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 협착증 케이스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 척추관 협착증 간호과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 (척추관 협착증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 척추관 협착증 간호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질병에 관한 기술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Ⅲ. 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력, 신체검진, 검사, 치료 및 경과, 투약
간호과정의 적용
Ⅳ. 결론
결론
실습후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al 입원 치료하였으나 호전 없어 ER통해 adm.
집에서 본인이 사혈도 하심. 우측다리 들 때 Rt. low back쪽으로 pain 호소함.
★ Present illness
★ Past History
☆입원이력 2018. 11. 29.~30
병명 : 허리통증
진료기관 : local
☆기타 : 척추풍선확장술 (2018.4.) , 척추전방전위증, 척추협착(언제부터인지 모름)
3~4년 전부터 신경주사 맞음 (아플 때 마다 1년에 4번 정도 . 마지막 11월 21일에 맞음.)
☆최근투약
①신경과약 / 복용시기 2018. 4~6월
②협심증약 / 5년전부터 간헐적 복용
☆ PHx
★ 특이체질 : 무
★ Social History : 음주 흡연 무
★ Family History■ 특이사항 없음 □ 있음
★ Pain Assessment□ 무
■유
NRS
: 통증강도
2018. 12. 1. →7점 / 그 외 →3점
: 통증부위
□ 두부 □흉부 □ 복부 □ 배부 ■상지 □ 하지 □ 생식기 □ 전신 □ 기타
: 통증양상
■쑤시다 □ 결리다 □ 찌르는듯하다 □ 쓰리다 □ 쥐어짜는 듯 뒤 틀린다
■ 묵직하다 □ 뜨겁다 □ 뻗치다 □ 욱씬거리다 □ 피부에 닿기만 해도 아프다
□ 기타
: 통증기간
□ 지속적통증 ■간헐적통증 □ 돌발성통증
: 통증빈도
□ 3회이하 ■ 4-9회 □ 10회이상
: 동반증상
■없음 □ 수면장애 □ 변비 □ 우울증 □ 빈맥 □ 심계항진 □ 발한
★ Rick Assessment 의식상태 ■ Alert □ Drowsy □Stuper □ Semicoma □ Coma
정서상태 ■ 안정 .□ 불안 □ 우울 □ 흥분
영양상태 ■ 정상 □ 경증영양불량 □ 중증영양불량
기능상태 ■ 보행가능 □ 목발 □ 휠체어 □ 지팡이 □보행불가 □ 기타
경제상태(진료비 지불능력) ■ 있음 □ 없음
사회복지상담 ■ 불필요 □ 필요
■ Stable □ Unstable
날짜
결과
2018.12.1
BP 111/70mmHg T 36.0℃ P 62회/분 R 20회/분
2018.12.2
BP 125/86mmHg T 36.5℃ P 60회/분 R 20회/분
2018.12.3
BP 138/81mmHg T 36.4℃ P 62회/분 R 20회/분
2018.12.4
BP 135/74mmHg T 36.5℃ P 63회/분 R 20회/분
2018.12.5
BP 140/79mmHg T 36.6℃ P 66회/분 R 20회/분
2018.12.15
BP 136/73mmHg T 36.4℃ P 78회/분 R 20회/분
2018.12.20
BP 112/69mmHg T 36.5℃ P 58회/분 R 20회/분
2018.12.30
BP 144/72mmHg T 36.0℃ P 64회/분 R 20회/분
★ Vital Sign
★ Laboratory Finding
항목
기준치
단위
임상적의의
WBC
7.89
3.5-10
10*3/ul
▲ 급성감염, 홍역, 외상, 백일해, 악성종양, 순환장애
▼ 세균감염, 약이나 급성 백혈병 등에 의한 골수 기능저하
RBC

2.96
3.9-5.5
10*6/ul
▲ 심한 설사, 탈수, 다혈구혈증, 급성약중독, 폐섬유증, 청색증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기능장애
▼ 용혈성빈혈, 빈혈, 출혈, 에디슨병, 류마티스열, 골수기능부전, 백혈병
Hb

8.8
13-07
g/dl
▲ 만성폐색성폐질환, 울혈성 심부전, 다혈구혈증, 탈수
▼ 갑상선항진증, 빈혈, 간경화, 심한출혈, 혈액희석(수액과잉)
Hct

26.2
38-50
%
▲ Erythrocytosis, 탈수, 다혈구혈증, 체액손실
▼ 갑상선기능항진증, Hemolysis anemia of pregnancy, Acute massiveblood loss, 빈혈, 백혈병, 실혈
MCV
88.5
80-98
fl
★ 평균적혈구용적
Macrocytic, Normocytic, Microcytic의 구별
MCH
29.7
27-34
pg
★ 평균적혈구혈색소량
MCHC
93.6
32-36
g/dl
★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
Platelet

380
140-360
10*3/ul
▲ 외상, 심장병, 만성췌장염, 비장절제술, 결핵
▼ 바이러스감염, 폐렴, 알러지, 급성백혈병, 재생불량성빈혈, 용혈장애, 화학/방사선 요법, 수술후, DIC, ITP, AIDS, 비장기능항진증
CRP

8.44
normal<0.8
Low risk <1.0
High risk >3.0
mg/L
★ 대표적인 급성기 반응물질, 체내에 급성염증이나 조직손상이 있을 때 혈청 내에 증가하는 단백질로서 염증반응의 표지인자
ESR

56
20
mm/hr
★ 적혈구 침강속도, 면역질환, 감염 및 염증질환, 악성 및 외상질환등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추적관찰에 도움 (급성염증이나 만성염증의 지속상태임을 반영하는 지표)
Diff. count
Neutrophil
62.5
40-70
%
▲ 세균감염
▼ 독소적 항원, 호르몬질병, 혈액질병
Lymphocyte
23.4
20-47
%
▲ 세균성 상기도 감염, 바이러스 감염, 호르몬질환, 결핵, 림프성 백혈병
▼ 호지킨병, 쿠싱증후군, 부신피질호르몬사용, 외상, 화상, 면역억제제, AIDS
Monocyte

10.7
3-10
%
▲ 감염(결핵, 말라리아, 로키산반점열)
▼ 약물요법, prednisone
Eosinophil
2.8
0-7
%
▲ 과면역 알러지, Addison\'s disease, 기생충감염, 피부질환, 신생물, 악성빈혈
▼ Adrenal 증가, 쿠싱증후군, 스트레스반응
Basophil
0.5
0-2
%
▲ Granulocytic or basophilic Leukemia, 용혈성빈혈, 전성다혈구혈증, 골수전이
▼ 부신피질호르몬제, 알러지반응, 급성감염
1. EDTA ★ 일반혈액검사 : CBC (Complete bloodcell count)
2. EDTA ★ 일반화학검사 Electrolyte/Admission profile 항목
기준치
단위
임상적의의
BUN

8
8-26
mg/dL
▲ 신기능저하, 신증후군, 요독증, 급성사구체신염, 간경변
▼ 임신, 저단백, 요붕증, 심한간부전
Creatinine

0.72
0.8-1.2
mg/dL
▲ 신기능
  • 가격1,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9.03.01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