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칸트 이론을 선택한 이유
Ⅱ. 칸트 이론 분석
1. 도덕의 근원
2. 칸트의 도덕원리
3. 정언명법
4.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
5. 칸트 도덕철학의 현실성
Ⅲ. 경험과 현실 사례의 분석(사례 1~3)
Ⅳ. 칸트 이론의 교육적 적용
Ⅴ. 느낀점 / 참고문헌
Ⅱ. 칸트 이론 분석
1. 도덕의 근원
2. 칸트의 도덕원리
3. 정언명법
4. 도덕적 존재로서의 인간
5. 칸트 도덕철학의 현실성
Ⅲ. 경험과 현실 사례의 분석(사례 1~3)
Ⅳ. 칸트 이론의 교육적 적용
Ⅴ. 느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이는 우리가 오로지 절대적 이성을 따르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은 ①경험을 통한 학습과 ②문답법이 될 수 있겠다. 우선 가능한 한 다양한 상황을 경험한다면, 후에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에도 ‘옳은 법칙’을 잘 응용하고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경험을 통한 학습이 효과적이다. 또, 그러한 상황에서 어떤 것이 ‘옳은 법칙’이 될 지에 대해 교사와 아이는 문답을 하면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둘째, 훈육(단련)은 “동물성을 인간성(Menschheit)으로 바꾸는” 학동기의 교육개념이다.
아동들이 학교에서 무엇인가를 배워야 한다는 의도에서 뿐만 아니라 그들이 조용히 앉아 있고 그들에게 지시된 것을 시간을 지켜 준수하는 데 익숙해지고 그들이 미래에 그들의 모든 착상을 실제적으로도 즉각적으로도 실행에 옮기지 않게 하기 위한 의도에서 사람들은 처음에 아동들을 학교에 보낸다.
훈육은 인간이 동물적인 충동으로 인간의 숙명인 인간성과는 다르게 되지 않도록 예방한다. 칸트에 의하면, 야만성은 법칙에 의존하지 않는 데 있으므로 훈육은 인간을 인간성의 법칙에 예속시키고 인간에게 법칙의 구속을 느끼게 하는 교육개념이다. 그리고 훈육은 초기에 행해져야한다고 칸트는 말했다.
그래서 우리 마음속에서 저절로 ‘기울어지는’ 마음인 경향성(傾向性)에 반성적 의식을 수반해야한다는 점을 훈육해야 한다. 내 마음 바깥의 물질, 지위나 사람 쪽으로 기우는 마음을 다시 되돌려 자신 마음 안으로 향하게 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경향성(傾向性)을 스스로 제어하여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초기부터 유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옳은 법칙’에 따라 행할 것을 스스로 명령하도록 하는 교육도 훈육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자기체험이 효과적일 것이다. 스스로 문제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때 자신의 충동을 억제하고 ‘옳은 법칙’에 따라 행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훈육하는 것이다.
셋째,
인간은 보호와 도야를 필요로 한다. 도야의 의미는 훈육과 교수이다. 어떤 동물도 훈육과 교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야의 의미가 교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때 도야는 기능의 획득이며, 기능은 모든 임의의 목적들이기에 족한 능력의 소유이다.
이는 ‘도덕적’ 양심을 기르는 것에서 설명될 수 있다. 만약 자신이 잘못을 했다면 스스로 인정하고 후회하며, 앞으로는 그러지 말아야 겠다는 양심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자신이 행한 행위에 대해 결과뿐만 아니라 순수한 동기, 순수한 의무에서 비롯된 ‘도덕적’ 행위가 되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글쓰기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겠다. 특히 자기 자신이나 자신의 경험에 대해 글을 쓰면서 ‘옳은 법칙’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나아가 도야를 통해 더 깊이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한다. 비슷한 의미에서 일기쓰기 역시 개인의 도야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일기쓰기 검사를 통한 교수도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다.
Ⅴ. 느낀점
칸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이 과제를 위한 공부를 시작했다. 칸트와 칸트의 사상에 대해 많은 지식을 얻기도 했지만, 그보다도 스스로 내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었던 것 같다. 공부를 하면서 마음에 오래 간직해 두고 싶었던 구절도 있었고, 나의 경험에 대입할 수 있었던 부분도 있었다. ‘착하게 살자’고 흔히들 말한다. 하지만 여기에서 말하는 ‘착하게’가 무슨 뜻이냐고 반문한다면 자신의 소신껏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들은 소수일 것이다. 나도 이번 기회에 칸트에 대해, 특히 칸트의 도덕철학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공부하면서 그의 생각에서 ‘착하게’라는 의미를 찾아보려고 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말하는 ‘도덕적인 삶을 산다’는 것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아직 완전하지는 않지만, 약간의 실마리는 얻을 수 있었던 것 같다.
나의 철학과 인문학 공부에 출발점이 될 것 같아 무척 설레는 시간이었다. 어렵게만 느껴졌던 ‘철학’이라는 것에서 내 삶의 경험을 발견할 때, 그 때의 기쁨을 조금이나마 맛보았다. 또다시 그 기쁨을 맛보기 위해 나의 공부를 계속해나가려 한다.
