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A. 문제제기
B. 연구의 목적
C. 연구의 방법
제2장 리더십의 개념과 교회교육
A. 리더십의 개괄적인 정의
B. 성서의 리더십과 평신도 공동체
C. 교회교육의 변혁 요구
D. 성령의 가르침
제3장 교회의 새로운 리더십개발 유형과 기독교 교육
A. 섬김의 리더십
B. 평신도 리더십
C. 전도지향적 리더십
D. 세계선교적 리더십
제4장 평신도 리더십에 따른 성경 교육훈련
A. 리더십 관점에서 본 성경교육
B. 리더십과 교수학습의 응용공과론
C. 리더십과 교수학습의 응용공과모형
제5장 결론
-참고문헌-
A. 문제제기
B. 연구의 목적
C. 연구의 방법
제2장 리더십의 개념과 교회교육
A. 리더십의 개괄적인 정의
B. 성서의 리더십과 평신도 공동체
C. 교회교육의 변혁 요구
D. 성령의 가르침
제3장 교회의 새로운 리더십개발 유형과 기독교 교육
A. 섬김의 리더십
B. 평신도 리더십
C. 전도지향적 리더십
D. 세계선교적 리더십
제4장 평신도 리더십에 따른 성경 교육훈련
A. 리더십 관점에서 본 성경교육
B. 리더십과 교수학습의 응용공과론
C. 리더십과 교수학습의 응용공과모형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복제회사인 ‘클로네이드(Clonaid)’가 한국에 지사를 설립하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 이래, 현재까지 5천여명의 신도와 8명의 인간복제 신청자가 나왔다고 한다. Mi Jung Koo/Jae Sub Yang, \"An Attempt to Mediate the Conflicts between the Ethic of Inevitability and the Ethic of Inseparability in terms of Human Cloning\", presentation paper of 5th Asian Bioethics Conference, 2004. 2. 14. 참고.
즉, 생명공학의 출현을 환영하면서, 이 첨단과학기술의 놀라운 업적이야말로 신(엘로힘)이 인간에게 영생을 보장해주는 선물이라고 해석한 라엘의 가르침이 핵 인간의 불멸 욕구에 정확히 맞아떨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원자화되고, 파편화되고, 분열적이고, 즉흥적인, 그런 가운데서도 영생의 소망을 놓지 못해 종교 언저리를 서성이는 현대인들에게 기독교는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세상은 교회를 향해 계속해서 이렇게 묻고 있다. “쿼바디스 에클레시아?” 구미정,“살려거든, 생명을 택하여라”대구대 필휴먼생명학연구소, 2004
B. 리더십과 교수학습의 응용공과론
인간의 두뇌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많은 한계가 있음을 느낀다. 인간의 기억력의 한계는 개인차가 있지만 7±2정도라고 한다. 어떤 물체의 이름을 연이어 말해주고 10초후에 몇 개나 기억할수 있는지에 대한 테스트에서 평균은 7개, 좀 나은 이는 9개, 낮은 이는 5개 정도라고 한다. 다양하고 많은 것을 학습시키기 보다는 몇 가지의 주제를 선정해서 반복 반복해서 교육시킬때 이해도와 기억의 내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단 몇가지의 신앙적 주제의 흐름이 잡혀지면 그것을 토대로 계속해서 말씀안에서 응용되어지고 학습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공과교수에 있어서도 주어진 내용을 다 소화하여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일에 있어 공과책을 앞에 펼쳐놓지 않고 성경책만 열어 놓은채 공과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쉬운일이 아니다. 주어진 공과의 내용을 쓴 분이 어떤 현장을 감안하였는지 어떤 수준을 염두에 두었는지도 정확히 알 수 없다. 가장 확실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은 그 학습의 자리 그 현장성이다. 가장 힘있게 심도있게 실제성있는 것은 바로 그 현장을 잘 알고 있는 교사에게 있는것이다. 그러면 교사가 중요하다. 교사의 교수-학습에 있어 그 단계를 끌어 올려 교사 자신이 공과를 개발하고 응용토록 하여 자체 커리큘럼을 계획하고 실행토록 할때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교회의 성서교육에 있어 주일 낮예배와 찬양예배시의 설교내용이 교회학교의 학습진도와 일치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라. 