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목표.
2. 연구의 이유 & 초점.
3. 콜버그,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이론 요약.
4. 이야기를 보고 윤리학적 틀에 입각하여 발문 제시.
5. 배려심 내면화를 위한 방안.
6. Feel so...
7. 참고자료.
2. 연구의 이유 & 초점.
3. 콜버그,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이론 요약.
4. 이야기를 보고 윤리학적 틀에 입각하여 발문 제시.
5. 배려심 내면화를 위한 방안.
6. Feel so...
7. 참고자료.
본문내용
하면 모두에게 이익이 됩니다. 자, 조금씩만 양보합시다.”
하고 부탁하며, 서로 먼저 가려다 엉킨 차들을 차례대로 한 대씩 보냈습니다.
처음에는 “자기가 뭔데 !” 하는 표정으로 아저씨의 신호를 무시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차들이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하자, 아저씨의 신호를 따르며 고마워했습니다.
그 아저씨도 다른 사람들에게 듣기 싫은 말을 하고 싶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그 아저씨는 그런 생각을 잠시 접고, 교통 경찰관의 역할을 기꺼이 한 것입니다.
위 이야기에서 다투고 있던 사람들은 이 이야기로만 볼 때는 정확히 파악이 되질 않으나, 3,4단계에 해당하는 것 같다. 다투고 있던 사람들은 잠시나마 도로의 질서를 방해했으나, 어떠한 아저씨의 한마디에 다시 정신을 차리고 도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또한 다투던 아저씨들을 말린 아저씨는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단계에서 3단계(자기존중감)에 해당한다. 왜냐하면 자기 자신과 타인 양자에게 최선이 될 수 있는, 다투던 아저씨들을 좋은 말로 다독여 싸움을 멈추게 만들었고, 잠시 동안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교통 경찰관의 역할을 기꺼이 했기 때문이다.
● 발문제시
① 희주는 왜 버스에 탔나요?(5점)
의도 → 이 글을 잘 읽었는지 알기 위해.
② 만약 다투던 아저씨들이 다투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10점)
의도 →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았을 때, 어떠한 상황이 일어날 것인 지 상상할 수 있게 한다.
③ 만약 다투는 것을 말린 아저씨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리고 여러분이라면 다투는 것을 말리는 아저씨 처럼 할 수 있을까요?(10점)
의도 → 다투는 것을 말리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 배려를 하는 것임을 알리고, 그 러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내면화 하기 위해.
④ 만약 여러분이라면 아저씨들이 다투는 것을 뭐라고 말을 하며 말릴까요?(10점)
의도 →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며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지 알기 위해.
평가 → 잘 모르겠다, 무답(0점)
아저씨들 때문에 교통이 막히잖아요 등(배려심이 보이지 않는 말투) (5점)
아저씨들의 사정도 이해되는데....(아저씨들도 이해하지만 길이 막혀 다른 사람들이 가지 못함을 말한다 등)(10점)
⑤ 만약 아저씨의 신호를 모든 사람들이 무시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5점)
의도 → 서로 빨리 가려고 하면서 자신만을 생각하는 것보다 서로 양보하며 다른 사람을 생각하며 가는 것이 더 빠른 것임을 알려주기 위해.(배려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기 위해.)
평가 → 잘 모르겠다, 무답(0점)
서로 먼저 가려다 교통체증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대답.(10점)
⑥ 다투던 아저씨들과 다툼을 말린 아저씨가 시민 교통 경찰 역할을 할 때에 뭐라고 하던 사람들에게 할 말이 있다면?(5점)
의도 → 배려심이 없는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하다보면 자연스레 배려심을 내면화 할 수 있다.
5. 배려심 내면화를 위한 방안.
● 토론
→ 가구집 주인과 관련된 덕목은 무엇일까?
배려란 무엇일까?
배려란 특정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걸까?
배려란 아무 조건 없는 것일까?
가구집 주인과 다툼을 말린 아저씨는 어떠한 도덕적 가치를 내면화 하고있는 것 일까?
● 배려심과 관련된 문제 풀어보기(여러 발문)
● 모델링(배려를 잘하는 사람과 붙어다닌다.)
● 인정과 격려
● 봉사활동
● 남의 입장이 되어서 생각해 보기
● 아이들에게 지도할 때 적절한 예시를 들며 지도하기
ex) 아이들에게 예를 들며 지도하는 모습
선생님 : 여러분 만약 자신이 싫어하던 친구가 여러분의 도움을 간절히 원하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A : 외면해요~
아이B : 평소에 싫어하던 아이니깐 무시해도 되요~
선생님 : 그러면 만약 상황을 바꿔서 여러분이 정말 싫어하던 친구에게 반드시 도움을 받아야 해요. 그렇다면 그 싫어하는 친구는 어떻게 해야할까 요?
