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조직개발기법(개인수준의 개발기법)
I. 감수성훈련(ST)
가. ST의 특징
나. ST의 목적
다. ST의 진행절차
라. ST의 주요프로그램
1/ 자유로운 발언
2/ 눈을 가리고 걷기
3/ 사이코드라마
4/ 이미지의 변화
마. ST의 효과
II. 창의성개발 훈련
가. 창의성개발을 위한 개인노력
나. 창의성개발을 위한 훈련기법
1/ 자유연상법
2/ 분석적 기법
3/ 강제적 관계기법
다. 창의적 조직분위기의 조성
라. 창의적 과정단계
1/ 문제발견단계
2/ 준비몰두단계
3/ 잠복단계
4/ 통찰단계
5/ 확인단계
III. 관리그리드 훈련
1/ 1단계(세미나훈련
2/ 2단계(팀 개발)
3/ 3단계(집단 간 관계개발)
4/ 4단계(조직변화 목표설정)
5/ 5단계(변화목표 달성)
6/ 6단계(평가)
* 참고문헌
I. 감수성훈련(ST)
가. ST의 특징
나. ST의 목적
다. ST의 진행절차
라. ST의 주요프로그램
1/ 자유로운 발언
2/ 눈을 가리고 걷기
3/ 사이코드라마
4/ 이미지의 변화
마. ST의 효과
II. 창의성개발 훈련
가. 창의성개발을 위한 개인노력
나. 창의성개발을 위한 훈련기법
1/ 자유연상법
2/ 분석적 기법
3/ 강제적 관계기법
다. 창의적 조직분위기의 조성
라. 창의적 과정단계
1/ 문제발견단계
2/ 준비몰두단계
3/ 잠복단계
4/ 통찰단계
5/ 확인단계
III. 관리그리드 훈련
1/ 1단계(세미나훈련
2/ 2단계(팀 개발)
3/ 3단계(집단 간 관계개발)
4/ 4단계(조직변화 목표설정)
5/ 5단계(변화목표 달성)
6/ 6단계(평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적으로 관계가 없는 둘 또는 그 아상의 물건이나 아이디어를 강제적으로 관계를 맺어 보게 하는 방법이다. 이라한 방법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다. 창의적 조직분위기의 조성
창의적인 조직분위기를 조성함에 있어서는 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창의성을 유도할 수 있는 경영자의 행동특성은 다음과 같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종업원들이 창의적이게끔 상당한 자유를 준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덜 개발된 아이디어라도 경청하고 지원하여 종업원이 계속 발전하게끔 북돋아 준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통상 규칙과 절차를 무시하지는 않지만 필요하다면 규칙을 어기는 것도 불사한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종업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자기의 아이디어를 첨가시키기도 한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과거실수에 집착하지 않고 자기가 하는 일을 좋아하는 정력적인 사람이다.
라. 창의적 과정단계
1/ 문제발견단계
무엇인가 생각해 볼만한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2/ 준비몰두단계
개인이 문제에 집중하고 그것에 몰두하는 단계이다. 즉, 여러 가지 문제해결의 대안을 머릿속에 그리면서 관련성이 있을 것 같은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한다.
3/ 잠복(incubation)단계
준비단계에서의 많은 노력 후에 오는 의식적인 노력의 휴식기라고 할 수 있다. 휴식기는 문제해결이 잘 되지 않는 데서 오는 좌절감이나 탈진상태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적극적인 노력을 안 하더라도 무의식에서는 계속 노력이 이루어진다. 낮잠을 자다가 아니면 무심히 길을 걷다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4/ 통찰(insight)단계
새로운 아이디어의 섬광이 머리속에 떠오르는 때를 말한다. 통찰력은 뉴톤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할 때와 같이 순간적인 영감을 얻는 것이다.
5/ 확인(verification)단계
통찰력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검증하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통찰력이 아이디어라는 보석의 원석이라 한다면 확인단계는 이를 갈고 밖아 반짝이는 아름다운 보석으로 만드는 과정이라고 비유할 수 있다.
III. 관리그리드 훈련(managerial grid training)
이 기법은 관리격자이론에 바탕을 둔 것으로 구성원들을 과업수행과 인간관계기술에 있어서 모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관리자(9, 9형의 리더)가 되도록 하는 훈련이다. 훈련은 6단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1/ 1단계(세미나훈련 : 참가자들에게 그리드 훈련의 개념과 목적을 소개하고 경영자들은 그리드 상에서의 현재 위치에 대해 토론하고 그들 자신의 행동과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한다.
2/ 2단계(팅 개발) : 5명 내지 9명의 참가자들은 그리드 상의 (9, 9)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한다. 다음에는 1/단계에서 얻어진 정보가 실제조직에 응용된다.
