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배사역의 이론과 실제] 유아세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예배사역의 이론과 실제] 유아세례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유아 세례가 잘못되었다고 단호하게 말하는 것 또한 올바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유아 세례를 주는 입장에서 있는 교회와 교단은 성례적인 차원에서 유아세례를 아이의 부모들이 하나님의 은혜를 아는 백성들이 하나님의 뜻 가운데 살아가겠다고 하는 선언적 의미를 가진다고 보고 있다.
이 경우 유아 세례의 수혜자는 유아가 아닌 그 부모 및 세례 받은 전체 교회적 고백이 되는 셈이다. 즉 유아는 교회의 준 구성원이 됨으로써 아이에 대한 양육의 의무를 가지며 부모는 하나님의 몸 된 교회의 양육 의사를 늘 귀담아 들어야 하는 것이라고 생각 한다.
유아 세례가 비록 성경적 근거를 찾아보기가 힘든 이상 유아 세례를 권장할 수 는 없겠지만 유아 세례를 행하는 교단이나 교회는 세례 받는 유아의 부모에게 유아 세례의 의미를 바르게 인식시킴으로써 유아 세례의 교육적 의미를 잘 부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유아세례가 성경적으로 합당하지 않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는 교단이나 교회는 유아세례가 아닌 ‘헌아식’ 이라고 하는 귀한 전통을 장 보존하여 발전 시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아이가 잘 자라고 장성했을 때 세례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성경을 가르치고 양육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질적으로 이제 세 달도 안 된 아들의 아버지로서 어떻게 아이를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자라게 할 수 있을 까 고민 하고 기도하고 있는 나로서도 이 아이에게 유아 세례를 받게 하는 것보다 아이가 앞으로 하나님 앞에 쓰임 받도록 준비된 사람으로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유아 세례를 하느냐 하지 않느냐 성경적으로 유아 세례가 옳은가?, 옳지 않은가 의 문제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아이가 얼마나 하나님 앞에 바르게 잘 자라도록 기도하며 양육하느냐가 더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이들에게 하나님의 성령이 이끄시는 대로 잘 자라도록 인도해야 하는 책임이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김운택, 「믿음」(기독교대한 성결교회 출판부, 2007)
이성훈, 「성경적 관점에서 본 유아세례」(도서출판 바울서신, 2004)
조갑진, 「신약에서의 유아세례에 관한 연구」(도서출판 바울서신, 2004)
요한네스 위나이더,「유아세례 성서적인가?」(도서출판 바울서신, 2003), 145.
죤 머레이, 「기독교 세례론」(기독교문서선교회, 1986), 15.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