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다 하루키 서동만·남기정 옮김 -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와다 하루키 서동만·남기정 옮김 -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만주항일전쟁의 시작
1931.9.일본의 만주 침략. 1932.봄 구국군 유 사령부태의 별동대로서 조선인 무장대를 조직함. 북한에서는 4월25일을 조선 인민군 창설기념일로 축하함.
동만에서는 대부분의 조선인 전사임. 왕칭 유격대대의 정치위원이 됨.
◎조국광복회와 보천보 전투
민생단 혐의로 많은 조선인들이 살해 됨. 중국인과 조선인이 통합된 무장투쟁 전개를 주장함.
조선인민혁명군이 김일성에 의해 조직, 김일성의 유격대였다는 것이 북조선 신화의 핵심.
▶보천보 전투:1937.6.4.김일성부태는 교전을 마치고 무사히 물러나 그의 이름이 전국에 알려짐.
◎동북 항일연군의 위기
▶1938년부터 유격대에 대한 진압작전은 아주 조직적으로 이루어 짐.
김일성의 제2방면군은 ‘고난의 행군’의 작전을 함. 많은 소년대원들이 참가함. (리을설, 리두익, 최인덕 등)
김일성 부대는 1940.3.25유격전쟁에서 일본 토벌 부대인 마에다 중대를 전멸 시킴.
◎소련령으로의 피난
김일성 부대는 1940.9월 소그룹으로 나누어 소련으로 들어감. 김정숙과 결혼 후 소련으로 감.
소련의 대외관계로 막혀 있었을 때 김정숙은 김정일을 낳았다.
◎88특별여단
항일 연군은 형식적으로 소련의 단위 부대에 흡수됨.
88여단은 소련공산당위원회와 중국공산당기관이 병치됨. 최용건, 김책, 김일성 은 88특별여의 조선인 지도자 중 정점을 이룸.
◎귀국
김일성 부대는 리자오린, 왕사오밍, 강건의 부대와 함께 소련 군함을 타고 9.19일원산에 상륙함.
일본의 가혹한 토벌전쟁에서 살아남아 조국 땅을 밟음,
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탄생
◎해방과 점령
▶해방 된 후 정치범들은 옥중에서 나옴. 태반이 공산주의자 임. 민족주의자들도 행동을 개시함.
▶소련은 북조선으로 점령하면서 공산당 중심의 반일적 민주정당을 세움. 북한만의 인민위워회적인 조직을 인정하고 연합체제를 만들려 평양에서 북조선 5도 대회가 소집됨.
◎공산주의자들
▶박헌영(남한),오기섭, 김용범도 일제 치하를 강인하게 버티어냄.
해외에서 온 최초의 공산당원은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이 많았고, 그 다음 돌아온 사람들은 김일성의 항일연군 전사들인 만주파.
▶10.14일 김일성은 처음으로 대중앞에 등장하여 연설함.
조만식과 합작하여 조선민주당을 만드는 공작. 11.23신의주 사건으로 김일성이 파견되어 사태를 해결함.
연안계 공산주의자들이 귀국, 인텔리 집단임.
▶12.17일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제 3차 확대집행위원회가 열려 김일성이 책임비서로 취임함. 소련계와 연안계가 지지하여 김일성을 정상으로 밀어 올림.
◎김일성의 이름으로 이루어진 개혁
▶1946년 김일성은 당, 정권의 정상이 되어 북조선의 모든 개혁은 자신의 이름으로 함.
서울의 박헌영은 조선통일정부 수립을 위한 민주주의 민족전선 결성을 추진. 북에서는 민주주의 민족전선 준비회의에 참가하지 않음,
▶1946.2.8.김일성 등은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를 발족함. 위원장은 김일성, 처음 실시한 개혁은 토지개혁임.
빠른 방법으로 실행됨. 동시에 사법제도의 정비,
김일성 개인숭배가 더욱 고취됨.
