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서동만
제5장에서는 국가사회주의와 당의 일원적 지도체제 확립에 관해서 다루고 있다. 연구 기간은 1958년부터 1961년까지이다. 첫째, 만주파의 권력 장악과 당의 일원적 지도체제에 대해서 알아본다. 둘째, 만주파의 당군 장악과 당군 일체화에 대해 알아 본다. 셋째, 사회주의대고조에서 자력갱생과 국방경제 병진 노선으로 가게 된 이우야 대하여 알아본다. 넷째, 공업부문에서 직업동맹 및 당사업체계의 전환에 대하여 알아 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농촌당제도의 전환에 대하여 알아 본다.
만주파의 권력 장악과 당의 일원적 지도 체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제1차 당대표자대회와 숙청의 총괄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1958년 3월에는 당 제1차 대표자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표자회를 전후하여 프롤레타리아독재론이 공식화 되었고, 박금철, 리효순 등 갑산계 주도화에 반종파투쟁과 반혁명분자에 대한 투쟁이 정식으로 결합되었다. 당기구 확대와 세력관계의 변화 또한 감지되었다. 종래 당단체가 조직되지 않았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재판소, 검찰소, 내무성에 대한 당 통제를 제도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부로 중앙당에 행정부가 신설되었다. 또한 제1차 대표자회가 개최되기 전인 1957년부터도 당내에서는 김일성과 갑산계의 비호 하에 김영주, 김도만은 강경파가 부상하고 있었으며 국내계는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제1차 대표자회가 개최되고 반년 후인 1958년 9월말에는 농업협동화와 개인상공업의 사회주의적 개조가 완료되었다. 이때 갑산계는 혁명전통 확립이라는 과제를 새로이 주도적으로 수행하였다. 1958년과 1959년경에는 전 사회, 국가에 대한 당 우위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대원칙이 되었으며, 이후 당 우위 원칙을 제도화하는 과제만 남아있었다. 이 제도화는 군대 내에서 시작되어 당위원회에 의한 일원적 지도로서 정착하였고, 이윽고 농천으로 공장으로 확대되어나갔다. 당의 일원적 지도 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작업은 김일성이 스스로 선두에 서서 추진하였다. 특히 군대 내에서 당의 일원적 지도의 제도화는 연안계와 소련계의 숙청작업과 결부시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였다.
제4차 당대회에 대해서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제4차 당대회는 1961년 4월에 개최되었다. 이 당대회는 모든 측면에서 김일성에게 ‘승리자의 대회’였다. 그는 이 당대회를 기점으로 단순한 권력자가 아니라, 당, 정부, 군, 경제, 이데올로기 등 북조선 체제 전체를 직접 구상하고 또한 실현하는 설계자가 되었다. 김일성에게만 승리의 대회는 아니었다. 만주파에 역시도 승리자의 대회였다. 만주파는 제4회 당대회를 계기로 당내 최대 다수로서 유일한 정파가 되었다. 만주파는 중앙위원과 후보위원의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연안계와 소련계는 소수만 남아 정파로서의 의미를
서동만
제5장에서는 국가사회주의와 당의 일원적 지도체제 확립에 관해서 다루고 있다. 연구 기간은 1958년부터 1961년까지이다. 첫째, 만주파의 권력 장악과 당의 일원적 지도체제에 대해서 알아본다. 둘째, 만주파의 당군 장악과 당군 일체화에 대해 알아 본다. 셋째, 사회주의대고조에서 자력갱생과 국방경제 병진 노선으로 가게 된 이우야 대하여 알아본다. 넷째, 공업부문에서 직업동맹 및 당사업체계의 전환에 대하여 알아 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농촌당제도의 전환에 대하여 알아 본다.
만주파의 권력 장악과 당의 일원적 지도 체제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제1차 당대표자대회와 숙청의 총괄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1958년 3월에는 당 제1차 대표자회가 개최되었다. 이 대표자회를 전후하여 프롤레타리아독재론이 공식화 되었고, 박금철, 리효순 등 갑산계 주도화에 반종파투쟁과 반혁명분자에 대한 투쟁이 정식으로 결합되었다. 당기구 확대와 세력관계의 변화 또한 감지되었다. 종래 당단체가 조직되지 않았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재판소, 검찰소, 내무성에 대한 당 통제를 제도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부로 중앙당에 행정부가 신설되었다. 또한 제1차 대표자회가 개최되기 전인 1957년부터도 당내에서는 김일성과 갑산계의 비호 하에 김영주, 김도만은 강경파가 부상하고 있었으며 국내계는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제1차 대표자회가 개최되고 반년 후인 1958년 9월말에는 농업협동화와 개인상공업의 사회주의적 개조가 완료되었다. 이때 갑산계는 혁명전통 확립이라는 과제를 새로이 주도적으로 수행하였다. 1958년과 1959년경에는 전 사회, 국가에 대한 당 우위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대원칙이 되었으며, 이후 당 우위 원칙을 제도화하는 과제만 남아있었다. 이 제도화는 군대 내에서 시작되어 당위원회에 의한 일원적 지도로서 정착하였고, 이윽고 농천으로 공장으로 확대되어나갔다. 당의 일원적 지도 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작업은 김일성이 스스로 선두에 서서 추진하였다. 특히 군대 내에서 당의 일원적 지도의 제도화는 연안계와 소련계의 숙청작업과 결부시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였다.
제4차 당대회에 대해서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제4차 당대회는 1961년 4월에 개최되었다. 이 당대회는 모든 측면에서 김일성에게 ‘승리자의 대회’였다. 그는 이 당대회를 기점으로 단순한 권력자가 아니라, 당, 정부, 군, 경제, 이데올로기 등 북조선 체제 전체를 직접 구상하고 또한 실현하는 설계자가 되었다. 김일성에게만 승리의 대회는 아니었다. 만주파에 역시도 승리자의 대회였다. 만주파는 제4회 당대회를 계기로 당내 최대 다수로서 유일한 정파가 되었다. 만주파는 중앙위원과 후보위원의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연안계와 소련계는 소수만 남아 정파로서의 의미를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서동만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 1~2장
[북한연구 주요 저작] -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 서평 (5장 종장)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제5장 종장) - 국가사회주의 ...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제3장 제4장) - 사회주의적 개조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제5장 종장) - 국가사회주의 ...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제1~2장)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 1945 ~ 1961 (34장) - 김일성 단독체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