들은 말씀 따로 교사들이 교수해야 하는 자료내용이 따로이다. 들은 말씀을 내것으로 만들어 삶을 변화시켜 자신의 영적 양식으로 삼을 여유도 없이 가르쳐야하는 내용을 숙지해야하는 것이 오늘 교회학교 교육 지도자의 현실이다. 교재가 없이 교수-학습을 진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만약에 낮 예배시의 말씀을 교회학교 아이들에게 학습해야 한다면 열심히 설교를 이해할려고 애쓸 것이며 그것을 통해 자신의 영적 성숙을 기하고 후에는 성경책만 들고도 학습이 이루어 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학습이 계속 진행되면 성경본문의 내용적인 주제도 교육현장에 따라 다르게 현실성 있게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 그러면 교사는 한주일내내 자신이 가르칠 내용을 성경말씀을 읽으면서 상황과 접목하고자 애쓸것이며 자신이 목회자의 마음이 되어 주어진 학습자를 섬기고 기도하고 영적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교사들을 관중석에서 끌어내려서 직접 선수로서 방망이를 휘두르며 뛰게 해야 한다. 구경꾼만 되면 불평과 야유와 훼방꾼이 될 뿐이다. 직접 자신이 경기를 진행하다가 잘못되면 내탓이오. 연습부족이오 라고 자신을 돌아보게 될 때 감독은 조금의 조언과 격려를 통해 그에게 용기를 주게 된다. 선수는 고마워하며 전보다 더욱 열심히 자신의 일에 매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자신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목회자적인 심정이 되어 성서본문을 깊이 묵상하고 하습자들의 영적성장을 위해 교과과정을 다양하게 되도록 고민하게 될 때 목회자로부터의 약간의 조언은 참으로 힘이 될 것이고 고맙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C. 리더십과 교수학습의 응용공과모형
이제 교수-학습에 있어 성령의 강력한 능력이 임하고 치료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게 되는 응용공과 모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신앙의 교과서인 성서의 내용을 5가지의 주제로 압축해 해당되는 주제별 말씀을 흐름에 맞게 연결시켜 증거하는 것이다. 이때 말씀자체의 영적능력에 강하게 의지하기 위해 강력한 음성으로 소리를 발하며 성서의 말씀을 선포한다. 성령의 강한 역사를 의지하면서 성서자신이 학습자를 변화시키기를 요청하며 증거하는 것이다.
5가지의 주제를 살펴보면
제 1과는 “구원의 확신”으로서 죄인된 인간이 죄에게서 해방되기 위해서 구약에서는 짐승을 제물로 드렸지만 신약에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희생되어 하나님과 화해를 이룬 내용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그분의 고난당하심과 흘리신 보혈이 우리에게는 엄청난 축복의 삶으로 연결되어졌음을 강조하며 구원에 대한 강한 확인과 이땅에서의 신앙생활에 예수그리스도로 인한 기쁨과 승리의 삶으로 살아가도록 용기를 주도록 하는 내용이다.
제 2과는 “성령의 임재“에 관한 것으로 주님께서 보내신 보혜사 성령이 우리를 거듭나게 하시고 그 순간에 우리안에 들어와 계시는데 이제는 그 성령이 신앙적 삶에 역사하시도록 하여 각양 성령의 열매로 나타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령의 나타남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우리 안에 계시는데 강한 신앙의 영성으로 솟아올라오도록 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즉 성령이 말할 것을 주시고 (마 10:19) 가르치시고 생각나게 하시는 분이심을(요 14:26) 통해 성령안에서 공과의 교수-학습이 진행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제 3과는 “응답받는 기도”로서 성도의 하나님과 영적 호흡인 기도에 초점을
즉, 생명공학의 출현을 환영하면서, 이 첨단과학기술의 놀라운 업적이야말로 신(엘로힘)이 인간에게 영생을 보장해주는 선물이라고 해석한 라엘의 가르침이 핵 인간의 불멸 욕구에 정확히 맞아떨어진 것이다.