◎통일전선체와 로동당과 군의 창설
▶정치에서는 스탈린의 개입으로 중앙에서 지방까지 통일전선을 만들어 간다는 과제.
공산당과 신민당이 합당하여 북조선 로동당이 생김.
◎총선거와 북조선인민위원회
▶1946.11.3도,시,군 선거가 실시됨.
도,시,군 인민위원회 대회가 있음, -김두봉이 의장으로 됨. 행정부로서의 북조선인민위원회가 승인됨. 위원장은 김일성 , 부위원장은 김책임.
◎경제 건설
당과 정부의 지도로 경제 건설에 전력을 기울임.
돌격대운동은 토지개혁 실시, 현물세 납부하는 곳에서도 되풀이해서 사용됨.
◎미 소 공동위원회의 교착
조선 통일정부를 만드는 것이 벽에 부딪힘. 미국은 11월14일 유엔 총회결의를 채택함. 이에 북조선은 반발하여 1948.2월 조선인민군 설치 발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헌법안이 발표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성립
▶1948.8.15일 서울에서 대한민국의 성립이 선언,
▶1948.9.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성립. 수상은 김일성, 남쪽은 박헌영이 선출.
4.조선전쟁
◎조선 측의 의욕과 대국의 억제
▶무력에 의한 상대 제거라는 국토 통일 구상.
8.12-14일 김일성과 박헌영은 무력통일 의지를 명확히 표명함.
◎북조선의 개전 결단
▶김일성은 중,소의 지지를 저울에 달 듯 흥정함. 스탈린은 김일성을 지지함.
소련으로부터 차관을 앞당겨 받음,
마오쩌둥도 김일성과 박헌영의 무력통일 방침을 지지함.
작전계획(한국군 주력을 괴멸시킴)을 세우고 전군이 전선에 배치됨.
◎개전
▶인민군에 대한 공격 명령은 1950년6월23-24일에 내려지고 군사행동은 새벽에 38도선 전역에서 시작됨.
북한은 한국으로부터의 공격을 받아 반격했다고 발표함.
6.28,서울이 점령됨
미국은 유엔안보 이사회를 움직여 북한의 침략행위 비난 결의를 채택하고 유엔 가맹국이 한국을 원조하도록 요청하는 결의를 채택.
미 정부는 맥아더에게 지상군 파견을 허용하는 결정을 내렸다. 스탈린과 김일성의 예상에 반하는 것이었음,
▶유엔군이 10월 한국군과 함께 북진함.
◎미. 중 전쟁으로
▶김일성과 박헌영은 스탈린에게, 중국 지도부에게 원군을 요청함. 중국 지원군이 북한에 옴으로서 미,중 전쟁으로 전화함.
중국군은 박일우를 인민지원군 부사령 겸부정치국원으로 지목하여 김일성은 전쟁의 작전 지휘에서는 완전히 배제시킴.미군은 리지웨이의 지휘아래 1월25일 공격을 개시함. 2월14일 서울을 탈환. 6월 중순 중국군이 남진을 시도했지만 더 이상 큰 전진은 불가능 함.
◎정전회담 중의 전쟁
▶스탈린은 김일성과 만나 정전회담을 개시하도록 설득함. 박헌영은 동의하지 않은 듯함.
▶김일성은 국내체제 정비에 힘을 기울임. 1951년 당의 재건, 허가이가 해임되고 김일성이 당을 직접 장악함.
◎전쟁의 최종단계
▶1952.5월 유엔군 사령관인 클라크는 6월부터 북한에 맹렬한 북폭을 개시함. 박헌영은 전쟁의 지속을 원했지만 김일성은 조기타결을 바랬음,
▶조선전쟁은 실패함. 이 실패의 책임은 박헌영, 리승엽 남로당계가 해방 후의 배반을 추궁 받고 체포됨.
▶정전의지가
  • 가격2,2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