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도덕교육]공리주의 이론과 도덕적 가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도덕교육]공리주의 이론과 도덕적 가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수 있을 것이다.
발문의 예
1) 이 이야기 ‘시민 교통 경찰’ 에서는 어떤 상황이 벌어지고 있나요?
2) 만약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어떤 결과가 벌어질까요?
3) 어떻게 해서 문제가 해결되었나요?
4) 공공의 이익을 생각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4. 사례를 통해 느낀 점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우선시한다.’ 처음 들을 이에게는 상당히 매력적인 말이다. 그것은 주제를 공리주의로 선택해 과제를 작성하던 나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였다. 공리주의에 대해 조사를 해 나가면서 ‘다수의 행복을 우선시한다는 이러한 의견에도 과연 반론을 제기할 수가 있을까. 있다고 해도 미미한 정도의 수준이 아닐까’ 하는 생각까지도 들었다.
하지만 이런 내 생각도 잠시뿐이었다. 공리주의를 조사하다 보니 조금씩 그 한계점들이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공리주의는 행위의 동기보다는 결과를 우선시하고, 이것이 바로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좋은 결과를 유발시키면 좋은 행위라고 인정받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어떠한 상황에서도 그것이 다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공리주의는 ‘다수의 행복과 소수의 생명이라는 가치가 맞부딪히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내리지 못함으로서, 우리 주위의 절대적인 도덕 규칙들이 어긋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행복보다는 마땅히 생명이란 가치가 위일 테지만, 공리주의 하에서는 딱 그렇다고 단정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공리주의의 다른 문제점은 다수의 행복을 위해 소수를 희생시키는 권리 침해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개인에게 있어서 개인의 권리 보존은 가장 중요한 문제이지만, 공리주의는 이러한 문제에 ‘다수의 행복’이라는 무기를 들이대며 위협한다. 다수를 위해 개인을 포기하라는 이러한 압력 하에서는 구성원들이 하나로 뭉치기가 어려울 것이다.
또한 공리주의에서 ‘행복의 양과 질을 과연 인간이 측정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이 제기될 가능성 또한 있다. 행복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주관적인 것이며, 사람마다 느끼는 것이 다른 상대적인 가치일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매우 주관적인 가치에도 객관적 측정이라는 잣대를 들이댈 수가 있을까? 아마 힘들 것이며 이것은 결국 인간의 오만에 지나지 않는다. 결국 이러한 내용도 ‘집단 안에서는 수가 많은 쪽이 느끼는 행복의 양이 더 크므로 소수는 언제나 다수의 의견을 따라야 한다’ 는 다수결의 원칙과 연결된다. 다수결의 원칙에서 소수의 중요한 가치가 다수의 횡포에 의해 묵살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처럼, 이것은 공리주의에 있어서도 매한가지다.
이처럼 공리주의는 많은 문제를 떠안고 있지만, 얼마든지 개선될 여지를 가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한 예로, 어떠한 행위를 판단할 때 그것이 일으킨 결과와 함께 동기도 고려해보는 것이다. 마치 스포츠 경기에서 선수들이 낸 결과보다는 노력한 과정을 더 중시하는 것처럼 말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선수들이 자신감을 얻어 다음번 시합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원리로서의 공리주의는 하나의 선택을 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다수가 이익을 누릴 수 있는가 하는, 분명히 흥미롭고도 매력적인 이론이다. 공리주의가 보완해야 할 부분이라면 ‘다수의 이익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소수의 문제를 어떻게 잘 해결하여, 큰 희생자 없이 win-win 게임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까’ 하는 부분일 것이다. 만약 공리주의의 이론을 적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피해자 없이 모두에게 만족스러운 방향으로 문제를 풀어갈 수만 있다면, 공리주의는 그 완전성에 한걸음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는 나름의 생각을 정리해 보면서 이 글을 마친다.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2.04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8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