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장애아동 치료 인형극
II. 인형극 시행
III. 인형극의 사례
* 참고문헌
II. 인형극 시행
III. 인형극의 사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선택 활동시간에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인형을 제작하여 사회극 놀이로 활용한다. 그러나 놀이중심의 인형극은 유아들이 이야기 내용들을 바탕으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기 통제의 경험을 인형극에서 대 리 경험하여 능동적 이고 적극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치료자는 종이컵, 나무젓가락, 탁구공, 털실, 조개, 조약돌, 양말, 장갑, 일회용 접시, 못쓰는 플라스틱 통, 깡통, 필름 통, 색종이, 풀, 가위, 테이프 등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를 준비하고 유아들 스스로가 녹음기를 작동하여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마련한다. 이러한 손수 제작인형을 이용한 사회극 놀이가 진행될 때 교사는 적절한 상호작용을 하고, 이야기가 잘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인형극 준비는 치료자와 관람하는 유아의 조건이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형극을 관람하는 사람의 수 따라 규모, 극본 등이 다르다. 어린 유아들은 극본이 15분 정도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또는 중학생은 30-40분 정도가 적당하다. 발달 장애 아동은 10~20분 정도 좋다. 그리고 장소가 방인지, 교실인지, 강당인지에 따라 대사를 녹음하거나 음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무대 진행자가 별도로 나와서 주의집중을 유도하거나 공연장소 조명을 조절하여 객석과 무대를 조명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수업에서 활용한 사례
선생님 감사합니다.
목적 : 스승의 날의 의미를 알고 선생님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을 갖으며 말을 하여 나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다.
등장인물 : 민기, 교사
장소 : 동네 또는 학교
민기 : 안녕, 나의 이름은 민기야. 그런데 얘들아!5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너희들은 알고 있니?
아이들 : 그래! 스승의 날이지.
민기 : 맞아, 스승의 날인데 스승은 선생님이란 뜻이야, 그러니까 선생님의 날이라고 해도 맞는 거야. 그런데 너희들 담임선생님 이름은 뭐니?
아이들 : 전선주 선생님이야.
민기 : 아! 그렇구나. 키가 크고 멋있게 생긴 6학년 2반 선생님이지?
아이들 : 그래 맞아.
민기 : 하하하, 내가 어떻게 너희 선생님을 알고 있는지 깜짝 놀랐지? 사실은 지난번에 만났었어. 얘들아, 나는 오늘 우리 선생님한테 카드를 드리려고 이렇게 예쁘게 써왔단다. 너희들에게 보여줄까?(카드를 보여준다 - 선생님 감사합니다. 사랑해요. 김민기 올림) 어때? 나 글씨 잘 썼지? 우리 선생님은 날마다 우리들에게 공부도 가르쳐 주시고, 친구들이 오줌싸면 그것도 도와주시며, 우리들을 많이많이 사랑해주시는 고마운 선생님이잖아. 그러니까 너희들도 선생님한테 감사 카드나 편지를 써서 드리면 아주 좋아하실 거야. 알겠지? 얘들아! 지금 우리 선생님이 들어오신다. 조용히 해 봐! 선생님 안녕하세요.
교 사 : 그래, 민기 왔구나, 안녕?
민 기 : 선생님 1제가카드를 만들었어요. 선생님께 드릴게요.
교 사 : 그래, 고마워! 선생님은 민기가 카드를 주니 정말 기쁘구나. 선생님은 민기를 항상 사랑한단다.
민 기 :선생님 고맙습니다. 저도 선생님을 사랑해요.
교 사 : 그래, 어서 우리 공부하러 들어가자. 너희들도 안녕!
민 기 : 예! 6학년 2반 친구들 안녕!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치료자는 종이컵, 나무젓가락, 탁구공, 털실, 조개, 조약돌, 양말, 장갑, 일회용 접시, 못쓰는 플라스틱 통, 깡통, 필름 통, 색종이, 풀, 가위, 테이프 등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를 준비하고 유아들 스스로가 녹음기를 작동하여 이야기를 들을 수 있게 마련한다. 이러한 손수 제작인형을 이용한 사회극 놀이가 진행될 때 교사는 적절한 상호작용을 하고, 이야기가 잘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인형극 준비는 치료자와 관람하는 유아의 조건이나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인형극을 관람하는 사람의 수 따라 규모, 극본 등이 다르다. 어린 유아들은 극본이 15분 정도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또는 중학생은 30-40분 정도가 적당하다. 발달 장애 아동은 10~20분 정도 좋다. 그리고 장소가 방인지, 교실인지, 강당인지에 따라 대사를 녹음하거나 음악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무대 진행자가 별도로 나와서 주의집중을 유도하거나 공연장소 조명을 조절하여 객석과 무대를 조명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수업에서 활용한 사례
선생님 감사합니다.
목적 : 스승의 날의 의미를 알고 선생님에 대한 감사하는 마음을 갖으며 말을 하여 나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다.
등장인물 : 민기, 교사
장소 : 동네 또는 학교
민기 : 안녕, 나의 이름은 민기야. 그런데 얘들아!5월 15일이 무슨 날인지 너희들은 알고 있니?
아이들 : 그래! 스승의 날이지.
민기 : 맞아, 스승의 날인데 스승은 선생님이란 뜻이야, 그러니까 선생님의 날이라고 해도 맞는 거야. 그런데 너희들 담임선생님 이름은 뭐니?
아이들 : 전선주 선생님이야.
민기 : 아! 그렇구나. 키가 크고 멋있게 생긴 6학년 2반 선생님이지?
아이들 : 그래 맞아.
민기 : 하하하, 내가 어떻게 너희 선생님을 알고 있는지 깜짝 놀랐지? 사실은 지난번에 만났었어. 얘들아, 나는 오늘 우리 선생님한테 카드를 드리려고 이렇게 예쁘게 써왔단다. 너희들에게 보여줄까?(카드를 보여준다 - 선생님 감사합니다. 사랑해요. 김민기 올림) 어때? 나 글씨 잘 썼지? 우리 선생님은 날마다 우리들에게 공부도 가르쳐 주시고, 친구들이 오줌싸면 그것도 도와주시며, 우리들을 많이많이 사랑해주시는 고마운 선생님이잖아. 그러니까 너희들도 선생님한테 감사 카드나 편지를 써서 드리면 아주 좋아하실 거야. 알겠지? 얘들아! 지금 우리 선생님이 들어오신다. 조용히 해 봐! 선생님 안녕하세요.
교 사 : 그래, 민기 왔구나, 안녕?
민 기 : 선생님 1제가카드를 만들었어요. 선생님께 드릴게요.
교 사 : 그래, 고마워! 선생님은 민기가 카드를 주니 정말 기쁘구나. 선생님은 민기를 항상 사랑한단다.
민 기 :선생님 고맙습니다. 저도 선생님을 사랑해요.
교 사 : 그래, 어서 우리 공부하러 들어가자. 너희들도 안녕!
민 기 : 예! 6학년 2반 친구들 안녕!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