그렇다면, 원자화되고, 파편화되고, 분열적이고, 즉흥적인, 그런 가운데서도 영생의 소망을 놓지 못해 종교 언저리를 서성이는 현대인들에게 기독교는 과연 어떤 의미가 있을까? 세상은 교회를 향해 계속해서 이렇게 묻고 있다. “쿼바디스 에클레시아?” 구미정,“살려거든, 생명을 택하여라”대구대 필휴먼생명학연구소, 2004
B. 리더십과 교수학습의 응용공과론
인간의 두뇌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많은 한계가 있음을 느낀다. 인간의 기억력의 한계는 개인차가 있지만 7±2정도라고 한다. 어떤 물체의 이름을 연이어 말해주고 10초후에 몇 개나 기억할수 있는지에 대한 테스트에서 평균은 7개, 좀 나은 이는 9개, 낮은 이는 5개 정도라고 한다. 다양하고 많은 것을 학습시키기 보다는 몇 가지의 주제를 선정해서 반복 반복해서 교육시킬때 이해도와 기억의 내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단 몇가지의 신앙적 주제의 흐름이 잡혀지면 그것을 토대로 계속해서 말씀안에서 응용되어지고 학습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공과교수에 있어서도 주어진 내용을 다 소화하여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일에 있어 공과책을 앞에 펼쳐놓지 않고 성경책만 열어 놓은채 공과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쉬운일이 아니다. 주어진 공과의 내용을 쓴 분이 어떤 현장을 감안하였는지 어떤 수준을 염두에 두었는지도 정확히 알 수 없다. 가장 확실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은 그 학습의 자리 그 현장성이다. 가장 힘있게 심도있게 실제성있는 것은 바로 그 현장을 잘 알고 있는 교사에게 있는것이다. 그러면 교사가 중요하다. 교사의 교수-학습에 있어 그 단계를 끌어 올려 교사 자신이 공과를 개발하고 응용토록 하여 자체 커리큘럼을 계획하고 실행토록 할때 가장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교회의 성서교육에 있어 주일 낮예배와 찬양예배시의 설교내용이 교회학교의 학습진도와 일치하고 있는가를 살펴보라. 들은 말씀 따로 교사들이 교수해야 하는 자료내용이 따로이다. 들은 말씀을 내것으로 만들어 삶을 변화시켜 자신의 영적 양식으로 삼을 여유도 없이 가르쳐야하는 내용을 숙지해야하는 것이 오늘 교회학교 교육 지도자의 현실이다. 교재가 없이 교수-학습을 진행한다고 가정해 보자. 만약에 낮 예배시의 말씀을 교회학교 아이들에게 학습해야 한다면 열심히 설교를 이해할려고 애쓸 것이며 그것을 통해 자신의 영적 성숙을 기하고 후에는 성경책만 들고도 학습이 이루어 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학습이 계속 진행되면 성경본문의 내용적인 주제도 교육현장에 따라 다르게 현실성 있게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기게 된다. 그러면 교사는 한주일내내 자신이 가르칠 내용을 성경말씀을 읽으면서 상황과 접목하고자 애쓸것이며 자신이 목회자의 마음이 되어 주어진 학습자를 섬기고 기도하고 영적변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교사들을 관중석에서 끌어내려서 직접 선수로서 방망이를 휘두르며 뛰게 해야 한다. 구경꾼만 되면 불평과 야유와 훼방꾼이 될 뿐이다. 직접 자신이 경기를 진행하다가 잘못되면 내탓이오. 연습부족이오 라고 자신을 돌아보게 될 때 감독은 조금의 조언과 격려를 통해 그에게 용기를 주게 된다. 선수는 고마워하며 전보다 더욱 열심히 자신의 일에 매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자신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목회자적인 심정이 되어 성서본문을 깊이 묵상하고 하습자들의 영적성장을 위해 교과과정을 다양하게 되도록 고민하게 될 때 목회자로부터의 약간의 조언은 참으로 힘이 될 것이고 고맙게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C. 리더십과 교수학습의 응용공과모형
이제 교수-학습에 있어 성령의 강력한 능력이 임하고 치료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체험하게 되는 응용공과 모형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신앙의 교과서인 성서의 내용을 5가지의 주제로 압축해 해당되는 주제별 말씀을 흐름에 맞게 연결시켜 증거하는 것이다. 이때 말씀자체의 영적능력에 강하게 의지하기 위해 강력한 음성으로 소리를 발하며 성서의 말씀을 선포한다. 성령의 강한 역사를 의지하면서 성서자신이 학습자를 변화시키기를 요청하며 증거하는 것이다.
5가지의 주제를 살펴보면
제 1과는 “구원의 확신”으로서 죄인된 인간이 죄에게서 해방되기 위해서 구약에서는 짐승을 제물로 드렸지만 신약에서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희생되어 하나님과 화해를 이룬 내용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그분의 고난당하심과 흘리신 보혈이 우리에게는 엄청난 축복의 삶으로 연결되어졌음을 강조하며 구원에 대한 강한 확인과 이땅에서의 신앙생활에 예수그리스도로 인한 기쁨과 승리의 삶으로 살아가도록 용기를 주도록 하는 내용이다.
제 2과는 “성령의 임재“에 관한 것으로 주님께서 보내신 보혜사 성령이 우리를 거듭나게 하시고 그 순간에 우리안에 들어와 계시는데 이제는 그 성령이 신앙적 삶에 역사하시도록 하여 각양 성령의 열매로 나타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령의 나타남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우리 안에 계시는데 강한 신앙의 영성으로 솟아올라오도록 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다. 즉 성령이 말할 것을 주시고 (마 10:19) 가르치시고 생각나게 하시는 분이심을(요 14:26) 통해 성령안에서 공과의 교수-학습이 진행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제 3과는 “응답받는 기도”로서 성도의 하나님과 영적 호흡인 기도에 초점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