아이A : 고민될거같아요~
아이C : 아마 안도와줄 것 같아요~
선생님 : 그렇죠~ 여러분 아무리 싫은 사람이라도 자신이 가지고 있던 감정대로 그 사람을 대하면 언젠가는 자신에게 돌아오게 된답니다. 그러니 우리 모두 주위의 사람을 배려하는 삶을 살도록 해요. 알겠죠?
아이들 : 네 선생님! 알겠습니다~
“
아이을 가장 쉽고 빠르게 배려심을 내면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아무래도 실생활에서 배려심을 발휘해 보거나, 배려를 받아보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콜버그의 제자인 블랫의 ‘+1’ 이론처럼 아이들을 토론을 시켜 배려심을 길러주는 방법도 있지만, 블랫의 결과처럼 이성적으로는 배려심을 갖되, 실제 상황이 되면 쉽게 배려를 하지 않는 경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내 생각에는 직접 체험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6. Feel so...
이번 도덕 기말 페이퍼를 하면서 콜버그와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좀 더 파악할 수 있어 좋았다. 사실 나는 고등학교 윤리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하느라, 그리고 수능시험 때 윤리를 선택하지 않아서 윤리에 대한 지식이 완전 깨끗한, 전무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이번에 초등도덕교육1을 수강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이 매우매우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번 기말 페이퍼를 작성하는 데에 있어서도 시험공부를 하면서 재미있어하고 시험을 본 후에도 자주 이야기하는 콜버그와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단계를 주제로 잡았다.
이번 기말고사페이퍼를 하면서 느끼는 생각나는 것이 시험이나 과제는 테스트의 의미도 있지만, 자기 자신이 공부가 되는 자기 계발의 의미도 있음을 다시 한번 느꼈다. 중간 과제와 이번 기말 과제를 통해 공리주의, 콜버그와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단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도와주는 것 같다. 저번 중곤고사 페이퍼나 이번 기말고사 페이퍼나 내가 집중적으로 조사한 부분만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것 같다. 이번 초등도덕교육1 수강을 계기로 깨끗했던 도덕에 대한 나의 지식을 조금이나마 채울 수 있게 되어 기뻤고, 나의 도덕성 발달단계를 알 수 있어 좋았다.
참고
도덕과 교육의 이론 /서강식, 김태훈, 이범웅 지음
이야기 출처
4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4학년 2학기 도덕교과서
5학년 도덕교과서
7. 참고자료.
하고 부탁하며, 서로 먼저 가려다 엉킨 차들을 차례대로 한 대씩 보냈습니다.
처음에는 “자기가 뭔데 !” 하는 표정으로 아저씨의 신호를 무시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차들이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하자, 아저씨의 신호를 따르며 고마워했습니다.
그 아저씨도 다른 사람들에게 듣기 싫은 말을 하고 싶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그 아저씨는 그런 생각을 잠시 접고, 교통 경찰관의 역할을 기꺼이 한 것입니다.
위 이야기에서 다투고 있던 사람들은 이 이야기로만 볼 때는 정확히 파악이 되질 않으나, 3,4단계에 해당하는 것 같다. 다투고 있던 사람들은 잠시나마 도로의 질서를 방해했으나, 어떠한 아저씨의 한마디에 다시 정신을 차리고 도로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이다. 또한 다투던 아저씨들을 말린 아저씨는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단계에서 3단계(자기존중감)에 해당한다. 왜냐하면 자기 자신과 타인 양자에게 최선이 될 수 있는, 다투던 아저씨들을 좋은 말로 다독여 싸움을 멈추게 만들었고, 잠시 동안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교통 경찰관의 역할을 기꺼이 했기 때문이다.
● 발문제시
① 희주는 왜 버스에 탔나요?(5점)
의도 → 이 글을 잘 읽었는지 알기 위해.
② 만약 다투던 아저씨들이 다투는 것을 멈추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10점)
의도 → 다른 사람을 배려하지 않았을 때, 어떠한 상황이 일어날 것인 지 상상할 수 있게 한다.
③ 만약 다투는 것을 말린 아저씨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그리고 여러분이라면 다투는 것을 말리는 아저씨 처럼 할 수 있을까요?(10점)
의도 → 다투는 것을 말리는 것이 도덕적으로 옳은 배려를 하는 것임을 알리고, 그 러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내면화 하기 위해.
④ 만약 여러분이라면 아저씨들이 다투는 것을 뭐라고 말을 하며 말릴까요?(10점)
의도 →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며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지 알기 위해.