* 참고문헌
- 최인숙, 2005, 『칸트』, 살림
- 임태평, 2008, 『(루소와 칸트)교육에 대하여』, 교육과학사
- 김석수, 2005, 『칸트와 현대 사회철학』, 울력
- cafe.daum.net/windymoraledu
이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은 ①경험을 통한 학습과 ②문답법이 될 수 있겠다. 우선 가능한 한 다양한 상황을 경험한다면, 후에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에도 ‘옳은 법칙’을 잘 응용하고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경험을 통한 학습이 효과적이다. 또, 그러한 상황에서 어떤 것이 ‘옳은 법칙’이 될 지에 대해 교사와 아이는 문답을 하면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둘째, 훈육(단련)은 “동물성을 인간성(Menschheit)으로 바꾸는” 학동기의 교육개념이다.
아동들이 학교에서 무엇인가를 배워야 한다는 의도에서 뿐만 아니라 그들이 조용히 앉아 있고 그들에게 지시된 것을 시간을 지켜 준수하는 데 익숙해지고 그들이 미래에 그들의 모든 착상을 실제적으로도 즉각적으로도 실행에 옮기지 않게 하기 위한 의도에서 사람들은 처음에 아동들을 학교에 보낸다.
훈육은 인간이 동물적인 충동으로 인간의 숙명인 인간성과는 다르게 되지 않도록 예방한다. 칸트에 의하면, 야만성은 법칙에 의존하지 않는 데 있으므로 훈육은 인간을 인간성의 법칙에 예속시키고 인간에게 법칙의 구속을 느끼게 하는 교육개념이다. 그리고 훈육은 초기에 행해져야한다고 칸트는 말했다.
그래서 우리 마음속에서 저절로 ‘기울어지는’ 마음인 경향성(傾向性)에 반성적 의식을 수반해야한다는 점을 훈육해야 한다. 내 마음 바깥의 물질, 지위나 사람 쪽으로 기우는 마음을 다시 되돌려 자신 마음 안으로 향하게 해야 한다는 뜻이다. 즉, 경향성(傾向性)을 스스로 제어하여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초기부터 유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한 ‘옳은 법칙’에 따라 행할 것을 스스로 명령하도록 하는 교육도 훈육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적절한 교수학습방법으로는 자기체험이 효과적일 것이다. 스스로 문제 상황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때 자신의 충동을 억제하고 ‘옳은 법칙’에 따라 행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훈육하는 것이다.
셋째,
인간은 보호와 도야를 필요로 한다. 도야의 의미는 훈육과 교수이다. 어떤 동물도 훈육과 교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야의 의미가 교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될 때 도야는 기능의 획득이며, 기능은 모든 임의의 목적들이기에 족한 능력의 소유이다.
이는 ‘도덕적’ 양심을 기르는 것에서 설명될 수 있다. 만약 자신이 잘못을 했다면 스스로 인정하고 후회하며, 앞으로는 그러지 말아야 겠다는 양심을 느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자신이 행한 행위에 대해 결과뿐만 아니라 순수한 동기, 순수한 의무에서 비롯된 ‘도덕적’ 행위가 되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글쓰기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겠다. 특히 자기 자신이나 자신의 경험에 대해 글을 쓰면서 ‘옳은 법칙’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나아가 도야를 통해 더 깊이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한다. 비슷한 의미에서 일기쓰기 역시 개인의 도야에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일기쓰기 검사를 통한 교수도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다.
Ⅴ. 느낀점
칸트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이 과제를 위한 공부를 시작했다. 칸트와 칸트의 사상에 대해 많은 지식을 얻기도 했지만, 그보다도 스스로 내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었던 것 같다. 공부를 하면서 마음에 오래 간직해 두고 싶었던 구절도 있었고, 나의 경험에 대입할 수 있었던 부분도 있었다. ‘착하게 살자’고 흔히들 말한다. 하지만 여기에서 말하는 ‘착하게’가 무슨 뜻이냐고 반문한다면 자신의 소신껏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들은 소수일 것이다. 나도 이번 기회에 칸트에 대해, 특히 칸트의 도덕철학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공부하면서 그의 생각에서 ‘착하게’라는 의미를 찾아보려고 했다. 쉽게 말해, 우리가 말하는 ‘도덕적인 삶을 산다’는 것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했다. 아직 완전하지는 않지만, 약간의 실마리는 얻을 수 있었던 것 같다.
나의 철학과 인문학 공부에 출발점이 될 것 같아 무척 설레는 시간이었다. 어렵게만 느껴졌던 ‘철학’이라는 것에서 내 삶의 경험을 발견할 때, 그 때의 기쁨을 조금이나마 맛보았다. 또다시 그 기쁨을 맛보기 위해 나의 공부를 계속해나가려 한다.
* 참고문헌
- 최인숙, 2005, 『칸트』, 살림
- 임태평, 2008, 『(루소와 칸트)교육에 대하여』, 교육과학사
- 김석수, 2005, 『칸트와 현대 사회철학』, 울력
- cafe.daum.net/windymoraledu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