 피고만 스토리로 구성된 정보를 제공하고, 원고는 편견에 의한 정보를 제공했을 때 배심원 중 31%만 피고에게 유죄를 선고했다. 반대로 원고만 스토리로 구성한 정보를 제공하고, 피고는 편견에 의한 정보를 제공했을 때 78%의 배심원이 유죄를 선고했다. 이처럼 스토리는 배심원이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판결에 확신을 갖도록 한다.
스토리는 감정이입하여 정신적 시뮬레이션을 통해 수동적 청중이 아닌 적극적인 청중으로 참여에 이르도록 하며, 의사소통을 위해 직접적 개념을 전달하지 않고 스토리텔링을 통해 설득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행동에 이르도록 한다. 그 이유는 직접적인 전달은 분석적 사고체계를 활성화시켜 평가 및 판단을 하여 토론하고 비판하여 반론을 제기하도록 하는 데 반해, 스토리텔링은 감정을 활성화시켜 이야기에 동화되어 설득되도록 하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한 이야기는 단순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예를들어, 변호사의 10가지 주장이 훌륭해도 배심원은 하나도 기억하지 못하므로 곁가지를 쳐내어 구체적인 이야기로 전달해야 한다.
Sadoski는 구체적인 메시지는 다른 메시지에 비해 이해하고 기억하기 쉽고 흥미를 유발하며, 학생들은 교재내용이 활동을 자극하고 구체적인 이미지와 감정적인 요소가 포함되었을 때 관심을 보인다고 주장한다. 즉 감정적인 요소가 포함된 이야기는 관심을 갖도록 하고 행동으로 이끈다.
Matthew는 광고를 이용한 연구에서 분석적 사고를 하도록 하는 것보다 감정에 호소할 때 기억하고 행동에 이르게 한다고 하였으며 그 예로 금연광고에 대해 분석적 사고를 하는 「생각해 보세요」와 감정적 사고를 하는 「진실게임」을 보여주었을 때, 학생들은 「진실게임」을 더 많이 기억하고 금연을 실천하였다고 하였다.
글도 감정적 요소가 포함되었을 때 쉽게 기억하며, 구체적으로 시각화하여 보여준 것이 기억하기 쉽고 사람의 감정을 자극하여 행동에 이르도록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기후변화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객관적이고 설명적인 전통적인 수업보다 북극곰과 투발로 사람들의 이야기를 요소로 하여 감정이입하도록 하는 스토리텔링 수업은 감정을 자극하여 환경행동을 강화시킬 것이다.
추천자료
스토리텔링 산업 연구
[스토리텔링 마케팅]스토리텔링 마케팅 전략의 개념, 방법, 구성요소, 활용 방안, 유형별 스...
[스토리텔링 마케팅]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이해(스토리텔링 마케팅의 정의, 효과, 필요성, 원...
스토리텔링(구연동화, 동화구연)의 정의와 종류, 스토리텔링(구연동화, 동화구연)의 가치, 스...
영어교육에서 스토리텔링(동화구연,구연동화)의 중요성, 영어교육 스토리텔링(동화구연,구연...
스토리텔링(동화구연, 구연동화)의 정의와 종류, 스토리텔링(동화구연, 구연동화)의 이론적 ...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Storytelling) 기법을 이용한 브랜드 마케팅의 효과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활용 사례와 경향 - 테마파트 심리적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