평가 → 잘 모르겠다, 무답(0점)
아저씨들 때문에 교통이 막히잖아요 등(배려심이 보이지 않는 말투) (5점)
아저씨들의 사정도 이해되는데....(아저씨들도 이해하지만 길이 막혀 다른 사람들이 가지 못함을 말한다 등)(10점)
⑤ 만약 아저씨의 신호를 모든 사람들이 무시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5점)
의도 → 서로 빨리 가려고 하면서 자신만을 생각하는 것보다 서로 양보하며 다른 사람을 생각하며 가는 것이 더 빠른 것임을 알려주기 위해.(배려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기 위해.)
평가 → 잘 모르겠다, 무답(0점)
서로 먼저 가려다 교통체증이 더 심해질 것이라는 대답.(10점)
⑥ 다투던 아저씨들과 다툼을 말린 아저씨가 시민 교통 경찰 역할을 할 때에 뭐라고 하던 사람들에게 할 말이 있다면?(5점)
의도 → 배려심이 없는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하다보면 자연스레 배려심을 내면화 할 수 있다.
5. 배려심 내면화를 위한 방안.
● 토론
→ 가구집 주인과 관련된 덕목은 무엇일까?
배려란 무엇일까?
배려란 특정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걸까?
배려란 아무 조건 없는 것일까?
가구집 주인과 다툼을 말린 아저씨는 어떠한 도덕적 가치를 내면화 하고있는 것 일까?
● 배려심과 관련된 문제 풀어보기(여러 발문)
● 모델링(배려를 잘하는 사람과 붙어다닌다.)
● 인정과 격려
● 봉사활동
● 남의 입장이 되어서 생각해 보기
● 아이들에게 지도할 때 적절한 예시를 들며 지도하기
ex) 아이들에게 예를 들며 지도하는 모습
선생님 : 여러분 만약 자신이 싫어하던 친구가 여러분의 도움을 간절히 원하고 있어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A : 외면해요~
아이B : 평소에 싫어하던 아이니깐 무시해도 되요~
선생님 : 그러면 만약 상황을 바꿔서 여러분이 정말 싫어하던 친구에게 반드시 도움을 받아야 해요. 그렇다면 그 싫어하는 친구는 어떻게 해야할까 요?
아이A : 고민될거같아요~
아이C : 아마 안도와줄 것 같아요~
선생님 : 그렇죠~ 여러분 아무리 싫은 사람이라도 자신이 가지고 있던 감정대로 그 사람을 대하면 언젠가는 자신에게 돌아오게 된답니다. 그러니 우리 모두 주위의 사람을 배려하는 삶을 살도록 해요. 알겠죠?
아이들 : 네 선생님! 알겠습니다~
“
아이을 가장 쉽고 빠르게 배려심을 내면화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아무래도 실생활에서 배려심을 발휘해 보거나, 배려를 받아보는 경우라고 생각된다. 콜버그의 제자인 블랫의 ‘+1’ 이론처럼 아이들을 토론을 시켜 배려심을 길러주는 방법도 있지만, 블랫의 결과처럼 이성적으로는 배려심을 갖되, 실제 상황이 되면 쉽게 배려를 하지 않는 경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내 생각에는 직접 체험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6. Feel so...
이번 도덕 기말 페이퍼를 하면서 콜버그와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 단계를 좀 더 파악할 수 있어 좋았다. 사실 나는 고등학교 윤리 시간에 다른 공부를 하느라, 그리고 수능시험 때 윤리를 선택하지 않아서 윤리에 대한 지식이 완전 깨끗한, 전무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이번에 초등도덕교육1을 수강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이 매우매우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번 기말 페이퍼를 작성하는 데에 있어서도 시험공부를 하면서 재미있어하고 시험을 본 후에도 자주 이야기하는 콜버그와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단계를 주제로 잡았다.
이번 기말고사페이퍼를 하면서 느끼는 생각나는 것이 시험이나 과제는 테스트의 의미도 있지만, 자기 자신이 공부가 되는 자기 계발의 의미도 있음을 다시 한번 느꼈다. 중간 과제와 이번 기말 과제를 통해 공리주의, 콜버그와 길리건의 도덕성 발달단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도와주는 것 같다. 저번 중곤고사 페이퍼나 이번 기말고사 페이퍼나 내가 집중적으로 조사한 부분만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것 같다. 이번 초등도덕교육1 수강을 계기로 깨끗했던 도덕에 대한 나의 지식을 조금이나마 채울 수 있게 되어 기뻤고, 나의 도덕성 발달단계를 알 수 있어 좋았다.
참고
도덕과 교육의 이론 /서강식, 김태훈, 이범웅 지음
이야기 출처
4학년 1학기 도덕교과서
4학년 2학기 도덕교과서
5학년 도덕교과서
7. 참고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