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서언
II.평양대부흥 운동의 역사적 배경
III. 1907년 대부흥 운동의 전개 과정과 결과
IV.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의 재해석
V.결언
II.평양대부흥 운동의 역사적 배경
III. 1907년 대부흥 운동의 전개 과정과 결과
IV.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의 재해석
V.결언
본문내용
),123
이러한 상황에서 선교사들도 놀랄 정도로 해마다 입교인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었다.이렇게 사회가 혼란하던 시기에 개신교의 교세가 확장되었던 사실은 개신교도의 입교가 단순한 종교적 이유에서 뿐 아니라 정치 사회적 배경과도 밀접히 연관맺고 있음을 시사한다. 노대준, ‘1907년 개신교 대부흥운동의 역사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7-8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고 1910년 한일합방이 되는 역사의 위기에서 정신적 영적위로와 구원을 하나님께 간구하는 종말론적 상황은 영적 대부흥운동을 가능케 하였다. 한국 교회사학 연구원,「한국기독교사상」(연세대학교 출판부,1998) 243
III. 1907년 대부흥 운동의 전개 과정과 결과
1.부흥의 전개과정
한국의 개신교회에는 1907년의 부흥운동이 있기 이전부터 몇차례 간헐적으로 부흥집회가 있어왔다. 즉 1903년의 원산부흥회, 1906년 평양연합사경회,1906년 목표부흥회 등의 국지적 부흥운동이 있어 왔던 것이다. 노대준, 앞의 글. 17
1).원산부흥운동(1903)
한국교회의 대부흥운동은 원산에서 하디에 의해 시작되었다. 하디는 토론토 대학의 YMCA에서 파송을 받아 의료선교와 전도를 병행하였다. 그러나 기대한 만큼 결과가 나타나지 않자, 그 원인이 자신의 성격의 능력 결핍에 있다고 보았다.
“내가 노력하고 애쓰는 만큼 나의 사역이 결과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만드는 내 자신 속에 장애물들을 분명히 의식하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점점 뚜렷하게 영적인 결핍을 인식할 수있었다. 사실 이것이 실패에 대한 충분한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능으로도 아니요, 오직 나의 영으로만 될 것이니라.’고 말씀하셨다.” “R. D. Hardie\'s Report,\" Minutes of the Seventh Annual meeting, Korea Missions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 1903), 26. 재인용
그는 자기의 실패를 통해 통절히 반성하는 과정을 통해 새롭게 태어날 수 있었다.교인들에게 자신의 성령체험과 더불어 잘못과 교만, 믿음의 부족을 고백하였다. 이것이 원산 부흥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최재건,위 같은 글, 129-130
2).평양 대부흥운동(1907)
부흥운동은 1907년 1월 14일 저녁집회를 마치고 기도회를 진행하던 중 참석한 대부분의 신도들이 성령강림(Pentestcost)이라는 종교적 체험을
이러한 상황에서 선교사들도 놀랄 정도로 해마다 입교인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었다.이렇게 사회가 혼란하던 시기에 개신교의 교세가 확장되었던 사실은 개신교도의 입교가 단순한 종교적 이유에서 뿐 아니라 정치 사회적 배경과도 밀접히 연관맺고 있음을 시사한다. 노대준, ‘1907년 개신교 대부흥운동의 역사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7-8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고 1910년 한일합방이 되는 역사의 위기에서 정신적 영적위로와 구원을 하나님께 간구하는 종말론적 상황은 영적 대부흥운동을 가능케 하였다. 한국 교회사학 연구원,「한국기독교사상」(연세대학교 출판부,1998) 243
III. 1907년 대부흥 운동의 전개 과정과 결과
1.부흥의 전개과정
한국의 개신교회에는 1907년의 부흥운동이 있기 이전부터 몇차례 간헐적으로 부흥집회가 있어왔다. 즉 1903년의 원산부흥회, 1906년 평양연합사경회,1906년 목표부흥회 등의 국지적 부흥운동이 있어 왔던 것이다. 노대준, 앞의 글. 17
1).원산부흥운동(1903)
한국교회의 대부흥운동은 원산에서 하디에 의해 시작되었다. 하디는 토론토 대학의 YMCA에서 파송을 받아 의료선교와 전도를 병행하였다. 그러나 기대한 만큼 결과가 나타나지 않자, 그 원인이 자신의 성격의 능력 결핍에 있다고 보았다.
“내가 노력하고 애쓰는 만큼 나의 사역이 결과가 나타나지 못하도록 만드는 내 자신 속에 장애물들을 분명히 의식하지 못한다고 할지라도 점점 뚜렷하게 영적인 결핍을 인식할 수있었다. 사실 이것이 실패에 대한 충분한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능으로도 아니요, 오직 나의 영으로만 될 것이니라.’고 말씀하셨다.” “R. D. Hardie\'s Report,\" Minutes of the Seventh Annual meeting, Korea Missions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 1903), 26. 재인용
그는 자기의 실패를 통해 통절히 반성하는 과정을 통해 새롭게 태어날 수 있었다.교인들에게 자신의 성령체험과 더불어 잘못과 교만, 믿음의 부족을 고백하였다. 이것이 원산 부흥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최재건,위 같은 글, 129-130
2).평양 대부흥운동(1907)
부흥운동은 1907년 1월 14일 저녁집회를 마치고 기도회를 진행하던 중 참석한 대부분의 신도들이 성령강림(Pentestcost)이라는 종교적 체험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