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번역은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일반적인 용어인 ‘언약’보다는 ‘유언’이 더 나을 것이라고 제안했다고 그에 대한 이유를 짧게 증언한다.
3. 하나님 단독 사역(Monergism).
하나님 단독 사역 주제는 용어의 정의상 유언으로 “어떤 한 사람, 유언자”가 일방적으로 한 은혜로운 증여인 것이다.
4. 조건성
언약 아래서 구속이란, 설령 그것이 하나님 단독 사역이라고는 하지만, 군주이신 하나님께서 부과하신 믿음과 순종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인간 편에서의 반응을 요구한다.
5. 세대들
언약의 기본적인 통일성 내에 이와 마찬가지로 식별할 수 있는 역사적 발전이 존재한다.
6. 의식의 계시
위의 주제에서 최근 교리적인 논쟁거리를 만든 여호와의 언약의 한 면은 고대 근동 조약형식의 조항들에 대한 인간의 최초의 의식적인 반응 - 그것이 할례로든 세례로든 최초의 반응 - 의 관계 문제이다.
7. 종말론적인 성취
여호와의 언약 하에서 받는 기업이 “구약 종말론의 기초와 주제”가 되기 때문에 그 기업에 대한 해석은 이 마지막 교리 영역에 있어 상당히 중요하다며 그에 대한 내용들을 기술한다.
3. 결 론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느끼는 점인데,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사와 은혜언약을 알고 느끼는 부분은 성령의 은혜가 아니면 더 깊이 깨닫는 것이 정말 쉽지 않은 것 같다.
이 책의 긍정적인 면을 본다면 저자가 3명임으로 세 가지 가치관에서의 구속사와 은혜언약을 볼 수 있어 좋았고, 이 책의 역자도 말하였지만, 이 책은 하나님의 전 경륜에 대한 시야를 넓혀주는데 공헌이 되었다고 본다.
그러나 비판할 점도 보였다. 정말로 중요한 것을 붙잡지 보지 못한 채,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붙잡고 마치 전체인양 보는 부분에서 그렇다. 마치 코끼리 다리나, 코, 등을 만져 보고 자신의 나름대로 표현하듯이, 여호와의 언약에 대한 바톤 페인 목사님과 같은 경우가 더욱 그러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언약에 대한 학문적이고, 신학적인 객관적 자료를 찾기에는 많은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앞으로의 구속사와 은혜언약은 신학계의 더욱 많은 발전을 필요로 하며, 그만큼 신앙과 신학에 있어서 중요한 획을 긋는 것이다. 따라서 이 구속사와 은혜언약이 하나님이 주시는 분명한 성경적복음적 세계관으로 잘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많은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심는데 무리가 오리라고 생각된다. 앞으로의 이 세분의 목사님들과 같이 각 분야에 신학자들이 모여 그리스도 안에서 공통된 분모를 찾아 구약에 나타난 은혜언약과 성취된 신약의 새 언약을 더욱더 체계적이며, 완전 복음적, 완전 성경적인 현장신학으로 잘 정리해야하겠다. 그래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구약과 신약 속에 그리고 지금까지의 역사 속에서 나타난 그리스도의 구속사적 언약이 쉽고 정확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말이다. 그럼으로 이제는 모든 성취된 언약 속에서 성취될 언약인 “세계복음화”를 향해 구원 받은 성도라면 성도의 참 본분과 사명 가지고 하나님의 모든 소원이며 최고 관심인 전도 선교 속으로 들어갈 줄 믿는다.
3. 하나님 단독 사역(Monergism).
하나님 단독 사역 주제는 용어의 정의상 유언으로 “어떤 한 사람, 유언자”가 일방적으로 한 은혜로운 증여인 것이다.
4. 조건성
언약 아래서 구속이란, 설령 그것이 하나님 단독 사역이라고는 하지만, 군주이신 하나님께서 부과하신 믿음과 순종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인간 편에서의 반응을 요구한다.
5. 세대들
언약의 기본적인 통일성 내에 이와 마찬가지로 식별할 수 있는 역사적 발전이 존재한다.
6. 의식의 계시
위의 주제에서 최근 교리적인 논쟁거리를 만든 여호와의 언약의 한 면은 고대 근동 조약형식의 조항들에 대한 인간의 최초의 의식적인 반응 - 그것이 할례로든 세례로든 최초의 반응 - 의 관계 문제이다.
7. 종말론적인 성취
여호와의 언약 하에서 받는 기업이 “구약 종말론의 기초와 주제”가 되기 때문에 그 기업에 대한 해석은 이 마지막 교리 영역에 있어 상당히 중요하다며 그에 대한 내용들을 기술한다.
3. 결 론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느끼는 점인데, 그리스도 안에서 구속사와 은혜언약을 알고 느끼는 부분은 성령의 은혜가 아니면 더 깊이 깨닫는 것이 정말 쉽지 않은 것 같다.
이 책의 긍정적인 면을 본다면 저자가 3명임으로 세 가지 가치관에서의 구속사와 은혜언약을 볼 수 있어 좋았고, 이 책의 역자도 말하였지만, 이 책은 하나님의 전 경륜에 대한 시야를 넓혀주는데 공헌이 되었다고 본다.
그러나 비판할 점도 보였다. 정말로 중요한 것을 붙잡지 보지 못한 채, 중요하지 않은 부분을 붙잡고 마치 전체인양 보는 부분에서 그렇다. 마치 코끼리 다리나, 코, 등을 만져 보고 자신의 나름대로 표현하듯이, 여호와의 언약에 대한 바톤 페인 목사님과 같은 경우가 더욱 그러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언약에 대한 학문적이고, 신학적인 객관적 자료를 찾기에는 많은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앞으로의 구속사와 은혜언약은 신학계의 더욱 많은 발전을 필요로 하며, 그만큼 신앙과 신학에 있어서 중요한 획을 긋는 것이다. 따라서 이 구속사와 은혜언약이 하나님이 주시는 분명한 성경적복음적 세계관으로 잘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많은 사람들에게 그리스도의 복음을 심는데 무리가 오리라고 생각된다. 앞으로의 이 세분의 목사님들과 같이 각 분야에 신학자들이 모여 그리스도 안에서 공통된 분모를 찾아 구약에 나타난 은혜언약과 성취된 신약의 새 언약을 더욱더 체계적이며, 완전 복음적, 완전 성경적인 현장신학으로 잘 정리해야하겠다. 그래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구약과 신약 속에 그리고 지금까지의 역사 속에서 나타난 그리스도의 구속사적 언약이 쉽고 정확하게 전달 될 수 있도록 말이다. 그럼으로 이제는 모든 성취된 언약 속에서 성취될 언약인 “세계복음화”를 향해 구원 받은 성도라면 성도의 참 본분과 사명 가지고 하나님의 모든 소원이며 최고 관심인 전도 선교 속으로 들어갈 줄 믿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