3/ 3단계(집단 간 관계개발):조직 내의 여러 작업집단 간의 갈등의 원인이 분석되고 협조촉진방안이 강구된다. 집단과 집단 간의 원활한 관계개발을 목표로 한다.
4/ 4단계(조직변화 목표설친 : 조직전체의 변화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참가자들 스스로가 가장 이상적이고 전략적인 조직체를 구상하게 함으로써 조직의 전체목표에 순응하도록 이끈다.
5/ 5단계(변화목표 달성) : 이 단계에서는 설정된 변화목표를 계획대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조직의 구성원들은 자신들이 참여하여 설정한 목표에 대해 높은 애착을 갖게 되므로 조직의 변화목표 달성이 가능해진다. 각 부서의 관리자들은 목표달성을 위한 필요한 모든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6/ 6단계(평가): 지금까지 수행된 모든 활동의 결과들을 체계적으로 비판하는 단계로서 관리자들은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활동의 결과들을 측정하고 평가하며, 새로운 도전에 대해 토론하게 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다. 창의적 조직분위기의 조성
창의적인 조직분위기를 조성함에 있어서는 경영자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창의성을 유도할 수 있는 경영자의 행동특성은 다음과 같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종업원들이 창의적이게끔 상당한 자유를 준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덜 개발된 아이디어라도 경청하고 지원하여 종업원이 계속 발전하게끔 북돋아 준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통상 규칙과 절차를 무시하지는 않지만 필요하다면 규칙을 어기는 것도 불사한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종업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자기의 아이디어를 첨가시키기도 한다.
- 창의성을 유발하는 경영자는 과거실수에 집착하지 않고 자기가 하는 일을 좋아하는 정력적인 사람이다.
라. 창의적 과정단계
1/ 문제발견단계
무엇인가 생각해 볼만한 문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는 단계이다.
2/ 준비몰두단계
개인이 문제에 집중하고 그것에 몰두하는 단계이다. 즉, 여러 가지 문제해결의 대안을 머릿속에 그리면서 관련성이 있을 것 같은 정보를 적극적으로 수집한다.
3/ 잠복(incubation)단계
준비단계에서의 많은 노력 후에 오는 의식적인 노력의 휴식기라고 할 수 있다. 휴식기는 문제해결이 잘 되지 않는 데서 오는 좌절감이나 탈진상태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적극적인 노력을 안 하더라도 무의식에서는 계속 노력이 이루어진다. 낮잠을 자다가 아니면 무심히 길을 걷다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4/ 통찰(insight)단계
새로운 아이디어의 섬광이 머리속에 떠오르는 때를 말한다. 통찰력은 뉴톤이 만유인력의 법칙을 발견할 때와 같이 순간적인 영감을 얻는 것이다.
5/ 확인(verification)단계
통찰력의 정확성과 유용성을 검증하고 그것을 다른 사람들도 알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통찰력이 아이디어라는 보석의 원석이라 한다면 확인단계는 이를 갈고 밖아 반짝이는 아름다운 보석으로 만드는 과정이라고 비유할 수 있다.
III. 관리그리드 훈련(managerial grid training)
이 기법은 관리격자이론에 바탕을 둔 것으로 구성원들을 과업수행과 인간관계기술에 있어서 모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관리자(9, 9형의 리더)가 되도록 하는 훈련이다. 훈련은 6단계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1/ 1단계(세미나훈련 : 참가자들에게 그리드 훈련의 개념과 목적을 소개하고 경영자들은 그리드 상에서의 현재 위치에 대해 토론하고 그들 자신의 행동과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한다.
2/ 2단계(팅 개발) : 5명 내지 9명의 참가자들은 그리드 상의 (9, 9)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한다. 다음에는 1/단계에서 얻어진 정보가 실제조직에 응용된다.
3/ 3단계(집단 간 관계개발):조직 내의 여러 작업집단 간의 갈등의 원인이 분석되고 협조촉진방안이 강구된다. 집단과 집단 간의 원활한 관계개발을 목표로 한다.
4/ 4단계(조직변화 목표설친 : 조직전체의 변화목표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참가자들 스스로가 가장 이상적이고 전략적인 조직체를 구상하게 함으로써 조직의 전체목표에 순응하도록 이끈다.
5/ 5단계(변화목표 달성) : 이 단계에서는 설정된 변화목표를 계획대로 수행하는 단계이다. 조직의 구성원들은 자신들이 참여하여 설정한 목표에 대해 높은 애착을 갖게 되므로 조직의 변화목표 달성이 가능해진다. 각 부서의 관리자들은 목표달성을 위한 필요한 모든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6/ 6단계(평가): 지금까지 수행된 모든 활동의 결과들을 체계적으로 비판하는 단계로서 관리자들은 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활동의 결과들을 측정하고 평가하며, 새로운 도전에 대해 토론하게 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